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김민경 기자] 지난해 11월부터 이어진 한파와 폭설로 손해보험사들의 하반기 손해율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손보험을 비롯해 정부의 보험료 인하 압박이 올해도 이어지고 있어 손보사들의 주가에 변수가 될 전망이다.
<자료=각 사, KB증권> |
IBK투자증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보험업지수는 2.2% 하락했고 코스피 수익률은 전월(10월)대비 0.3%p 하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관련, 김지영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금리 상승 기대감 감소와 계절적 요인에 따른 손해율 상승 우려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자동차보험은 손해보험시장의 30%가량을 차지하는 상품으로 손보사들의 실적 상승을 견인해 왔다. 이남석 KB증권 연구원은 "손보사들이 작년 초 자동차보험료를 인하한 효과가 가시화되면서 상위사 위주로 손해율이 상승했다"고 진단했다. 이어 "동절기 계절적인 손해율 상승과 희망퇴직 비용 등 일회성 손실 가능성 등을 감안하면 12월까지 실적은 기대치보다 낮을 것"이라고 했다.
통상적으로 겨울철은 손보사들의 실적이 부진한 시기다. 겨울로 접어들면서 폭설이나 빙판길로 인해 자동차 사고가 잦아져 손해율이 급등하기 때문. 여기에 올초 보험사들이 문재인 정부의 보험료 인하 정책을 의식해 자동차보험료를 잇따라 인하한 것이 손해율 상승을 견인했다.
이 같은 손해율 상승은 주가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김지영 연구원은 "12월에서 2월까지 이어지는 손보사들의 실적 약화는 올해 1분기까지 주가에 반영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2016년의 경우 온화한 날씨 덕에 사고가 적어 손해율이 워낙 낮았다"며 "올해는 다소 올라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손해율이 높아져도 보험료 인상 카드를 섣불리 꺼낼 수 없는 업계 분위기 역시 올해 손해보험주가의 변수다. 문재인 정부는 지난해부터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를 골자로 하는 '문재인 케어' 정책을 발표하며 민영보험사들에게 보험료 인하를 유도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올해부터 보험업법 감독규정을 개정해 실손보험료 연간 인상폭을 기존 35%에서 25%로 축소하고 실손보험 끼워팔기를 금지하는 등 보험산업 규제를 가시화하고 있다. 특히 자동차보험의 경우 운전자라면 누구나 가입해야 하는 의무보험 특성상 공적인 성격이 있다고 판단, 보험료 인상을 최대한 억제하겠다는 것이 금융당국의 정책 방향인 것으로 전해졌다.
손보업계 관계자는 "보험료 인하는 문재인 정부 친서민정책의 일환"이라며 "실손보험에 이어 자동차보험료 인상을 억제하는 분위기"라고 설명했다. 이어 "보험은 규제산업이다보니 정부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라고 덧붙였다.
[뉴스핌 Newspim] 김민경 기자 (cherishming1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