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헤지펀드 '압박'에 배당 늘린 삼성, 투자 영향없나?

기사등록 : 2017-11-01 09:49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3년간 29조 '엘리엇 요구'와 부합, '주주 달래기' 분석
경영권 불안해 곳간 계속 털린다...현금 증가 제한적

[ 뉴스핌=황세준 기자 ] 삼성전자가 향후 3년간 29조원의 현금 배당을 약속했다. 재계는 삼성전자가 대규모 투자를 늘리는 상황에서 이같은 배당정책을 꺼내든 것은 '외국인 주주 달래기'라고 평가한다. 경영권을 위협하는 헤지펀드들이 과거부터 줄기차게 요구해 왔던 사안이라는 점에서다.

1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배당 확대는 지난해 10월 미국 헤지펀드 엘리엇이 이사회에  제안한 방안과 부합한다. 엘리엇은 당시 삼성전자에 30조원 또는 보통주 1주당 24만5000원 규모의 특별 현금 배당을 요구했다.

앞서 지난 2014년에도 미국계 헤지펀드인 페리캐피탈 등이 삼성전자 주식을 대량 매수한 후 삼성전자 경영진과의 회동을 통해 배당 확대를 압박한 바 있다.

삼성전자는 전날 컨퍼런스콜을 통해 2018년부터 2020년까지 3년간 잉여현금흐름의 최소 50%를 주주환원 재원으로 유지하면서 배당을 집행한 후 잔여 재원이 발생하면 추가 배당이나 자사주 매입·소각을 통해 환원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올해 계획한 배당금(4.8조원)을 합하면 4년간 34조원을 주주들에 돌려준다. 대부분은 외국인 주주들이 가져간다. 삼성전자의 외국인 주주 비율은 10월말 현재 53.4%다. 지분율 0.64%인 이재용 부회장이 3년간 받을 배당금은 1900억원 수준에 불과하다. 

삼성전자는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을 검토했으나 이재용 부회장 구속수감 이후 전면 백지화했다. 재계가 장기적 기업경영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으로 제안해 온 신주인수선택권(포이즌필), 차등의결권 등 경영권 안정화 장치 도입도 법제화가 되지 않고 있다.

시장에서는 곧, 경영권이 불안한 삼성전자 입장에서 주주친화 정책을 적극 사용할 수 밖에 없다는 진단이 나온다. 

◆ 외인 지분 53% 넘어 경영권 위협...미래먹거리 선제적 투자 제약 

실제 이 회사의 배당성향(순이익 대비 현금배당 비율)은 '이재용 체제'가 본격화된 2014년 이후 지속 상승세다. 2014년 13%였던 배당성향은 2015년 16.42%, 2016년 17.81%로 높아졌다. 올해는 20%에 육박할 전망이다.

헤지펀드의 공격은 글로벌 기업들의 고민거리다. 경쟁사인 애플도 팀쿡 CEO 취임 후 배당 확대 요구를 들어준 바 있다. 지난 2013년  그린라이트캐피탈이 애플 연례주총을 앞두고 뉴욕 연방법원에 소송을 낸 것.

그린라이트는 당시 "애플이 보유한 주당 145달러의 현금은 주주들의 돈"이라며 매년 2달러씩 배당하는 액면가 50달러짜리 우선주를 발행"을 촉구했다. 헤지펀드의 공격으로 주주들의 요구는 거세졌다. 주총에서 우선주 발행 조항 삭제를 제안하려던 애플은 계획을 접었고 그린라이트는 소송을 취하했다.

문제는 이같은 곳간털기식 배당 확대가 회사의 미래 먹거리 투자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이다. 현재 삼성전자 호실적 배경인 반도체 호황이 2020년까지 지속된다는 보장도 없다. 이미 시장에서는 내년 이후 업황을 부정적으로 보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중국 등 반도체 업계의 웨이퍼 투입량이 D램 월간 11만3000장, 낸드플래시 월간 18만3000장 규모 증가한다는 점에서다.

송명섭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는 반도체 업황이 타이트한 수급을 이어갈 것으로 제시했으나 기존 업체들의 투자 급증과 중국 업체들의 시장 진입이 공급 증가를 이끌어 내년 하반기부터 업황이 둔화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삼성전자는 29조원 현금배당과 관련해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이며, 2018~2020년 사업 실적이 예상보다 부족하더라도 배당금 지급계획에 변화는 없다고 설명했다.

향후 투자규모는 배당금보다 크다. 삼성전자는 2021년까지 평택과 화성 반도체 사업장에 21조4000억원의 추가 투자를 단행해 3차원 낸드플래시 미래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사우스케롤라이나주에 3억8000만달러(한화 약 4343억원) 규모의 현지 가전공장도 설립한다. 미국 오스틴에 소재한 반도체 공장에 대해서도 2020년까지 15억달러(1조7000억원)을 추가 투자한다.

중국 시안 반도체공장(SCS)에도 3년간 70억달러(7조8400억원)을 추가 투자한다. 이와 함께 충남 아산 삼성디스플레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신규단지 인프라 건설도 검토 중이다. 

올해 시설투자 규모를 46조2000억원으로 지난해 25조5000원 대비 81.2% 늘리는 것은 배당 확대에 대비한 선제적 조치라는 분석이다. 사업별로는 반도체 29조5000억원, 디스플레이 14조1000억원 수준이다.

회사측은 "이러한 투자는 향후 2~3년을 내다보고 하는 것"이라며 "4분기 투자는 상당 부분이 반도체 사업, 특히 신규부지 조성과 클린룸 공사 등 인프라 구축을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단, "최근 같은 설비 확충이 지속되는 상황에선 현금 증가는 제한적이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우려했다. 

[뉴스핌 Newspim] 황세준 기자 (hsj@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