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newspim

유신·북한·노근리·광주…예술가들이 '사회'를 보는 방법

기사등록 : 2017-11-10 08:36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성능경 작가 '신문 읽기' <사진=국립현대미술관>

[뉴스핌=이현경 기자] 예술가의 사회 참여활동은 남다르다. 저마다 자신이 전하고 싶은 메시지를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미디어를 선택했다. 행위 예술가는 자신의 몸을 통해서, 건축가들은 도시를 통해서, 사진가는 자신의 렌즈로 바라보는 세상을 프레임에 담았다.

사회적 메시지를 얹은 예술품은 이 시대를 동행하고 있는 이들에게 더욱 큰 울림을 준다. 또한 역사적인 기록물이 되어 다음 세대를 향한 교훈과 조언, 학습을 시켜주며 이것이 차곡차곡 쌓이면서 인류의 재산이 되어가고 있다.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에서는 ‘역사를 몸으로 쓰다’ 전이 열리고 있다. 이 전시는 1960년대 이후 최근까지 예술 매체로서의 신체와 몸짓이 우리를 둘러싼 사회, 역사, 문화적 맥락과 관심을 드러내 왔는가에 초점을 맞췄다.

박찬경 작가 '소년병' <사진=국립현대미술관> 

1976년 유신정권 당시의 언론 검열 상황에 대한 저항 퍼포먼스 ‘신문 읽기’를 펼친 성능경 작가의 작품을 볼 수 있다. ‘신문 읽기’는 신문 기사는 자르고 투명통에 담고, 광고와 사진만 남은 신문을 벽면의 패널에 하루 게재하고 다음날에도 이와 같은 행동을 이어간다. 이는 분리수거 행위에 가까우며 1970년대라는 시대적 상황의 맥락에서 보면 권력에 대한 작가의 저항 정신이 스며있다.

미디어 아티스트이자 영화감독인 박찬경은 2017년 신작 ‘소년병’을 선보였다. 그는 냉전 상황에서 남북의 관계에 대해 초점을 맞췄다. 그는 인민군 병사가 산속을 배회하는 이야기를 찍었다. 북한에 대한 이념적, 정치적 관계의 프레임과 거리를 두고 휴머니즘적인 시선으로 표현했다. 이와 같은 의도에 대해 박찬경 감독은 “어떻게 보면 일상적인 이미지 접근이 더 위험할 수도 있고, 그렇게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이 점을 보면 더욱 재미있게 작품을 감상할 수 있을 거다”라고 전했다.

서울시립북서울미술관에서는 ‘2017 서울 사진축제’ 행사 중 일환으로 ‘성찰의 공동체: 국가, 개인 그리고 우리’가 열리고 있다. 이 전시는 한국사회 안에서 일어난 역사적 사건과 시대적 상처를 사진작가들의 시선으로 담고 있다.

임안나 작가 ‘Restructure of Climax Scene#1’(위)<사진=서울시립미술관>

권순관 작가는 60년간 은폐됐던 노근리 사건에 관심을 가졌다. 그는 300여 명이 암매장된 것으로 추정된 숲의 모습을 렌즈로 바라봤다. 그는 질서, 지식으로 주어지는 역사에 대면하기보다 개인의 취향을 바탕으로 작품을 담기로 기획했다. 이에 그의 작품이 전시된 곳에는 미군기지에서 채취한 소리도 흘러나온다. 그가 생각하기로 노근리에는 침묵과 풀벌레 소리, 전차 소리가 있을 것으로 짐작했고 이에 상상을 더해 '어둠의 계곡'을 완성했다. 

임안나 작가는 ‘Restructure of Climax Scene#1’을 통해 ‘전쟁’에 대한 이야기를 꺼냈다. 그의 작품의 피사체는 탱크다. 그는 무기를 보는 일반인들의 시선은 영화에서 통용되는 이미지에 머물러있고 ‘나’와는 관계가 없다고 생각한다. 폐무기(전시된 탱크와 같은 것) 앞에서 무심코 사진을 찍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특별한 의미를 두지 않고 무의식적인 행동 습관이다. 또한 탱크 전시장에서는 전시 기획 배경과 관련한 설명보다 탱크의 성능과 스펙에만 집중하는 경우가 많다. ‘Restructure of Climax Scene#1’으로 임 작가는 전쟁과 나와의 관계에 대한 생각을 할 수 있는 기회를 관객에게 선사했다.

임종진 작가는 ‘오월광주에 서다’ 작업으로 아무런 죄 없이 국가로부터 간첩이라는 판결을 받고 고문을 받고 상처를 받은 이들을 재조명했다. 임 작가는 이들의 심리치료를 돕고 있다. 과거 구타를 받았던 곳, 죽음을 대면했던 장소를 직접 찾아 사진을 찍으면서 과거의 아픔과 대면하며 치료하는 과정이다. 임 작가는 작품에 대해 “개인의 자존감을 무너뜨린 장소에서 옛날의 기억을 지속해서 만나며 자신을 살피고 돌아보는 과정을 담은 것”이라면서 “최근 이분들은 모두 무죄 판결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사진으로 자신의 삶을 재생하는 이들의 이야기가 가슴 뭉클하게 하는 전시다.

건축 단체의 사회 활동 <사진=이현경 기자>

건축가들 역시 사회를 향한 목소리를 꾸준히 내고 있었다. 이는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내년 2월18일까지 열리는 ‘종이와 콘크리트:한국 현대건축 운동 1987-1997’에서 확인할 수 있다.

1987년부터 1991년까지 활발하게 활동한 청년건축인협회는 진보적인 건축운동단체다. 이들은 건축운동의 방향, 건축 관련 법제도, 주거 및 도시 문제, 건축의 노동조건에 주목했다. 또한 건축사 특별전형제도 폐지 운동, 용산미군기지 활용 방안으로서 공공임대주택 건설 제안, 인천 철거민 집단 이주지 설계, 대단위 개발에 대한 대안으로서 도심지 내 소필지 재건축 기획에 대해서도 고심했다. 청건협은 5회에 걸쳐 ‘청년건축’을 발간했다.

4.3그룹(1990~1994)은 건축가로서 한 단계 성장하기 위한 학습을 계기로 건축가 14명이 모인 단체다. 당시 30~40대 건축가들이 그 동안의 실무를 통해 작업을 발표하고 건축을 설명하는 언어를 탐구했다. 이들은 이후 서울건축학교, 경기대 건축전문대학원 등 교육 단체로 활동 범위를 옮겼다. 파주 출판도시 등 2000년대 초 중요한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오늘날 한국을 대표하는 주요 건축가로 성장했다.

‘건축의 미래를 준비하는 모임’도 빼놓을 수 없다. 1993년부터 2000년까지 활동한 이 단체는 1993년 5월 설계, 감리 분리 방안에 반대하는 소장 건축가들을 주축으로 결성됐다. 이들은 건축 인허가 과정에 만연하던 부정행위를 근절하기 위한 ‘a마크 운동’을 벌이는 등 사회활동에 관심을 기울였다.  

[뉴스핌 Newspim] 이현경 기자(89hklee@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