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이 기사는 10월 23일 오후 6시12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강소영 기자] 중국의 스마트 의료 산업이 19차 당대회에서 시진핑 총서기가 언급한 '신시대'를 맞아 폭발적인 성장을 예고하고 있다. 반도체·가전·IT 등 첨단 기술 분야 중국 대기업이 앞다퉈 의료 시장에 진출하면서 중국 의료 산업의 스마트화가 빨라지고 있다.
중국 유력 경제매체 디이차이징르바오(第一財經日報)는 징둥팡·하이얼·하이신·메이디·BAT(바이두·알리바바·텐센트) 등 반도체·가전·IT 등 각 분야에서 내로라하는 중국 기업의 의료 및 헬스케어 사업 추진이 잇따르고 있다고 최근 보도했다.
중국 사회의 고령화 가속화, 중국인의 소득 증대에 따른 건강 중시 풍토 확산으로 헬스케어와 의료 시장의 고속 성장이 기대되면서 이 분야에 대한 대기업의 연구개발과 투자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 반도체, 가전, IT 대표 기업 스마트의료 진출 봇물
중국의 대표적 반도체 기업 징둥팡(BOE)는 지난 18일 쓰촨성 청두시에 60억 위안을 투자, '징둥팡 디지털 의학센터'를 설립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징둥팡 디지털 의학센터는 심혈관, 정형외과, 종양, 재활과 부인소아과 전문 영리 종합병원으로 진료와 함께 의학 연구개발, 의학교육, 연구개발 등의 기능을 갖추게 된다. 2019년 준공, 2020년 연말 운영에 돌입할 예정이다.
징둥팡은 지난 2015년 이후 의료 분야에 대한 투자를 늘려오고 있다. 2015년 6월 2억5000만 위안에 베이징 밍더(明德)병원을 인수하고, 이를 징둥팡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 사업의 기지로 활용하고 있다. 이후 징둥팡은 베이징 밍더병원을 중심으로 미국 의료서비스 그룹 디그니티(Dignity), IBM과 업무 협정을 맺었다.
디스플레이 전문 기업인 징둥팡은 최근 몇 년 사업 영역을 사물인터넷 분야로 확장하고 있는데, 스마트 의료 사업 역시 이러한 전환의 일환으로 전개하고 있다.
중국의 대표적 가전기업 하이얼도 의료 시장에 출사표를 던졌다. 지난 7월 초 하이얼 자본이 투자한 상하이 융츠캉푸병원(上海永慈康復醫院)이 문을 열었다.
하이얼은 융츠캉푸병원을 중심으로 인근의 요양원, 양로원과 함께 운영하며 전문적인 헬스케어 서비스를 추진하고 있다.
또다른 유명 가전업체 하이신도 의료 시장을 정조준했다.하이신은 의료 전문 설비와 의료 정도 처리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부문을 동시에 공략하고 있다.
하이신은 이미 정밀의학 기기 분야에서 상당한 기술력을 축적한 상태다. 하이신의 컴퓨터보조수술시스템(CAS)은 TV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쌓은 고해상도 구현 기술을 정밀 의료 기기에 접목하면서 로봇수술의 정밀도와 정확도를 대폭 제고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이신은 2015년 하이신CAS 시스템을 출시한데 이어, 외과 스마트 디스플레이 시스템(SID)를 발표했다. 중국 12.5규획(12차 경제개발계획)의 핵심 지원 사업이었던 이 두 시스템은 중국 의료과학 분야의 정밀의학과 의학데이터의 공백을 채운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독일 로봇기업 쿠카를 인수하며 로봇 전문 기업으로 부상한 메이디 그룹도 의료 분야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 9월 19일 메이디그룹은 중국 광저우의약그룹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로봇과 의료기기 개발·헬스케어 빅데이터 운용·스마트 의료 서비스 공급 플랫폼 구축·의료 분야 투자 등에서 협력하기로 했다.
알리바바·바이두·텐센트 등 중국 3대 IT 기업도 스마트 의료 시장 진출에 적극적이다.
전자상거래와 모바일 결제에 강한 알리바바는 의약품의 온라인 판매와 병의원 이용 서비스 시스템을 중심으로 스마트 의료시장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알리바바 산하 모바일 결제 부문 알리페이는 2015년 5월 '미래병원' 프로젝트를 출시, 병원의 수납·진료 접수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보다 앞선 2014년 1월에는 중국 유일의 온라인 약품 판매 자격을 갖춘 업체 중신21스지(中信21世紀)의 지분 54.3%를 인수했다. 이 업체는 중국에서는 유일한 전자상거래 약품 공급업체이자 모든 약품의 유통 추적 자격을 갖추고 있다.
알리바바는 중신21스지의 이름을 '아리건강'으로 변경하고 헬스케어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아리건강은 우한(武漢) 중심 병원과 함께 중국 최초의 인터넷 의원 서비스를 전개하고 있다. 인터넷 의원은 원격 진료, 전자 처방전 발급, 약품 배송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텐센트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영상의학 부분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올해 8월 텅쉰미잉(騰訊覓影)이라는 인공지능 영상의학 시스템을 출시했다.
6개의 인공지능 시스템으로 구성된 텅쉰미잉은 식도암, 폐암, 당뇨병, 자궁경부암과 유선암 검사와 진단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이중 가장 높은 기술력을 축적한 식도암 판독 기술은 정확도가 90%에 달한다고 텐센트 측은 밝혔다.
바이두 역시 스마트 의료 분야에 대한 청사진을 구축했다. 바이두는 4단계에 걸친 스마트 의료 사업 계획을 밝혔다.
1단계는 O2O 의료 정보 서비스, 2단계는 스마트 원격 진료 서비스 추진이다. 3단계에서는 유전자 분석, 정밀의료 및 의학 빅데이터 운용 등을 전개할 방침이다. 마지막 4단계에서는 신약 연구개발이다. 이 모든 과정에서 바이두가 축적한 인공지능 기술이 적극적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 중국 의료시장 고속 성장, 의료산업 국민 경제 지주 산업으로 부상
분야를 막론하고 막강한 기술을 보유한 기업들이 앞다퉈 의료 분야에 뛰어드는 것은 중국의 의료 시장의 잠재 성장성때문이다.
중국은 13억 인구에 기반한 방대한 노령인구, 고령화 가속화, 삶의 질 추구에 따른 의료 서비스 수요 증가로 의료 관련 시장이 매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여기에 인공지능, 초고해상도 디스플레이, 빅데이터, 초고속 인터넷 등 첨단 기술이 낙후한 중국 의료 시스템 개선을 촉진하면서 각 산업 분야 대표 기업의 의료 시장 진출이 빠라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하이얼그룹은 "미국의 1년 의료 비용은 20조 위안 수준인데, 중국은 5조 위안에 불과하다"며 중국의 의료 건강 산업의 발전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밝혔다.
메이디는 "중국의 의료기기 시장 규모가 이미 1조 위안대에 도달했고, 연평균 25%의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며 중국 의료 기기 시장 성장성을 높이 평가했다.
고령화 가속화에 따른 의료 수요 급증도 시장 자본과 기업의 진출을 촉진하는 요인이다.
중국 인력자원과사회보장부에 따르면, 노인인구 비중은 매년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2009년 전체 인구의 12.5%의 비중을 차지했던 60세 이상 인구는 2016년 2억3000만명으로 16.7%에 달했다.
늘어나는 노인인구와 의료 서비스 수요 확대로 중국 정부의 민간자본의 의료시장 진출을 장려하고 있다.
2020년 전면적 샤오캉 사회(전 국민이 물질적으로 풍요로운 사회) 건설을 목표로한 중국 정부는 의료 보건 서비스 개선은 민생개선의 중요 사업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중국 중앙정치국에서는 '건강한중국 2030' 계획 요강이 통과됐다. 이는 향후 15년 중국인의 건강한 삶을 위한 총체적 계획안이다.
산업 전문가들은 의료 및 헬스케어 산업이 중국 국민경제를 지탱하는 지주 산업의 한 가지로 부상하게 됐다고 평가한다.
[뉴스핌 Newspim] 강소영 기자 (js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