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이슈분석] SK증권, 가능한 2가지 매각 시나리오

기사등록 : 2017-06-15 14: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중대형 증권사, 자본확충 차원 접근
사모펀드, 다양한 옵션 가능

[편집자] 이 기사는 6월 15일 오전 11시37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조한송 기자] SK그룹이 수년간 지속된 공정거래법 이슈를 해소하기 위해 SK증권 공개매각에 나섰다. 최근 금융투자업계 재편 과정에서 중소형 증권사들 또한 시장 매물로 나왔지만 그중 일부는 흥행 실패를 맛보고 애초 계획을 접은 곳도 있다. 이런 상황에서 특이한(?) 지분구조를 갖고 있는 SK증권의 매각은 성공할 수 있을까. 이번엔 다를 수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시장에서 예상하는 SK증권 매각 시나리오는 두 가지. 우선 자기자본 확충 수요가 있는 중대형 증권사, 다음으로 증권업 진출을 꿈꾸는 사모투자펀드(PEF)로의 매각이다.

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SK증권 /이형석 기자 leehs@

◆ 중대형사 증권사,자본 확충에 '제격'

먼저 금융투자업계에서 꼽는 가능성은 자본 확충을 갈망하는 중대형 증권사로의 인수 시나리오다.

금융당국이 3조원, 4조원, 8조원의 각 자기자본 규모에 따라 신규 비즈니스를 허용해주고 있는 데다 증권사의 영업구조 역시 수수료 기반에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항공기금융 등 자기자본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바뀌고 있기 때문. 최근 1~2년새 하이투자증권, 이베스트투자증권 등 비슷한 규모의 중소형 증권사들이 시장에 나서 흥행 실패를 맛보기도 했지만 SK증권의 경우 다를 수 있다는 평가가 흘러나온다.

이번에 매각되는 SK증권의 최대주주 지분은 10.4%. 즉 10분의 1의 자금만 넣고도 4000억원의 자본확충 효과를 볼 수 있다. 때문에 비슷한 규모의 증권사들처럼 SK증권이 가진 고유의 매력이 적다고 해도 이를 상쇄할 만한 매력이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한 증권사 CEO는 "10% 지분만 인수해도 합병을 하면 4000억원의 증자 효과가 있기 때문에 영업 시너지가 다소 약하더라도 일부 중대형사에서 인수 수요는 충분히 있을 수 있다"고 봤다.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현재 자본 규모 6조7000억원 규모인 미래에셋대우 역시 8조원으로 도약하기 위한 방안 중의 하나로 일반 임원급에서 SK증권의 인수를 검토한 바 있다. 또 옛 LIG투자증권을 인수해 새롭게 출범한 케이프투자증권 역시 SK증권을 인수할 경우 6~7000억원 규모의 중견사로 도약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전해진다.

◆ PEF, 다양한 옵션 가능

두번째 가능한 시나리오는 증권업 진출을 꿈꾸는 사모투자펀드의 인수다.

기업 인수 후 가치를 끌어올려 매각하는 전략을 취하는 PEF 특성상 초기의 낮은 지분은 영향력을 행사하기 어려워 쉽게 접근하기 어려울 것이란 게 업계 중론이다. 다만 유상증자 등을 통해 추가 지분 확보가 가능한데다 인수·합병(M&A) 이슈가 불거지더라도 오히려 지분이 적어 되팔기 쉽다는 점을 생각하면 여러 옵션이 가능하다.

특히 경영권 행사 측면에서도 10%의 지분율이 크게 지장이 없다는 평가도 있다. 실제 KTB투자증권은 최대주주인 권성문 회장이 초기(2008년) 10%의 지분으로 무리없이 경영권을 이어갔다. 이후 지분을 늘려온 권 회장은 3월 말 기준 KTB투자증권의 지분 21.96%를 보유하고 있다.

SK측에서 매각 조건으로 사명 유지와 더불어 3년간 고용안정을 내걸었다는 얘기 역시 사모펀드의 인수 가능성을 높이는 대목이다. 금융당국이 합병 목적으로만 증권사 인허가를 내주기 때문에 별도 계열사로 둘 수 없고, 기존 증권사가 당사의 사명을 버리고 SK증권의 이름을 취하는 것 역시 어렵다는 점에서다.

앞선 증권사 CEO는 "증권사의 경우 합병을 해야되기 때문에 SK측이 끝까지 해당 조건을 유지할 경우 결국 PEF로 팔 수밖에 없지 않겠냐"며 "PEF의 경우 굳이 사명을 바꿀 필요도 없고 오히려 사명을 유지하면 캡티브물량을 확보하는 데 긍정적일 수 있다"고 진단했다.

 

[뉴스핌 Newspim] 조한송 기자 (1flower@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