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2017 한국①] “獨한가요?” 관계·사랑 끊은 나홀로 청년의 고독死

기사등록 : 2017-11-09 06: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고독사 중 청년 14%’ 서울시 복지재단 통계 
실업난과 불황, 1인가구 증가가 복합적 작용
“사회취약점 보여주는 것, 안전망 구축 절실”

[뉴스핌=황유미 기자] # 지난 8월 31일, 가족과 떨어져 홀로 살던 A(29)씨가 숨진 채 발견됐다. 연락이 닿지 않자 아들이 거주하는 원룸을 직접 찾은 A씨의 아버지는 부패해 알아볼 수도 없는 아들의 시신과 마주해야했다. 숨진 지 두달만이었다.

A씨는 4년전 가족들이 전남으로 이사하면서 부산에 홀로 남아 아르바이트를 하며 생활비를 벌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부족한 부분은 가족들이 보내주는 용돈으로 충당했으나 지난 6월부터 집세·휴대전화 사용료 등을 지원받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 지난 7월 충북 청주의 한 원룸에서 31살, 30살, 28살 여성 3명이 숨진 채 발견됐다. 보름가량 지난 뒤 발견됐다. 가족이나 지인과 유대 없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경찰은 아르바이트를 하다 보니 주변에 이들이 사라진 사실을 알 만한 사람이 없었던 것으로 추정했다.

게티이미지뱅크

경제적으로 어려운 독거노인들에게만 해당된다고 여겨진 '고독사'(孤獨死)가 청년 사회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사상 최악의 청년실업난과 경기불황, 1인 가구의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탓으로 분석된다.

고독사는 가족·이웃·친구 간에 왕래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 혼자 살던 사람이 홀로 사망한 후 방치됐다가 발견된 죽음을 의미한다. 시신을 인수할 사람조차 없는 '무연고 사망'과 비슷하면서도 다르다. A씨는 가족이 있기 때문에 무연고 사망은 아니다.

이런 고독사 개념에 대해서는 아직 공식적인 정의는 없다. 얼마나 발생하고 있는지 집계도 없을 수밖에 없다. 무연고 사망을 통해 가늠할 뿐이다.

기동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받은 '무연고 사망자 현황' 통계에 따르면, 2011년 무연고 사망자는 693명이었으나 2012년 719명, 2013년 878명, 2014년 1008명, 2015년 1245명으로 해마다 증가했다. 고독사 역시 매년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는 대목이다.

지난해 9월 서울시 복지재단의 '서울시 고독사 실태파악 및 지원 방안 연구'를 통해서는 20·30대의 고독사의 수치를 보다 명확하게 알 수 있다.

해당 연구에 따르면, 고독사 확실 및 추정사례 2343건 중 20·30대는 328명으로 14%를 차지했다. 특히 강남구 30대의 고독사 사례가 35건으로 전 연령 중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A씨와 청주 세여성 고독사 사건에서 보듯 청년 고독사가 늘어나는 것은 사상 최악의 청년실업난이 1인 가구 증가 현상과 맞물린 탓으로 분석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 8월의 청년실업률은 9.4%로 1999년 8월 10.7%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들은 공부에 집중하기 위해 고립된 생활을 선택하기 쉽다. 수입이 없는 빠듯한 생활도 주변과의 관계를 끊는 이유 중 하나다. 연애·결혼·출산을 포기하는 데서도 고독사의 위험을 읽을 수 있다.

게다가 '1인 가구'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되는 사회 구조 또한 청년 고독사에 일조하고 있다. 1인 가구에 대한 사회안전망이나 대책 마련의 속도가 이를 따라잡을 수 없기 때문이다.

1990년 전체 가구의 10%도 되지 않던 1인 가구(102만 가구, 9.0%)는 2000년 222만 가구(15.5%), 2010년 414만 가구(23.6%)에서 지난해 기준으로는 540만 가구(27.2%)로 급증했다.

지난해 1인 가구에서 청년층(20·30대)이 차지하는 비중은 34.8%(188만 가구)나 됐다.

전문가들은 청년고독사를 개인이 아닌 사회 문제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임명호 단국대 심리학과 교수는 "청년고독사는 질병·이혼 등이 이유인 노인고독사와는 달리 생의 주기에서 일찍 발생하기 때문에 사회가 가진 취약점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며 "따라서 사회적 도움(공적 부조)가 필요한데, 우선 정확한 실태 파악을 기반으로 상담센터 등 1인 가구를 위한 네트워크 강화, 청년을 위한 공적 부조 사업 등을 마련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금 우리 청년들도 1990년대 일본의 사회문제였던 '히키코모리'(은둔형 외톨이)처럼 되어가는 것 같다"며 "노인 고독사뿐만 아니라 청년고독사에 대해서도 대응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뉴스핌 Newspim] 황유미 기자 (hume@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