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newspim

[이슈로 본 2017] 사드 유탄 맞은 유통가, 내년 허리띠 더 조인다

기사등록 : 2017-12-28 16:19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올해 유통 3대 이슈, 규제·차이나리스크·내수침체
내년 전망도 부정적...신규 출점 전무, 긴축경영 강화

[뉴스핌=박효주 기자]유통업계가 올해 규제 강화, 중국의 사드배치 보복, 내수 침체 등 갖은 악재를 겪은 가운데 내년 허리띠를 더 졸라맬 전망이다.

28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국내 주요 유통업체들은 내년 사업 계획을 최소화하고 임금을 동결하는 등 긴축경영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롯데그룹은 주력 계열사인 롯데백화점의 내년 임금을 동결하기로 했다. 이는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이다. 중국 사업을 전면 철수하고 있는 롯데마트 또한 임금 동결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롯데백화점은 3분기 매출 1조9020억원에 영업이익 570억원으로 각각 작년 동기 대비 3.6%, 8.6% 감소했다. 롯데마트(할인점 사업부) 역시 같은 기간 매출 1조9450억원으로 전년 보다 10.9% 감소, 영업이익도 860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이중 롯데마트 중국법인이 기록한 적자는 약 1010억원에 달한다.  

롯데그룹은 올해 중국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배치에 따른 보복으로 가장 큰 타격을 받은 업체다. 더욱이 신동빈 회장이 ‘롯데그룹 경영 비리’ 혐의로 재판 중인만큼 내년 불확실성에 대한 부담이 더욱 컸을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정부가 유통업계 규제를 강화하면서 롯데백화점, 신세계백화점, 현대백화점 등 업체들은 내년에는 신규 출점을 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웃렛의 경우 롯데아울렛만이 군산점·용인점 두 곳의 오픈을 준비하고 있고 신세계와 현대는 출점 계획이 없다.

대형마트 역시 상황은 비슷하다. 홈플러스와 이마트는 신규 출점을 하지 않을 예정이며 롯데마트는 내년 포항 두호점과 경기 양평점 2곳만을 오픈한다. 다만 포항 두호점은 지역 상인 반발로 출점시기가 미지수다. 롯데마트 전체 점포 수는 지난해 119개 점포에서 올해 121곳으로 늘었다.

이마트는 신규 출점 대신 부진점포 구조조정에 나서며 점포수를 줄여나갈 방침이다. 이마트는 지난해 말 기준 147개 점포에서 145개로 24년만에 점포 수를 줄였다. 홈플러스 또한 전국 142개 점포 중 14개 점포를 매각, 현재 128개 점포를 운영 중이다. 

유통업계가 신규출점을 사실상 포기한 까닭은 대규모 점포 출점에 대한 허가제, 기존 상권과 협의 의무화 등 규제가 줄줄이 예고됐기 때문이다. 또 정부는 내년 복합쇼핑몰과 아웃렛 등에 대한 의무 휴업제 도입, 영업시간 제한 등을 내년에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지난 8월 공정거래위원회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유통분야 불공정거래 근절 대책’을 내놨다. 현재 이들 규제를 담은 법안 30여개가 발의된 상태이며 이르면 내년 초부터 시행될 것으로 보인다.

유통업계는 정부의 규제 강화 방침에 내수가 가뜩이나 침체된 상황에서 영업환경이 어려워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국내 백화점 업계의 총 매출은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 연속 29조원대에 정체되어 있다. 매출 신장률도 매년 꺾이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2011년 11.4%를 기록한 백화점 업계의 성장률은 2012년 5.4%, 2013년 2.6%로 감소했다. 2014년과 2015년에는 각각 -1.6%, -0.4%로 역신장했다. 

박종렬 현대차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 2011년 이후 저성장 국면으로 봉착된 민간소비가 내년에도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기 어려울 것”이라며 “내년 유통업종에 가장 부정적인 위험 요인은 정부 규제라 판단한다. 규제의 강도에 따라 성장성과 수익성에 직접적인 타격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서울 소공동 롯데면세점이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김학선 기자 yooksa@

◆중국인 관광객 수 급감...직격탄 맞은 면세점 

중국의 사드 배치 보복 여파도 내년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냉랭했던 한중 관계가 해빙기를 맞았지만 방한 중국인 관광객 수는 예년 수준으로 회복 될 조짐을 보이지 않아서다.

중국은 지난 3월부터 한국단체관광을 금지하다가 9개월이 흐른 지난 11월 28일부터 다시 허가를 결정했다. 하지만 단체 관광이 재개된 이후에도 여행상품 판매나 예약은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면세점 업계는 올해 중국 관광객이 줄면서 직격탄을 맞았다. 면세점은 한때 중국 단체 관광객에 대한 매출의존도가 80%에 달하기도 한만큼 매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에 한화갤러리아 면세점은 중국인들의 제주 방문이 줄면서 매출이 급감했고 제주공항 사업권을 반납하기도 했다. 평택항만에 위치한 하나면세점도 9월 영업을 종료했다. 중소·중견면세점으로 임대료 부담이 커지자 버티지 못하고 영업 종료를 선언한 것이다.

업계 1위 롯데면세점도 갈수록 불어나는 적자에 수수료를 감당 못해 몇 달 째 인천공항과 협상 줄다리기를 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탓에 면세점들은 중국인 단체 관광객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해외로 눈을 돌려 살길을 모색하고 있다.

롯데면세점은 베트남 다낭공항점을 오픈했고 하노이, 호찌민 등에 시내면세점 오픈도 추진하고 있다. 신라면세점은 홍콩 첵랍콕 국제공항에서 운영을 시작했다.

한 유통업체 관계자는 “저성장 시대에 소비 심리는 살아날 기미도 없는 상황에 규제 강화까지 겹치면서 뾰족한 출구 전략이 없는 상황”이라며 “오히려 소비를 더욱 위축 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박효주 기자 (hj0308@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