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newspim

[스타톡] 이자람 "송화가 피해자로만 남는다면 '서편제'는 추락하고 마는 거죠"

기사등록 : 2017-10-21 12: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뉴스핌=글 양진영 기자·사진 김학선 기자] 이자람은 뮤지컬 '서편제'의 중요한 축을 담당한다. 국악 수퍼바이저, 또 송화 역의 배우 이상으로 다양한 역할을 수행 중이다. '서편제'의 송화가 아닌 이자람은 삶 전체를 운영해가는 그의 본래 모습과 꽤 닮아있다.

뮤지컬 '서편제'의 초연부터 현재까지 자리를 지켜온 이자람과 만났다. 화장기 없는 얼굴에 수수한 인상. 거침없고 소탈하게 말하지만 꽤 오랜 시간 진중하게 고민해온 티가 나는 답변들을 꺼내놓는 그가 낯설었다. 예술이란 분야 안에서 거의 모든 영역을 건드리는 그임에도 내면의 중심이 꽤 단단하게 서있음이 고스란히 느껴졌다.

"저는 판소리를 만드는 사람이라 뮤지컬 '서편제'는 우리 동네 아닌 다른 곳에 놀러가는 일이에요. 늘 반갑고 늘 생경한 시간이죠. 항상 각별한 느낌이지만 솔직히 준비하는 마음이 쉽지만은 않아요. 많은 각오가 필요하고 많은 사람을 만날 준비를 해야 해서 좋기도 하고 무섭기도 해요. 매번 나와 좋은 전투를 치르는 일이고, 매너리즘에 빠질 즈음에 무언가를 환기시키는 경험이죠. '서편제' 자체가 너무 귀한, 여러 사람들을 만날 수 있는 커다란 운동장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이자람은 소리를 하던 사람이라 그런지 뮤지컬 '서편제'의 무대에 빠르게 적응했다. 그는 "소리꾼이자 배우"라고 스스로를 얘기했고 보다 그를 두렵게 했던 건 뮤지컬 노래를 해야 한다는 점이었다고. 단단히 마음은 먹지만 또 어떤 흔들림이 두려워 관객의 평은 웬만하면 보지 않는 편이라고도 했다.

"판소리 할 때도 무대 위에서 여러 명의 캐릭터를 소화하면서 세계 무대를 누볐었죠. 배우로 연기를 하는 것보다도, 뮤지컬 넘버를 불러야 한다는 게 너무 괴롭고 두렵고 또 기쁜 숙제예요. '살다보면' 할 때는 이런 노래를 이런 곳에서 또 부를 수 있는 기회가 얼마나 또 찾아올 것인가 생각하고, 매번 감사하고 혼자 떨기도 하죠. 평은 잘 보지 않는데, 좀 무섭기도 하고 저를 방해하는 것들이 생길까봐요. 보시는 분들은 너무 다양하고 매일의 저도 많이 다르니까요."

그저 '한'이라는 단어 하나로 표현되고 평가받는 뮤지컬 '서편제'를 둘러싼 이자람만의 시각은 신선했다. 가부장적이고 맹목적인 아버지 유봉 때문에 눈까지 멀게 되는 송화. 이 대목에서는 불편함을 토로하는 관객도 적지 않다. 이자람은 과거의 예술을 현대로 가져오는 데에 신경쓴 부분, 또 서편제의 송화를 표현하기 위해 공들였던 포인트를 차근히 설명했다.

"불편하신 분들이 분명 있겠죠. 하지만 이청준의 소설 '서편제'가 워낙에 그렇게 생긴 스토리예요. 근대 문학은 물론, 우리 나라 과거의 예술들이 굉장히 가부장적이고 여성은 많이 배제돼 있고 도구로만 사용돼 왔죠. 여성 중심의 캐릭터도 없고요. 그렇다고 이걸 평등을 위해 함구해야 하느냐, 지금 우리가 동의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풀어갈 것이냐 고민했죠. 이지나 연출님이 그러시더라고요. 결국 송화가 피해자로만 남으면 우리는 그냥 추락하고 마는 거라고요. 송화도 유봉과 비슷한 징글징글한 피를 가져서, 혼자 힘으로 소리를 찾아가는 여자예요. 그걸 표현해 달라고 하셨어요."

이자람의 말처럼, 송화가 아버지가 강요를 하지 않았어도, 눈을 멀게 하지 않았어도 자신의 소리를 묵묵히 찾아가는 삶을 산 것으로 본다면 '서편제'의 교훈은 꽤 달라진다. 그는 "아버지가 내 눈을 멀게 했을때 무대에서 정말로 화가 난다"면서 두 번의 화가 찾아온다고 고백했다. '한'에도 특별히 방점을 찍지 않았다는 이자람은 국악인으로서 판소리가 대중에게 어떻게 인식됐으면 하는지, 또 어떻게 사랑받기를 원하는지 자연스럽게 드러냈다.

"아버지가 눈을 멀게 했을 때, 또 먼저 죽었을 때 두 번의 화가 올라와요. 하지만 송화는 그것 때문에 소리를 찾은 게 아니에요. 그런 일들이 전혀 없었어도 소리를 찾고 그 심청가를 완성해냈을 거예요. 저는 서편제가 그냥 다 한으로만 해석되지 않길 바라고 있어요. 한은 삶에서 겪는 작은 분노들이 하나 하나 쌓여서 이뤄지는 거잖아요. 판소리는 인생을 다 담는 예술이지 한만 담는 예술이 아니었음 해요. 한보다는 남자도 가족도 없었던 한 여자가 소리와 자신을 결국 일치시키는 과정이 바로 서편제인 거죠."

이자람은 '서편제'의 송화를 연기하는 것 말고도 판소리를 직접 쓰고, 또 창극의 대본을 쓰기도 한다. 이자람 밴드의 음악을 만들고 무대에 올라 열창을 하기도 한다. 말하자면 종합 예술인인 셈이다. 한 가지로 규정할 수 없는,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아티스트. 이자람은 스스로를 그렇게 정의했다.

"저를 얘기하자면 한글로는 창작자, 영어로는 아티스트가 가장 가까워요. 무언가를 계속 창조해낼 수 있는 사람이 되고자 하죠. 항상 노는 것에 중점을 둬요. 그 욕망이 사라지면 예술적으로 죽음을 맞이할 것 같아요. 판소리를 하다 어떤 책임감이 들 때도 '놀아야 해' 하면서 밴드 음악을 하고 놀아요.(웃음) 이걸 또 '잘 해야 하지 않나' 싶을 때는 대본을 쓰면서 놀죠. 제가 하는 일들이 서로에게 위로가 되게끔 작용하고 있어요."

특히 이자람은 서구적 소재나 평범한 이야기들을 판소리로 써내는 작업에 유난히 애정을 드러냈다. 그건 아마 그의 정체성이나 책임과도 맞닿아있음이 분명했다. 그는 '서편제' 이외의 다른 뮤지컬은 당분간은 없을 테지만, 분명히 얻어가는 것이 있다면 제작자로든, 배우로든 다시 무대에 설 예정이다.

"다양한 얘기들을 판소리화 하는 작업은 아마 계속 할 것 같아요. 판소리를 만드는 일이 제가 가장 잘 할 수 있는 분야고 결국 회귀하는 곳이죠. 도망가고 싶어도 제가 그렇게 생겨먹은 사람이더라고요.(웃음) 올해는 정말 제 작업을 안하고 쉬는 해였어요. 내년에는 슬슬 굵직하게는 국립 창극단에서 연출을 맡은 게 있어서 대본을 다시 쓰게 될 것 같아요. 대본부터 무대에 서기까지 도맡아서 하는 '아워타운'이라는 작품이 내년 혹은 내후년에 올라가요. 또 내년에 밴드 2집도 나올 거예요. 하하."

[뉴스핌 Newspim] 양진영 기자 (jyyang@newspim.com)·김학선 기자 (yooksa@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