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newspim

[뫼비우스 단상] 슬픔으로 빚어진 심연, 재즈

기사등록 : 2017-11-07 11:32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일상에 흔히 보이는 것들로 뫼비우스적, 그 이상의 상상 여행을 하려 한다. 주변의 사물들엔 저마다 독특한 내력이 숨어 있고 어떻게 빚느냐에 따라 보석이 되기도 하고 나침판이 되기도 한다. 그렇게 출발한 여행의 과정에 어떤 빛깔의 풍경이 나타날지, 그 끝이 어디까지 다다를지 필자 자신도 설레인다. 인문학의 시대라고 하는데 인문학에 대한 새로운 접근, 메타적 성찰 역시 필요한 시점이다. 사물과 풍경, 시대와 인문을 두루 관통하면서 색다르면서도 유익한 여행을 떠나려 한다.

미국의 조지아에서 오클라호마까지의 눈물의 길에 <체로키 어메이징 그레이스>가 뿌려졌다면 그 중간쯤의 아래인 루이지애나 주에서도 음악적으로 중요한 일이 벌어진다.
그 지역은 미국 역사의 또다른 어둑한 대지이다. 아프리카에서 노예로 끌려온 흑인들이 그곳에 많이 거주했다. 또한 그 지역은 프랑스 식민지였기도 해서 프랑스에서 이주한 사람들도 살았었다.

그러한 복잡성. 뿌리 뽑혀 온 노예의 후손들. 차가운 대지에 뿌리를 다시 내려야 하는 몸부림. 냉혹한 현실과 고향에 대한 절절한 그리움. 유럽에서 이주해온 백인들과의 갈등, 혼융 등등. 음악으로 빚어질만한 동기일 것이다.
아프리카 특유의 흥과 약동은 흑인 노예들의 후손들의 핏속에도 흐르고 있었다. 그것들은 그곳에 이주해 사는 유럽인들의 문화와 마찰과 어우러짐의 격류 속에 그때껏 지구상에 없던 새로운 음악을 빚어대기 시작했다.
재즈가 생기기 이전엔 블루스라고 해서 보다 단순하고 원초적인 음악이 만들어졌다. 찰리 파커나 쳇 베이커의 재즈보다 나는 이 노래들이 더 구성지고 그윽하다. 뿌리에 근접할수록 영혼을 당기는 근원성이 있어서일 것이다.
그러나 블루스도 뿌리는 아니다. 뿌리로 말하자면 위에 언급된 바다 너머 아프리카든가 아니면 바다 너머의 또다른 대지인 유럽일 것이다. 고향 상실과 타향의 고향 삼기. 그런 사람들간의 반목과 이색적인 교류. 블루스나 랙타임, 재즈가 그 속에서 피어난다. 흑인들은 백인들과 혼혈하기도 하고 기독교로 개종하기도 했다. 개종한 흑인들에 의해 흑인 영가가 탄생되고 그것은 가스펠로도 발전되어 나아갔다.
이 지역에 그런 것들만 있는 것이 아니다.
체로키 인디언들이 살던 조지아 주 근처에 스와니 강이 흐른다고 한다. 그 아름다울 강물 못지 않은 미려한 멜로디로 구성된 것이 포스터 작곡의 <스와니 강>이다.
포스터가 1826 년에서 1864 년 사이의 짧은 삶을 살았으니 <스와니 강>이 작곡된 해가 <체로키 어메이징 그레이스>가 불렸을 시기에서 멀지 않다. <스와니 강>은 민요라고 해서 대중가요에서의 가요와 다르다. 가요가 대중에 부합된다면 민요는 민중들 사이에 소박하게 움직여왔다.
아일랜드나 영국, 독일 등의 유럽, 아시아 전반 등등 전세계에 골고루 퍼졌을 각국의 민요들의 역사는 장구할 것이다. 그에 반해 미국의 민요는 미국의 역사가 짧기에 상대적으로 짧다. 물론 미국엔 그곳으로 이주해오기 이전의 유럽의 민요들도 이주민들과 더불어 따라와 불려졌다. 그런 민요들과 <스와니 강>이니 <콜로라도의 달밤>같은 미국 내에서 작곡된 민요들이 어우러졌을 것이다.
아메리카에 장구한 시간 동안 존재했을 인디언 음악들이 <체로키 어메이징 그레이스>로 비극적인 절정을 이룸과 동시에 소멸되었다고 친다면 그런 터전에 그처럼 유입되거나 작곡된 민요들이 불렸을 것이다. 체로키 어메이징 그레이스, 블루스, 랙타임, 재즈, 흑인 영가가 민요와 뒤섞여 빚어진 지역. 즉 대중가요의 산실. 그곳은 미국 안에서 가장 심한 진통으로 얼룩진 곳일 것이다.
눈물의 길이 조지아에서 서쪽으로 뻗어간 것은 미국의 서부 개척과 관계 깊고 루이지애나 주에 흑인 노예가 들어온 것은 그곳이 바다와 가까와서이다. 우리나라의 대표적 음악인 아리랑이 역사적인 한과 결부된 것처럼 멜팅 폿(melting pot) 같은 그 지역에서 대중가요의 빅뱅이 비롯된 것은 극적인 비극을 재료로 삼아 꽃 피는 음악, 더 나아가 예술의 한 면을 보여준다.

그 음악들을 생각할 때 내게 떠오르는 이미지 중의 하나가 화덕이다. 온갖 것들을 태우며 불이 살라진다. 뜨겁게 타오른다. 그 불은 그에 그치지 않고 주변마저 뎁힌다.
서양의 클래식은 바흐로부터 친다면 삼백 년 정도의 역사를 지닌다. 블루스나 랙타임, 재즈 등은 대략 백 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다. 그 시기를 거치는 동안 그 음악들은 점점 세련화되고 정교해지고 다양해진다. 클래식과도 주고 받는다. 서로가 서로의 화덕이 된다. 드비시, 거슈인, 루이 암스토롱, 찰리 파커, 쳇 베이커, 엘비스 프레슬리, 비틀즈, 아바, 글렌 굴드, 엘튼 존 등등의 거목들에 의한 주옥 같은 음악들이 펼쳐진다.

싸르트르의 소설 중에 <구토>가 있다. 사회와 문화, 삶 자체가 구토를 일으킬만큼 낯설고 부조리하다는 주제의식이 깔려 있다. 작품이 쓰여진 이차 세계 대전 전야의 유럽 역시 구토 즉 구역질이 느껴진다는 확장성도 지닌다.
유럽은 제국주의를 일으키기 전까진 세계에 그닥 폭력적이진 않았다고 말할 수도 있겠다. 그러던 유럽이 제국주의에 이어 자체적인 우열의 극한 경쟁인 세계 대전까지 치닫는 상황이 구토라고 진단될만하다. 그런 시대 상황 속에 <구토>의 주인공 로캉탱이 구원을 느끼는 것이 재즈이다.
대학 때 그 부분을 읽을 때는 그저 좋기만 했는데 재즈의 역사에 조금이나마 눈을 뜨니 묘한 느낌이 든다. 재즈의 탄생은 알다시피 다양한 요인들과 얽혀있겠지만 유럽의 아메리카 정복 및 아프리카 흑인 노예화의 관계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다. 말하자면 재즈는 그것을 작곡하거나 연주하는 주체들에겐 비극적인 면이 있다.
그런데 그들을 희생적이게 만든 장본인인 유럽이 스스로의 탐욕의 끝에 저지른 전쟁에 대한 환멸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그 희생자들이 빚어낸 음악에 마음을 달래는 것이다.
물론 음악엔 치유 효과가 있다. 더욱이 재즈엔 화덕 같은 면이 강해서 아픔이 큰 만큼 치유효과도 크다. 그러기에 고갈되고 황폐해진 유럽인의 마음을 달랠 수 있다. 음악의 위대성이기도 하다.
싸르트르는 재즈로 상징되는 예술의 구현에서 삶의 부조리를 벗어나는 구원의 가능성을 엿본다. 희생된 자들에게 또한번의 위로를 얻는 이중의 부조리는 재즈의 음악성과는 상반되는 역사성이자 진실이다. 싸르트르가 구원을 느끼는 것에 만족한다면 싸르트르가 생각이 짧은 것일 수도 있다. 재즈는 화덕이면서도 그런 성격으로만 끝날 수 없는 바닥 모를 심연을 지닌다.

이명훈(소설 ‘작약도’ 저자)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