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광고

중국 인건비 경제성장과 함께 초고속 상승, 시기별로 고연봉 직종 변화

기사등록 : 2017-07-13 11:27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뉴스핌=황세원 기자] 1978년 개혁개방 이래 중국 경제의 초고속 성장과 함께 중국인 근로자의 인건비도 급격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 근로자의 인건비와 고액 임금 업종은 경제 성장 단계별로 국가의 중점 산업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중국의 산업 구조가 3차 산업인 서비스 산업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는 최근에는 해당 분야 연봉 수준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들 업종은 잠재 수요가 방대한 반면, 인력이 부족해 고연봉을 제시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978년 개혁 개방 당시에는 전력용 석탄 및 물 생산·공급 업종에서 최고 연봉자가 집중적으로 생겨났다. 당시 경제 개발과 함께 정부 주도 공공사업 관련 업종이 급성장하면서 인력 수요가 급증한데 따른 현상이다. 이들 분야의 평균 연봉 수준은 850위안(약 14만원)이었다.

이 밖에도 건축, 지질탐사, 수리(水利)관리, 채굴 등 업종 내 인재 수요가 급증하며 연봉은 전체 평균 이상으로 상승했다.

이 같은 중국의 고연봉 업종 구조는 10여년간 지속됐으나 90년대 이후부터 조금씩 변화가 생기기 시작했다. 2, 3차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부동산, 금융, 정보통신, 소프트웨어, 과학 및 종합 기술 연구 등 분야가 새로운 인기 직종으로 부상한 것.

중국 유력 매체 21스지징지바오다오(21世紀經濟報道)에 따르면 중국 제조업 평균 연봉은 1978년 597위안(약 10만원)에서 1990년 2073위안(약 35만원)으로 올랐으며, 1995년에는 5168위안(약 87만원)까지 상승했다. 같은 기간 제조업과 기타 업종과의 임금 격차도 꾸준히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90년대 후반 일부 산업을 중심으로 공급 과잉 문제가 부각되면서 제조업 구직 열풍은 시들해지기 시작했다.

이 자리를 대체 한 것이 바로 금융업이다. 금융업은 당시 중국 부동산 열풍, 국가급 인프라 설비 투자 확대 기조에 따른 대출 수요 증가로 직접적인 수혜를 입었다. 금융업의 급성장은 고급 인력 수요 증가로 이어졌고 금융권 임금은 고공행진하기 시작했다.

중국통계연감에 따르면 금융·보험 연봉은 1995년 7376위안(약 124만원)에서 2001년에는 1만6277위안(약 273만원)으로 두 배 이상이 늘었다. 금융업 연봉은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올라 2016년에는 11만7418위안(약 1970만원)을 기록했다.

이 밖에 IT 업종도 90년대 전세계적으로 불어 닥친 인터넷 열풍을 바탕으로 폭발적인 성장세를 거듭하며 주요 고소득 업종으로 떠올랐다.

실제 중국의 소프트웨어·정보처리기술 분야 연봉은 2004년 3만3449위안(560만원)에서 2016년12만2478위안(약 2060만원)으로 약 4배가 뛰며 중국 최고 고소득 직종에 등극했다. 금융업과 과학연구 및 종합 연구 서비스는 연봉 11만7218위안(약 2000만원), 9만6639위안(약 1620만원)으로 각각 2위와 3위에 올랐다.

한편 최근 몇 년간 중국 부동산 열기 냉각, 정부 주도 인프라 투자 수요 감소로 제조업과 금융업 성장세가 둔화한 가운데, 문화, 엔터테인먼트, 의료 등 서비스업이 새로운 인기 직종으로 부상해 눈길을 끈다.

중국 유력 매체 21스지징지바오다오(21世紀經濟報道)는 “중국 소비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서비스산업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인력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며 "향후 서비스 업종 고급 인력의 소득은 꾸준히 올라, 기타 주요 고소득 업종을 뛰어넘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어 매체는 “그 외 전통적 1차산업인 농림업도 연봉 상승 여력이 충분히 크다”며 “현재 농림업 연봉은 금융업의 25%, 제조업의 50%로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지만 향후 과학 기술 적용, 친환경 농림업 육성이 본격화되면 고급 인력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뉴스핌 Newspim] 황세원 기자 (mshwangsw@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