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newspim

'시스템반도체 인재 모시자'…삼성·SK, 인력 확충 경쟁

기사등록 : 2017-06-13 13:3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5~7년 경력자 모시기 잰걸음...4차산업 주도권 확보 필수

[뉴스핌=최유리 기자] 미래 먹거리인 시스템반도체를 키우고 있는 삼성과 SK가 인재 확보 경쟁에 나섰다.

1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내달 분사를 앞둔 SK하이닉스 시스템IC는 전사적으로 인력을 충원하고 있다. SK하이닉스 시스 IC는 SK하이닉스가 파운드리 사업부를 분사시킨 신규 법인이다.

반도체 칩 사진 <출처=블룸버그통신>

신규 법인은 지난 9일부터 ▲반도체 설계 ▲위탁 생산(파운드리) 기술 개발 ▲파운드리 공정 제조 및 엔지니어 ▲품질 관리 ▲안전·환경 관리 ▲영업 및 마케팅 ▲인적자원(HR) 관리 등 개발, 생산, 경영지원 분야에 걸쳐 채용 절차를 진행 중이다. 주로 5~7년 이상의 경력자를 대상으로 했다.

SK하이닉스 관계자는 "정확한 규모를 공개할 수는 없으나 파운드리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시장 상황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진행하는 채용"이라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도 인력 확충으로 시스템 반도체 사업 확대에 나섰다. 삼성전자 소비자가전(CE) 영상디스플레이(VD) 사업부 인력 일부를 시스템LSI 사업부로 이동 배치하는 것에 이어 2018년까지 대규모 인력을 충원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에는 시스템 반도체 설계, 디스플레이 구동 반도체 설계, 센서 제품 개발 등 시스템LSI에 필요한 설계 인력을 충원했다. 시스템LSI를 포함한 반도체·부품(DS) 부문은 지난 3월 역대 최대인 2700여 명의 신입사원을 뽑은 것에 이어 인재 확보 드라이브를 이어가고 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파운드리 사업부를 분리하고 화성 S3 라인에 관련 설비 증설에 나서는 등 인력이 더 필요한 상황"이라며 "반도체 업황도 긍정적이기 때문에 충원이 상시적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인재 확보에 나선 것은 시스템 반도체 사업을 본격 강화하기 위해서다. 최근 사업부 분사와 조직 개편으로 전열을 정비한 두 회사는 인력 충원으로 힘을 싣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달 DS 부문 조직 개편을 통해 시스템LIS와 파운드리 사업부를 분리했다. 시스테 반도체 분야의 사업별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SK하이닉스도 같은 달 1000여 명 규모의 파운드리 사업부를 분사하기로 결정했다. 총 3433억원을 출자받은 신설 법인은 충북 청주의 200㎜웨이퍼 생산공장과 파운드리 관련 시설 일체를 넘겨받게 된다.

삼성전자는 24일 미국 산타클라라에서 '삼성 파운드리 포럼'을 개최했다. <사진=삼성전자>

시스템 반도체는 메모리 반도체에 이은 차기 성장 동력이다. 자율주행 자동차, 인공지능(AI), 로봇, 등에 사용하는 핵심 부품으로 4차 산업의 황금알이라는 평가다.

시장조사기관 가트너에 따르면 지난해 세계 반도체 시장은 3435억달러(약 385조원) 규모로 집계됐다. 이 중 시스템 반도체는 2634억달러(약 298조원)로 77%를 차지했다. 성장세를 탄 시스템 반도체 시장은 2020년 3000억달러(약 338조원) 규모로 커질 전망이다.

시스템 반도체 시장에서 승기를 잡기 위해선 인재가 핵심 경쟁력으로 꼽힌다. 후발주자로서 경쟁사를 따라 잡기 위해선 전문 인력 확보가 필수적이라는 설명이다.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세계 1~2위를 달리고 있는 것과 달리 시스템 반도체에선 인텔, 퀄컴 등이 압도적인 선두를 차지하고 있다.

안기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상무는 "국내 업체가 선두를 달리는 메모리 반도체에 비해 시스템 반도체는 4~5위에 머물고 있다"면서 "제품이 다양한 시스템 반도체는 제조보다 설계 경쟁력이 중요하기 때문에 이를 만드는 인력을 확보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수요는 늘고 있지만 전문 인재 풀이 제한적인데다, 반도체 업계 전직 제한으로 인력 확보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경력자의 경우 삼성, SK, 동부 등 제한된 기업들 사이에서 오가는 인력을 잡아야 하기 때문에 인력 풀 규모가 적다"면서 "2~3년 가량 전직 금지 제한이 끝나면 보유한 기술이 이미 과거의 것이 되기 때문에 해외로 나가는 경우도 많다"고 전했다. 

[뉴스핌 Newspim] 최유리 기자 (yrchoi@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