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광고

돈많고 외로운 중국인의 가족, 반려동물 산업 로켓성장

기사등록 : 2018-02-06 13:41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산책 도우미 월 수입 직장인보다 많아
관련 산업 연간 30% 속도로 고속 성장

[편집자] 이 기사는 2월 5일 오전 12시55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강소영 기자]  #베이징 한 아파트 단지의 주민 A씨, "우리 단지에 애완견 도둑이 있는 것 같아요. 같은 사람이 매일 다른 개들을 데리고 다니는 걸 봤는데,  한 사람이 그 많은 개들을 혼자 다 키울리 없잖아요."

같은 단지 주민 B씨,"도둑이 아니고 애완견 산책 도우미 아르바이트생이에요. 주인들이 직장에 나가니까 산책을 해줄 수가 없어서 아르바이트를 쓰는 거죠. 우리 단지 개들 산책을 도와주고 한 달에 받는 돈이 1만 위안(약 170만 원)이 넘는대요."

당황한 주민 A씨, "헐...내 월급보다 많네요."

지난해 중국의 한 매체가 중국의 반려동물 가정 증가로 관련 산업과 서비스 시장의 규모가 커졌다는 내용의 뉴스를 보도하면서 소개한 에피소드다. 중국에서 반려동물을 기르는 인구가 늘어나면서 바쁜 직장인을 대신해 개 산책을 도와주는 아르바이트가 '고소득 직종'이 됐다는 내용이다.

실제로 반려동물 산업은 중국의 소비 업그레이드(중국인의 소득 향상과 중국의 경제 혁신 정책으로 소비 수준이 높아지는 현상) 대표적인 수혜 분야로 꼽힌다.

반려동물을 기르는 가정이 빠르게 늘고, 자신이 기르는 반려동물을 위해 돈을 아끼지 않는 반려동물 인구가 늘어난 데 따른 현상이다.

베이징 거주하는 허우웨이(侯偉)씨는 올해 초 중국 인민일보 해외판과의 인터뷰에서 "반려동물을 두 마리 기르고 있다. 한 마리당 월평균 고정 지출이 2500위안 정도든다. 사료와 간식, 예방접종, 구충제 등을 모두 포함해서다. 가끔 아플 때는 병원 진료도 봐야 한다. 일 년에 두 차례 건강검진 비용도 추가로 1000~1500위안이 든다"고 밝혔다. 

허우웨이씨가 반려동물을 위해 한 달에 적어도 소비하는 비용이 5000위안에 달하는 셈이다. 2016년 기준 베이징 직장인의 평균 월급이 7000위안임을 감안하면 상당한 규모임을 알 수 있다. 

동물 미용사인 황샤오솨이(黃小帥)도 반려동물에 돈을 아끼지 않는 중국인들의 소비 관념을 몸소 체험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2008년 개 한 마리 미용 가격이 대략 150위안이었는데, 지금은 450위안에 달해요.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자신이 기르는 동물을 위해 돈을 아끼지 않고 있어요. 예전에는 기르는 동물을 애완품으로 여겼지만, 지금은 자신과 인생을 함께 보내는 반려자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죠"라고 설명했다.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알리바바는 자사의 생활서비스 플랫폼 커우베이(口碑 입소문이라는 뜻)에서 지난해 판매된 반려동물 상품의 매출 규모가 전년도와 비교해 10배가 늘었다고 밝혔다. 

반려동물을 위한 소비 규모 증가 현상은 공식 통계를 통해서도 증명됐다. '2017 중국 반려동물 산업 백서(이하 백서)'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반려동물 인구 1인 당 평균 연 소비 규모는 6436위안으로 2016년보다 18%가 늘었다.

백서에 따르면, 중국의 반려동물 용품과 관련 서비스 산업 규모는 1340억 위안에 달한다. 미국의 반려동물 산업 규모 4000억 위안과 비교하면 아직은 적은 수준이지만, 최근 몇 년 중국의 반려동물 산업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성장성이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2010부터 2020년까지 중국의 반려동물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은 30.9%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고소득 전문직 젊은 소비층 반려동물 선호도 높아 

중국의 반려동물 인구 증가와 관련 산업의 성장 원인은 우리나라 등 기타 선진국가와 비슷하다.

핵가족화와 1인 가정 증가, 도시화에 따른 생활 스트레스 증가 등으로 동물과 교감을 원하는 인구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소득 수준 향상으로 반려동물을 기를 수 있는 경제력이 높아진 것도 반려동물 산업 성장을 촉진하는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2년 차 직장인 뤄리허(羅立鶴)씨는 "동물을 보고 있으면 힐링이 돼요. 직장에서 스트레스가 많아 몸과 마음이 모두 녹초가 되지만, 퇴근 후 집으로 돌아온 후 제 품 안으로 파고드는 고양이를 보면 피로가 모두 사라지는 기분이에요"라며 반려동물을 기르는 이유를 설명했다.

중국의 반려동물 인구를 수입과 직종별로 살펴보면, 고소득 전문 직종 종사자들의 비중이 월등히 높았다.

월 소득을 1000위안 구간으로 나눈 후 조사한 결과, 5999위안 이하 구간에서는 반려동물을 기르지 않는다고 답한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았다. 그러나 월 소득 6000위안 이상의 구간에서는 2만 위안 이상 소득 인구를 제외한 전 구간에서 반려동물을 기른다고 답한 응답자의 비율이 모두 높았다.

반려동물 인구의 직업을 보면 기업의 임원과 관리직, 변호사, 교사 및 공무원은 수입이 안정적이고 소득이 높은 직군이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성별로는 여성 비율이 남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남성 반려동물 인구도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2016년 반려동물 인구에서 남성의 비중은 34.3%였지만 2017년에는 44.3%로 10%포인트 넘게 늘었다.

반려동물의 종류를 기준으로 보면 개를 키우는 가정의 비율이 고양이보다 높았다. 중국에서 인기가 있는 개의 품종은 푸들, 골든레트리버와 믹스견(혼종)으로 집계됐다.

반려동물을 기르는 연령층은 갈수록 어려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반려동물 인구의 비중이 가장 높은 연령층은 80년대와 90년대 출생한 2·30대 청년층으로 나타났다. 소비에 가장 적극적인 '00년대 출생자들이 성년 반열에 진입하기 시작하면서 반려동물 시장에서 젊은 소비층의 영향력은 갈수록 커질 전망이다.

한편 늘어나는 노인 인구도 반려동물 산업을 지탱하는 중요한 소비축이 되고 있다. 쓸쓸한 노년을 동물과 함께 보내려는 인구가 늘어난 데 따른 현상이다. 

2017년 3월 중국 국무원이 발표한 '13.5 국가 고령인구 사업 발전과 양로 시스템 건설 계획'에 따르면, 2020년 중국의 60세 이상 인구는 2억 5500만 명에 달할 전망이다. 이중 자녀나 다른 가족과 거주하지 않는 독거노인 수는 1억 180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중국 자오상(招商 초상)증권은 중국 사회의 고령화 가속화가 반려동물 산업의 고속 성장을 촉진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 대기업 등 시장 자본 반려동물 산업 정조준 

동물병원·동물 미용실·동물 용품점의 매장수와 매출액이 지속적으로 성장하면서 반려동물 용품과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에 투자가 몰리고 있다. 

동물 의료와 동물용 약품, 동물 건강 보조 식품과 사료, 동물 목욕용품, 동물 호텔 서비스, 동물 훈련, 동물 장례업 및 동물 용품 전문 판매업 등 반려동물과 관련된 모든 분야가 고성장 시장으로 주목을 받으면서 대형 자본과 기업의 시장 진출도 이어지고 있다. 

호주 사료 제조 업체 리얼펫푸드를 인수한 중국 대기업 신시왕.

중국 최대 규모 농축산업 기업인 신시왕(新希望)그룹은 지난해 12월 말 싱가포르 테마섹 등과 함께 호주 사료 회사 리얼펫푸드컴퍼니를 인수했다.

신시왕은 지난 2015년에도 반려동물 용품 전문 온라인몰 러충(樂寵)을 출시한 바 있다.

자본시장에서도 반려동물 관련 업종의 인기가 날로 높아지고 있다.

2017년 7월 중국 창업판에 상장한 동물 사료 전문 업체 페이디구펀(佩蒂股份)은 중국 A주 최초의 '반려동물 식품 테마주'로 화제를 모았다. 한 달 뒤인 8월 21일 또 다른 동물용 식품 제조 회사 중충구펀(中寵股份)이 중국 중소판 시장에 상장됐다.

페이디구펀은 최근 몇 년 반려동물 시장 규모 확대에 힘입어 순익이 급증하고 있다. 2016년 순이익은 8036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38%가 늘었고, 그 전해인 2015년 순익 증가율은 106%에 달했다.

신삼판(新三板 장외시장)에 상장된 반려동물 관련 기업들도 대부분 100%가 넘는 실적 증가율을 기록했다.

실적 향상에 대한 기대감에 해외 자본시장의 문을 두드리는 중국 기업도 있다. 2017년 9월에는 중국의 동물용 식품 회사 두 곳이 미국 나스닥에 상장했다.

동물 의료와 약품 관련 기업도 사세 확장에 나서고 있다. 중국의 유명 동물 약품 전문기업 루이푸성우(瑞普生物)는 지난해 5월 4500만 위안 증자를 통해 동물의료와 미용 종합 서비스 브랜드인 루이파이충우(瑞派寵物)의 지분을 15.01%에서 15.54%로 확대했다.

루이파이충우는 중국 전역에 200개 이상의 점포를 가진 대형 반려동물 서비스 종합 체인이다.

 

 

[뉴스핌 Newspim] 강소영 기자 (jsy@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