[뉴욕 = 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첫 통화정책 회의를 가진 연방준비제도(Fed)가 말을 아꼈다.
재정 확대와 세금 인하, 인프라 투자까지 통화정책 기조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들에 대해 극도로 언급을 자제했을 뿐 아니라 앞으로 올해 첫 금리인상 시기에 대해 어떤 힌트도 제시하지 않았다.
재닛 옐런 연준 의장 <출처=블룸버그> |
시장 전문가들은 예상했던 결과라는 반응과 함께 이른바 비둘기파와 매파의 잣대를 근간으로 정책자들의 의중을 파악하는 데 고심하는 모습이다.
1일(현지시각) 이틀간의 회의를 마친 연준의 성명서 내용은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하기 이전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인플레이션과 소비, 고용 등 주요 항목을 중심으로 실물경기에 대한 평가가 제시됐을 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후 진행중인 정책 행보에 근거한 거시경제 전망이나 통화정책 측면의 대응을 엿볼 수 있는 문구를 찾기는 어려웠다.
성명서에서 연준은 연방기금 금리를 0.50~0.75%로 유지한 가운데 고용시장이 지속적으로 강화될 것으로 판단한 한편 성장률이 완만한 속도로 상승할 것이라고 밝혔다.
간략한 경기 판단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에 대한 기대나 우려는 엿볼 수 없었다.
재정 확대의 실제 추진 여부와 여기서 파생되는 실물경제 동향, 여기에 인플레이션 기대 심리를 포함한 주요 금융시장 지표의 움직임 속에서 연준이 적절한 노선을 찾는 데 고전할 것이라는 투자자들의 예측이 일정 부분 사실로 확인된 셈이다.
뉴욕증시가 사상 최고치로 올랐고, 미시간대학이 집계한 1월 소비자신뢰지수가 13년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과 대조를 이룬 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블룸버그> |
트럼프 대통령이 선거 기간 제시한 세제 개혁안에 따르면 국가 부채가 10년간 7조2000억달러 늘어날 전망이다.
이 밖에 인프라 투자와 물가 상승이 연준의 금리인상을 재촉할 것으로 보이지만 정책 불확실성과 외교 마찰 등 메가톤급 리스크에 발목을 잡힐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피터 부크바 린지그룹 애널리스트는 파이낸셜타임즈(FT)와 인터뷰에서 “연준이 여전히 비둘기파 기조를 유지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변화에 따른 결과를 일단 지켜보자는 입장을 취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이번 회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정책자들은 대선 이후 주식을 포함한 금융시장과 인플레이션 기대 심리에서 드러난 투자자들의 기대감에 의미를 두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조셉 라보냐 도이체방크 이코노미스트는 CNBC와 인터뷰에서 “연준 정책자들은 관망 모드를 취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연준은 어떤 예측을 근거로 섣부른 정책 결정을 내리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일부에서는 연준이 올해 세 차례의 금리인상을 단행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의견을 내놓았다. ING의 롭 카넬 이코노미스트는 마켓워치와 인터뷰에서 “연준이 다음 회의가 열리는 3월에도 금리인상을 단행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이 경우 연내 세 차례 금리인상 역시 쉽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금융시장 역시 이날 회의 결과를 비둘기파로 해석했다. 장 초반 2.5%를 넘었던 10년물 국채 수익률은 연준의 회의 후 상승폭을 2bp 이내로 좁히며 2.48%로 밀렸다. 달러 인덱스 역시 장 초반 상승 흐름을 탔으나 회의 후 보합권으로 후퇴했다.
[뉴스핌 Newspim] 황숙혜 뉴욕 특파원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