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드니= 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고령화 진행으로 경기 둔화가 우려되고 있는 일본과 독일에서 로봇 혁명이 해법이 될 수 있다고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가 진단했다.
29일(현지시각)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무디스는 제조 강국인 일본과 독일에서 자동화가 늘고 로봇 기술 사용을 확대하면서 고령화로 인한 성장 둔화 우려가 상쇄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무디스 애널리스트들은 이번 달 공개한 보고서에서 “어느 정도는 로봇이 노동 활동을 수행할 수 있고 이는 노동 생산성 후퇴가 성장에 미칠 악영향을 상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주요국 부양 비율 전망 <출처=무디스/블룸버그 재인용> |
현재 일본과 독일에서는 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이 차지하는 부양비율(dependency ratio)이 치솟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다행인 것은 독일과 일본이 모두 제조 수출국인데다 로봇 도입에도 적극적이란 점이다.
독일은 유럽 최대 제조 수출국으로 국내총생산(GDP)의 3분의 1 이상이 제조업이며, 일본은 해당 비율이 12%에 달한다.
무디스는 전 세계 산업용 로봇기계 판매의 4분의 3 정도가 중국과 일본, 미국, 한국, 독일 등 5국에 집중되고 있으며 주로 자동화와 전자 부문에서 활용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중 2013년 이후 글로벌 산업용 로봇의 절반 정도가 한, 중, 일 3국이 구매한 것이다.
보고서는 세계화로 국내 일자리가 줄어든다는 우려를 표한 정치인들이 있지만 로봇 혁명은 저임금 국가로 아웃소싱되던 일부 일자리들의 국내 복귀를 가능하게 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신흥시장의 경우 로봇 혁명의 피해국이 될 것으로 보인다는 지적이다. 헝가리나 체코, 슬로바키아처럼 최첨단 제조 상품의 수출이 GDP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신흥국들은 수출의 16~20%를 독일로 보내고 있는데, 로봇 도입이 활발해질 경우 대 독일 수출에 적신호가 켜질 것이란 예상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아시아에서는 인도와 인도네시아 등 저임금 국가들이 피해를 볼 것으로 예상됐다.
[뉴스핌 Newspim] 권지언 시드니 특파원 (kwonji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