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이성웅 기자] 검찰이 9일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한 가운데, 우 전 수석이 구속될 경우 박근혜 정부의 실세 대부분이 구치소행을 면치 못하는 모양새가 된다.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 묵인 및 방조, 세월호 수사 외압 등의 혐의를 받고 있는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이 6일 오전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를 받기 위해 서울중앙지검에 출석하고 있다. 김학선 기자 yooksa@ |
우 전 수석이 구속되면 사실상 박근혜 정부의 '정권실세'와 '비선실세'가 모두 구속되는 셈이다. 지난해 10월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불거진 후 현재까지 구속된 정권실세는 모두 10명에 달한다.
'비선실세' 최순실씨에 이어 첫 구속된 정권실세는 검찰 특수본 1기가 구속한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이다.
검찰에 따르면 안 전 수석은 박 전 대통령 등과 공모해 현대차에 11억원 상당의 KD코퍼레이션 제품을 납품받도록 강요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 외에도 KT, 포스코, GKL 등 대기업 대상 강요 범죄 총 4가지에 공범으로 이름을 올리고 있다.
왼쪽부터 최순실(최서원 개명)씨, 안종범 전 수석, 정호성 전 비서관이 피고인으로 법정에 출석해 재판 시작을 기다리는 모습. <사진공동취재단> |
또 특검 조사에선 최씨의 단골 성형외과 의사인 김영재 원장에게 해외 진출 등과 관련한 특혜를 준 사실도 포착됐다. 안 전 수석은 그 대가로 4900만원 상당의 뇌물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이어 구속된 인물은 정호성 전 부속비서관이다. 정 전 비서관은 안봉근·이재만 전 비서관 등과 함께 일명 '문고리 3인방'으로 불렸다. 이들을 통하지 않고선 대통령을 만날 수 없다는 의미다.
정 전 비서관은 박 전 대통령과 공모해 최씨에게 180여건의 국정문건을 전달한 공무상 비밀누설 혐의를 받고 있다.
특히 정 전 비서관의 통화녹음파일은 안 전 수석의 업무수첩과 함께 이번 게이트의 '스모킹건(범죄를 입증하는 핵심증거)'로 떠올랐다.
문화·체육계 실세들은 최순실씨의 이권에 개입하고 문화계 블랙리스트 작성에 가담한 혐의로 가장 많이 구속됐다.
'문화계 블랙리스트’ 작성 혐의로 구속된 김종덕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왼쪽부터), 정관주 전 문화체육관광부 1차관, 신동철 전 청와대 정무비서관. 사진=뉴시스. |
김종 전 문체부 2차관은 최씨의 조카 장시호씨가 소유한 한국동계스포츠영재센터에 16억원을 후원하도록 강요한 혐의로 검찰에 구속됐다. 이 금액은 현재 특검에 의해 뇌물로 바뀐 상태다.
또 김종덕 전 문체부 장관, 정관주 전 문체부 1차관, 신동철 전 청와대 정무비서관 3인은 특검이 구속했다. 이들은 노태강 전 문체부 체육국장 사퇴 강요와 문화계 블랙리스트 작성에 연루돼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등 혐의로 구속기소됐다.
또 조윤선 전 문체부 장관과 일명 '기춘대원군'으로 불린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 역시 같은 혐의로 특검이 구속했다.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왼쪽)과 조윤선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사진=뉴시스> |
박 전 대통령의 뇌물 혐의와 연관된 정권실세도 구속을 피하지 못했다.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당시 보건복지부 장관을 맡고 있던 문형표 전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은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등 혐의로 구속기소돼 재판을 받고 있다.
문 전 이사장은 장관 재직 당시 구 삼성물산의 최대주주였던 국민연금에 합병을 찬성하라고 강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당시 합병 비율은 삼성물산에 불리하게 책정돼 반대가 있었으나, 문 전 이사장과 홍완선 전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장의 주도로 합병이 성사됐다.
서울구치소로 향하는 박근혜 전 대통령. <사진공동취재단> |
가장 최근 구속된 인물은 정치권력의 정점이자 사태의 핵심인물인 박근혜 전 대통령이다. 박 전 대통령은 뇌물수수, 제3자 뇌물,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등 총 13가지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은 오는 17일 이전까지 박 전 대통령에 대한 조사를 마치고 기소할 계획이다.
[뉴스핌 Newspim] 이성웅 기자 (lee.seongwoo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