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심지혜 기자] #지난 5월 초, 속초에서 일본으로 떠난 선박 해항호(가제)는 최근 '배가 위험하다'는 메시지만 보낸 채 연락이 끊겼다. 즉시 군함과 군용기 등을 투입해 수색에 나섰지만 제대로 된 구조도 하지 못한 채 아직까지 침몰 이유를 찾지 못하고 있다. 이유는 갑작스러운 해저 지진 발생에 따른 조류 변경으로 추정되지만 정확한 원인을 파악은 쉽지않다.
이처럼 바다 밑 판의 이동으로 해저 지진이 발생하곤 하지만 이를 알려줄 방법이 마땅치 않아 징후를 미리 파악하기 어렵다. 현재 음파를 통해 지진 징후를 안내 받지만 바닷속 특성상 간섭이 많아 정확한 정보를 빠르게 안내 받는 것이 쉽지 않다.
호서대학교와 SK텔레콤은 바다 깊은 곳 상황 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 해양 재난을 막기 위해 기지국 기반의 수중 통신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수중 통신기술은 국토의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에서 쓰나미·해저 지진 조기 경보와 방사는·패류 독소 감시 및 적조 모니터링 등을 위해 필요성이 강조되는 부분으로 전세계적으로 이를 위한 연구가 한창이다. 우리나라는 2015년부터 국책 연구과제로 호서대학교와 SK텔레콤 등이 기지국 기반 수중통신기술 연구를 하고 있다.
지난 30일 오전 9시, 낚시선 하나호를 타고 인천 남항에서 출발해 서쪽 방향으로 10km 해상에 도착했다. 이날은 사물인터넷(IoT)으로 측정한 바닷속 각종 정보를 문자와 사진 데이터로 실시간 받을 수 있는 실험을 하기 위해 바다 위로 나갔다.
고학림 호서대 교수는 “바닷속 곳곳에 위치한 수중 센서들이 보낸 정보를 수중 기지국이 전달받아 해양 통신 부표로 보내면 다시 위성, LTE 등 통신망을 거쳐 지상으로 전송 된다”고 설명했다.
바닷속에서는 육상에서의 전파 전달 특성 대비 파도나 바닷물의 혼탁도에 따른 잡음 등으로 정확한 음파 전달이 어렵다. 특히 전파 대비 전송 속도가 수만~수십만배 늦고 반사파가 수시로 발생해 송수신간 오류 확률도 높다.
고 교수는 “바닷속에 기지국을 세운다는 것은 이러한 오류를 최소화 하고 정확한 정보를 빠르게 전달할 수 있도록 돕는다”며 “이같은 수중통신 방식 실증은 우리나라가 처음”이라고 강조했다.
‘바닷속 통신 고속도로’에 비유되는 수중 기지국은 지름 20~30km 지역 내에서 수중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와 통신하며 간섭을 최소화하고 저전력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 1:1 음파 통신 방식과 달리 변동성이 심한 수중 통신 환경에서도 다양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실시간·장시간 수중 관측이 가능하다.
SK텔레콤 수중통신망. <사진=심지혜 기자> |
양측은 오는 10월 서해안에 기지국 기반 수중통신망 실험망을 구축, 2021년까지 기술을 최종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진현철 SK텔레콤 종합기술원 연구원은 "기존에는 유선통신망을 구축해 바닷속 정보를 확보했다면 우리는 육지처럼 기지국을 세워 통신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속도나 운용 효율 면에서 훨씬 유리하다"며 "이를 통해 지구 표면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바닷속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뉴스핌 Newspim] 심지혜 기자 (sj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