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박미리 기자] 문재인 정부가 치매를 국가가 직접 관리하는 '치매 국가책임제'를 중점 추진하기로 하면서, 국내 제약사들의 '치매 치료제' 개발에도 탄력이 붙을지 관심이다.
29일 중앙치매센터 및 국제알츠하이머협회에 따르면 세계 치매환자 수는 2015년 4678만명에서 2030년 7469만명, 2050년에는 1억3145만명으로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치매는 후천적으로 기억력을 비롯한 여러 인지기능 장애가 나타나 일상생활을 혼자하기 어려워지는 상태를 가리킨다. 알츠하이머성, 혈관성 등 종류가 다양하다. 주로 고령의 환자에서 발병하지만 최근에는 운동부족, 높은 스마트기기 의존도 등으로 젊은 환자도 급증하는 추세다.
하지만 아직 전세계적으로 치매를 완전히 치료하는 약은 없다. 현재 에자이의 '아리셉트', 노바티스의 '엑셀론', 머츠의 '나멘다', 존슨앤존슨의 '라자딘' 등 4개 의약품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허가를 받아 '치매 치료제'로 판매되고 있으나, 증세를 완화하거나 진행속도를 늦추는 효과만 있다.
이는 다수 글로벌 제약사들이 일찌감치 자금력을 앞세워 치매 치료제 개발에 뛰어들었음에도, 모두 실패했기 때문이다. 올해 MSD가 '베루베세스타트', 지난해 일라이 릴리가 '솔라네주맙'의 임상을 각각 중단했고 GSK, 암젠과 노바티스, 화이자 등 다국적 제약사들도 이렇다할 성과를 아직 못냈다.
FDA에 따르면 지난 20여년 동안 100개가 넘는 치매 치료제가 개발에 실패했을 정도다. 치매환자 수가 지속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온전한 치료제 개발이 절실해졌다.
국내 제약사들도 최근 치매 치료제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기 시작했다.
메디포스트는 현재 제대혈(탯줄 혈액)에서 추출한 줄기세포를 원료로 한 '뉴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이는 뇌에 삽입된 특수관을 통해 뇌척수액에 3회 반복 투여하는 방식으로, 약품 유효성과 투여 편의성을 높였다. 특히 뇌 내 신경전구세포를 일반 신경세포로 분화할 수 있도록 도와 근본적인 치료와 예방을 가능하게 한 점이 특징이다.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처 임상 1/2a상을 진행하고 있다.
일동제약은 천연물에 기반한 치매 치료제를 개발 중이다. 멀구슬나무 열매인 천련자부터 추출한 후보물질 'ID1201'을 통해 치매의 원인 물질 중 하나로 알려진 베타아밀로이드 생성을 억제하고 인지기능을 개선하는 것이다. 보건복지부 임상과제로 선정돼 현재 임상 2상을 진행하고 있다. 결과에 따라 일동제약은 유럽을 비롯해 해외 임상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메디포스트 '뉴로스템' <사진=메디포스트 홈페이지> |
SK케미칼은 할미꽃 뿌리인 백두홍을 이용한 천연물 치매 치료제 'SK-PC-B70M'을 개발 중이다. 2013년 임상 3상을 완료했다. 차바이오텍은 'CB-AC-02'의 임상 1상을 진행 중이다. 이는 태반 조직에서 추출한 줄기세포를 이용해 정맥주사 방식으로 만든 치매 치료제다.
이외 2007년부터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알츠하이머와 관련 임상시험 승인을 받은 제약사는 환인제약(제품명 INM-176·단계 3상), 퓨리메드(PM012·2상), 바이오랜드(BL153·2a상), 대화제약(DHP-1401·2b상) 등이다.
2013년 '동아치매센터'를 설립했던 동아에스티는 'DA-9803'이라는 이름의 천연물 소재를 기반으로 한 치매 치료제를 개발 중으로 알려졌다. 현재 전임상 단계로 식약처 임상승인 명단에는 없다.
한 제약사 관계자는 "치매 치료시장은 세계 제약사들이 이전부터 도전했지만, 난공불락이었다"며 "개발하면 단숨에 글로벌 제약사로 오를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문재인 정부에서 '치매 국가책임제'를 도입하면서 '제약사들의 치료제 개발에 지원이 있지 않겠느냐' 하는 시각도 있다"며 "금전적인 지원보다 연구가 원활히 될수 있도록 인프라 구축에 도움을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뉴스핌 Newspim] 박미리 기자 (milpar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