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강소영 기자] 중국의 사드 보복 영향으로 중국 시장에서 판매량이 급감한 현대와 기아자동차가 전략 전환과 소비자 서비스 강화로 중국 시장 '재탈환'의 의지를 다지고 있다.
상하이모터쇼에 참가중인 베이징현대(北京現代)와 둥펑웨다기아차(東風悅達起亞) 관계자는 중국 유력 매체인 디이차이징르바오(第一財經日報)와의 인터뷰를 통해 중국 시장 점유율 회복을 위한 전략을 소개했다.
우저우타오(吳周濤) 베이징현대 부총경리(부사장 격) 겸 판매본부 부본부장은 "한중 관계 경색으로 베이징현대차의 판매량이 급감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결국 '실력'으로 위기를 극복하게 될 것"이라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우 부총경리는 베이징현대가 크게 생산과 서비스 두 가지 측면에서 전략을 수정, 중국 시장에서 과거의 '영광'을 되찾을 것이라고 밝혔다.
우선 생산적 측면에서 고급 대형차 생산을 보다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베이징현대가 지난 2009년 D+S전략(중고급 세단+SUV) 전략을 수립하긴 했지만, 최근 1년 신제품은 소형 승용차 출시에 집중됐다.
그러나 중국 SUV 시장의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중국 브랜드의 부상이 빨라지고 있어 중대형 차시장에 대한 공략 강도를 강화할 예정이다. 이번 상하이모터쇼에서 중국 전략형 SUV 모델 신형 ix35와 중국형 쏘나타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올뉴쏘나타를 공개한 것도 이러한 전략에 따른 것이다.
둥펑웨다와 합자인 둥펑웨다기아도 고급형 SUV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소남영(蘇南永) 둥펑웨다기아 총경리는 "최근 출시한 KX7 모델은 우리 회사가 중대형 SUV 시장 공략 전략을 강화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이미 시장에서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는 KX5, KX3 등에 이어 중대형 모델인 KX7을 전격 출시, 판매량 급감으로 이어진 '사드 보복'의 정치적 악재를 극복해보겠다는 것.
베이징현대는 중대형 고급 차량 출시 확대와 함께 고객 만족 서비스 강화에서 나섰다.
우저우타오 부총경리는 중국 자동차 시장의 트렌드 변화를 읽어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그에 따르면, 중외 합자 자동차 경영 20년 동안 중국의 자동차 시장은 3단계의 변화를 겪었다. 1단계는 2009년 이전까지로 생산량 경쟁의 시기였고, 2009~2014년은 상품 라인 확충 경쟁의 시기였다. 이 시기에는 다양한 차종과 모델이 중요한 전략이었다.
그러나 2014년 이후 중국 자동차 시장은 스마트 기능과 고객 서비스로 트렌드가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시장 변화에 기민하게 대응, 베이징현대가 고객 만족도가 가장 높은 자동차 기업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 베이징현대의 계획이다.
우 부총경리는 "베이징현대차를 이용한 고객의 만족도가 높아지면, 사드 보복 등 정치적 악재는 점차 약화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중국 로컬 자동차 브랜드가 그들의 '호언장담'처럼 쉽게 베이징현대를 위협할 수 없을 것으로 자신했다.
"중국 로컬 자동차 브랜드의 성장은 선의의 경쟁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세계 시장에서는 현대의 브랜드 가치가 중국 자동차보다 월등히 높은 것이 현실이다. 전 세계 시장에서 실력을 증명한 현대가 쉽게 중국 로컬 자동차에 밀리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판매량 감소에 대해서도 낙관적인 태도를 보였다.
중국 자동차공업협회에 따르면, 올해 3월 중국 시장에서 현대와 기자차의 판매량은 7만200대로 전년 동기 52%나 줄었다. 현대차와 기아차의 판매량 감소율은 각각 44.3%와 68%를 기록했다.
우 부총경리는 "판매 감소세가 지속되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 4월 판매량부터 이미 개선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실제로 지난 1년 간 한국 브랜드 자동차인 베이징현대와 둥펑웨다기아의 승용차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7.5%와 5.5%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다만 11~26%의 높은 성장세를 보인 중국 로컬 자동차 브랜드에 비하면 증가율이 현저히 낮은 것은 사실이다. 중국 로컬 자동차의 판매량 증가는 SUV 인기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우 부총경리는 "SUV 시장은 여전히 성장중이다. 앞으로 3년 동안은 고속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고, 베이징현대도 고급 SUV로 시장 변화를 주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뉴스핌 Newspim] 강소영 기자 (js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