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newspim

“2억도 부족해.. 더 줄께”...ICT업계의 AI ‘인재전쟁'

기사등록 : 2018-02-02 11:36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이통사, AI전담 조직에서 대학원 연구실 단위 채용설명회
'순수 AI 인재' 적어..."인재난 지속될 것"

[ 뉴스핌=성상우 기자 ] #머신러닝 기반 신호처리에 관한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전자업계에서 약 4년간 경력을 쌓은 A씨는 지난해 하반기 국내 포털사 중 한 곳에 인공지능(AI) 연구직으로 스카웃됐다. 그가 계약서에 싸인한 금액은 계약금과 연봉을 합쳐 3년간 총액 8억원.

#지난해 국내 K 대학원에서 머신러닝 기반 영상 처리 관련 박사 학위를 취득한 B씨 역시 포털사의 AI 연구직으로 입사했다. 이미지 인식 및 검색, 자율주행 등 영상 처리 관련 전문가가 기여할 수 있는 신사업이 많아 역할 비중이 커질 것이란 제안을 받았다. 그가 회사와 합의한 첫 해 연봉은 약 1억 5000만원이다.

#음성 처리 관련 박사 학위 보유자 C씨는 지난해 이동통신사에 입사했다. 단기 실적 압박을 받지 않고 연구에만 전념할 수 있다는 조건에 매력을 느꼈다. 이 회사가 음성인식 기반의 AI 서비스 개발에 힘을 싣고 있다는 점에서 비전도 발견했다. 그의 연봉은 약 1억 2000만원.

정보통신(ICT) 업계에서 AI 인재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자율주행, 사물인터넷, 챗봇 등 ICT 업계의 신사업 대부분에 AI가 근간 기술로 활용되면서 이 분야 전문가 확보에 기업들이 총력을 쏟는 중이다. 일정 권위 이상 학회에서의 논문 발표 등 검증된 인력의 몸값은 1억원 초반에서 2억원대까지 치솟았다.

SKT가 인재유치를 위해 최근 조성한 AI 연구 커뮤니티 <사진=SKT>

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 KT 등 이동통신사와 포털사, 게임사들이 최근 AI 인재 쟁탈전을 벌이고 있다. 각 기업들은 정기 공채 외에도 국내 각 대학원 연구실과 수시로 접촉하며 인재 '입도선매'에도 경쟁적으로 나선 상황이다.

임창환 한양대 생체공학과 교수는 "이통사들은 꾸준한 인재 영입 행보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최근엔 포털사들이 인재 확보에 가장 공격적"이라며 "이들 모두 신사업을 염두에 두고 있어 인재 확보 역시 AI 관련 전 분야에서 전방위적으로 이뤄지는 중"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SK텔레콤과 KT는 카이스트(KAIST), 서울대학교 등 국내 주요 대학원의 연구실을 찾아 수차례 채용설명회를 진행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정기 공채나 수시 채용을 포함, 학교 단위의 채용설명회는 일반적이었으나 연구실 대상의 설명회를 여는 것은 이례적이라는게 업계 시각이다.

최근 AI 관련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ICT업계에 종사 중인 한 관계자는 "지난해 KT 등 이통사 인사팀이 대학원 연구실을 개별 방문해 채용설명회를 수차례 진행한 바 있다"면서 "카이스트 대학원 기준 AI 관련 연구실 20~30개에 박사급 이상 인력은 100~150명 정도 되는데 대부분 3~5개 대기업의 입사 제의를 동시에 받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일정 권위의 학회에 논문 발표 실적을 보유한 박사급 이상 인재의 경우 1억원 초반에서 2억원대까지 몸값이 형성되는 걸로 안다. 3~4년 정도 경력이 추가되면 몸값은 더 뛴다"고 덧붙였다.

최근엔 엔비디아, 퀄컴 ,애플, 구글 등 글로벌 기업들까지 국내 AI 인력 쟁탈전에 가세하면서 '인재 품귀현상'도 심화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최근 1년간 엔비디아와 퀄컴은 논문 실적과 관련 경력 등 일정 요건을 충족한 인력에게 30만~40만 달러(약 3억 2000만원~4억 3000만원)의 몸값을 책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상대적으로 적은 보수를 지급하는 국내 기업들의 인재난은 갈수록 심화되는 모양새다.

이통사들은 각각 AI유닛·리서치센터(SKT), AI테크센터·사업단(KT), AI사업단(LGU+) 등의 AI 전담 조직을 보유 중이다. 각 사에 따르면 SK텔레콤과 KT의 AI 조직 인력 규모는 약 200명 수준이며 LG유플러스는 약 150명 규모다. 네이버와 카카오, 엔씨소프트도 각각 네이버랩스(비공개), 카카오브레인·AI부문(수십~수백명), AI센터(80여명)를 운영하고 있다.

다만, 이들 조직 대부분이 자사의 기존 연구소나 타부서로부터의 내부 인력 이동으로 구축된 조직이라는 지적이다. 머신러닝, 음성·이미지 처리 등 '순수 AI 인력'의 신규 유입 비중은 높지 않다는 것.

이통사 관계자는 "AI 조직 인력 대부분이 기존 자사 연구소에서 이동해온 사람들"이라며 "단기에 우수한 AI 인력을 한꺼번에 확보하기보단 장기적 관점에서 꾸준히 인력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라고 말했다.

한 게임사 관계자 역시 "국내에 순수 AI 인력 자체가 많지 않다"면서 "최근 1~2년 사이에 AI 전문 조직을 설립한 기업들이 그동안 AI 인력을 수십명에서 수백명 확보한다는 것은 불가능"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SK텔레콤과 KT, 카카오 등이 국내 대학 및 교육부와 연계해 석·박사급 인재들과의 접촉 범위를 확대하려는 시도 역시 이같은 인재난 속에서 미래 인재를 선점하기 위함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매년 새롭게 배출되는 인력풀이 제한된 상황에서 AI사업을 추진하는 기업들의 수요는 급증하고 있어 AI 인력난 및 영입경쟁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는 게 업계 관측이다.

임창환 교수는 "최근 국내 대학에 AI 연구실이 급증하긴 했지만 대부분 생긴지 1~2년밖에 안된 곳들. 여기서 박사급 인력이 배출되려면 4~5년 이상이 걸리기 때문에 공급과 수요간 시차가 발생하는 것"이라면서 "당분간 AI 인재 품귀현상은 이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뉴스핌 Newspim] 성상우 기자 (swseong@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