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세월호 3주기] 세월호 등대·영인이 축구화…멈춰선 팽목항의 시계

기사등록 : 2017-04-16 11:01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오늘 세월호 참사 3주기...팽목항 3년前 그대로
2104년 4월16일 짙은 안개, 오늘도 짙은 안개
진도군민에게도 아픈 기억, 봄은 언제 올까?

[진도=뉴스핌 황유미 이성웅 기자] 2014년 4월 16일, 세월호가 침몰하면서 진도 팽목항은 295명의 희생자 유가족과 9명의 미수습자 가족 뿐만 아니라 국민 모두에게 마음을 저리게 만드는 공간이었다.

현재 세월호는 뭍으로 올라와 목포신항에 거치됐지만, 팽목항은 시간이 멈춘 듯 돌아오지 않는 이들을 위해 모습을 바꾸지 않고 있었다.
 
16일 세월호 참사 3주기를 기리는 추모행사가 전국 각지에서 진행되는 가운데, 이날 진도 팽목항에선 짙은 안개 속에서 행사가 진행됐다. 3년 전 그날도 안개가 짙었다.

16일 진도 팽목항에 있는 세월호 등대. 이성웅 기자
 
팽목항에 가면 가장 먼저 보이는 추모물이 '세월호 등대'이다. 짙은 안개 속에서도 이 등대만큼은 멀리서도 보인다. 등대 한 가운데 노란리본의 색은 조금 바랬지만, 한결같이 그 자리를 지키고 있었다.
 
미수습자 박영인(단원고 2학년)군의 축구화 세켤레도 그대로 놓여 있었다. 체대 진학이 꿈인 박군이 돌아오길 염원하는 마음에서 박군의 어머니가 팽목항에 둔 신발이다. 박군의 어머니는 박군이 바라는 모든 것은 사줬지만, 축구화만큼 사주지 않았었기에 더욱 가슴 아픈 신발이다.
미수습자 박영인군의 귀환을 기원하는 축구화 3켤레가 팽목항에 놓여져 있다. 이성웅 기자
 
추모객들이 묶어 놓은 노란리본들 하나하나도 그대로였다. 세월호에 대한 국민의 심정이 어떠했는지 가장 잘 보여주는 추모물이다. 탑승객들의 무사귀환을 바라는 마음을 담은 노란리본이기에, 돌아오지 못한 이들을 위해 팽목항에서 바람에 나부끼고 있었다.

이곳에 설치된 추모물들은 진도군과 유가족들의 협의에 따라 영구 보존될 예정이다.

16일 진도 팽목항에 있는 노란리본들이 바람에 나부끼고 있다. 이성웅 기자

세월호 참사를 기억하는 시민들의 시간도 멈춘 듯 했다. 특히 참사를 바로 옆에서 지켜봐 온 진도군민들의 심정은 남달랐다.
 
이날 행사에서 추모시를 낭송한 박지유(18, 진도고 2학년)양은 참사 당일을 뚜렷이 기억하고 있었다.
 
박지유양은 "3년 전 사고 당시 저도 수학여행을 가고 있어서 부모님에게 전화가 온 기억이 나요"라며 "그 때 수학여행가서도 뉴스만 보고 놀지도 않았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박양은 "매해 4월 16일마다 비가 왔는데, 세월호도 인양 됐고, 올해는 비도 안 오니까 이제 진짜 '봄'이 오지 않을까 싶다"라며 미수습자들이 가족 품으로 돌아가길 기원했다.
16일 진도 팽목항에서 추모행사가 진행 중인 가운데 자원봉사자들이 음료봉사를 하고 있다. 황유미 기자
 
3년동안 꾸준히 팽목항에서 봉사를 해 온 시민도 있었다.
 
음료봉사 중이던 최미화(전남 진도군)씨는 "바로 옆에서 봐왔기에, 내 일 같아 마음이 아팠다"라며 "자식 키우는 마음이 다 똑같기에 3년 전부터 지금까지 봉사를 해오고 있다"라며 눈시울을 붉혔다.
 
김순옥(56, 전남 진도군)씨 역시 "사고 당시 하루 종일 봉사를 했고, 혹시 일이 있어 봉사에 못 나올 때에도 마음으로는 계속 봉사를 해왔다"라고 말했다. 김씨는 박양과 마찬가지로 "배가 건져져서 비가 안오는 것 같다"라며 매년 4월 16일을 회상했다.
 
팽목항의 치안을 관리해 온 경찰 관계자는 "목포로 세월호라 옮겨간 뒤 순찰로 전환했지만 원래 우리 직원 2명이 이곳에 상주했었다"라며 "유가족들이 이곳에 거주했을 때 늘 보살펴 드린 기억이 난다"라고 애틋한 마음을 드러냈다.
 

[뉴스핌 Newspim] 이성웅 기자 (lee.seongwoong@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