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공포에 떨게한 ‘좀비 마약’...韓마약 청정국가 아닌가?

기사등록 : 2017-11-15 11:36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해외 '좀비 마약' 관련 유사 사건 국내에서 발생
인터넷·모바일 등 신종 유통경로를 통한 마약범죄 13배 증가

[뉴스핌=오채윤 기자] 신종 마약인 이른 바, ‘좀비 마약’ 의심 사건이 국내에서 발생, 마약 청정국가 위상이 흔들린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5일 경찰청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에 따르면 서울 강북구 수유동의 한 모텔에 묵던 베트남 남성 A씨는 지난 10일 새벽 3시쯤 인근 가정집에 유리창을 깨고 침입해 일가족의 목과 다리 등을 물어뜯었다.

A씨는 목욕용 소금인 ‘배스솔트(MDPV)’를 투약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경찰은 이 같은 내용을 보도한 방송사를 향해 사실무근이라고 밝혔다. 배스솔트는 마약의 일종이다. 배스솔트는 마약의 모양이 입욕제와 비슷하게 생겨 만들어진 은어다. 

베스솔트는 지난 2011년 국내 밀매 시도돼 임시 마약류로 지정돼있는 메페드론, 메틸론, 메데드론, 플리페드론 등 성분이 첨가됐다. 2010년 미국에선 마취제로 사용된 바 있다.

베스솔트를 과다 투약하면 환각 증상을 비롯해 몸이 타는 듯한 느낌, 폭력적 행동이 나타나며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는 행동을 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런가 하면, 정신을 차린 후에는 기억하지 못한다. 이 때문에 마치 좀비를 보는 듯하다는 이유로, '좀비 마약'이라고 불리는 것이다. 일각에선 이 증세가 영화 '부산행'에 나오는 좀비와 비슷하다고도 한다. 

배스솔트와 플래카

‘플래카’ 역시 이와 비슷하다. 복용 시 환각이 며칠씩 지속되고 의사소통이 불가능하다. 5달러에 살 수 있어 ‘5달러의 광기’라고도 불린다.

이미 이 마약으로 인한 피해는 해외에서 속출하고 있다. 지난 2012년 미국 마이애미에서 좀비 마약인 배스솔트에 중독돼 인육을 먹은 사건이 발생했고, 지난해에는 플래카를 복용한 미국 소년이 부부를 살해하고 인육을 먹은 끔찍한 사건이 발생해 논란이 된 바 있다.

우리나라는 마약 청정국가라고 불리고 있지만, 마약 사범이 계속해서 검거되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달 11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바른정당 황영철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6년간 마약류 사범 단속 실적 자료에 따르면 경찰에 검거된 마약사범은 2012년 5105명, 2013년 5459명, 2014년 5699명, 2015년 7302명, 지난해 8853명으로 증가했다.

또 과거 마약의 유통 경로가 제한적이었다면, 현재의 마약 유통 경로는 인터넷과 모바일 등으로 다변화하면서 10대 마약사범 수도 무시못할 수준에 이르렀다.

밀매와 투약 사범이 주를 이루는 인터넷·모바일(SNS 기타) 등 신종 유통경로를 통한 마약범죄 연루자 수는 2012년 86명에서 지난해 1120명으로 13배 증가했다. 올해는 8월까지 적발된 인원도 902명으로 나타났다.

인터넷·모바일(SNS 기타) 등 마약거래선 다변화에 따라 19세 미만 미성년자 등 10대 마약사범 수도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누리꾼들은 마약 근절을 위한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영화 ‘부산행’이 제49회 시체스영화제에서 2관왕의 영예를 안았다. <사진=NEW>

[뉴스핌 Newspim] 오채윤 기자 (chae@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