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newspim

"변동성 장세 대처? 글로벌 주도주·금융주 담아"

기사등록 : 2018-03-15 10:47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뉴스핌=김민경 기자]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가 일주일 앞이다. 최근 국내증시 변동성이 미국발 금리인상 시그널에서 기인한 점을 미뤄봤을때 연준의 입에 상반기 증시 향방에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증권가는 변동성 장세에서 글로벌 주도주와 금융주를 포트폴리오에 담으라고 조언했다. 글로벌 경기 회복에 따른 긴축에서 기인한 변동성인만큼 성장 가능성이 높은 종목에 집중하란 의미다. 인플레이션과 통화긴축 환경에서 수혜를 받을 수 있는 금융주도 추천주로 꼽힌다.

<자료=신한금융투자>

올해 금리인상은 사실상 기정사실화된 상황이다. 횟수에 대해 이견이 있을 뿐이다.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최근 연준 멤버들의 금리인상 관련 언급을 고려하면 3월 FOMC 회의에서 4명 정도가 올해 금리인상 횟수를 4회로 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미국발 금리인상은 국내 증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미국이 타이트한 통화정책을 취할 경우 위험 자산으로 분류되는 신흥국은 자금 이탈 현상이 나타나기 마련이다. 금리인상 시그널이 오자 올해들어 국내 증시도 큰 폭의 출렁임을 겪고 있다. 지난달 28일 코스피 지수는 2427.36에 마감하며 전월 종가 2566.46 대비 5.42%(139.10포인트) 하락해 4년8개월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하기도 했다.

이은택 KB증권 리서치센터 주식전략팀장은 최근 증시 조정의 주된 요인이 미국발 금리 상승이라고 진단했다. 이 팀장은 "금리 상승은 주식시장에 중의적인 의미"라며 "금리가 오르는 것은 경기가 좋아지고 있다는 점에서 펀더멘탈에는 긍정적이나 밸류에이션에는 타격"이라고 설명했다.

김유겸 케이프투자증권 리서치본부장은 "10년물 국채 금리가 3.73%, 3.85%로 인상될 경우 코스피 하단은 2284, 2229포인트로 각각 약 8%, 10% 추가 하락할 것"이라는 시뮬레이션을 내놨다.

 

지난해 6월부터 코스피 지수와 삼성전자 주가 추이<자료=대신증권 HTS>

전문가들은 지금처럼 변동성이 큰 시기에는 글로벌주도주와 금융주에 집중할 것을 권했다. 미국 경기 회복에 따른 긴축 우려감으로 시장 변동성이 촉발된만큼 글로벌 우량주와 통화긴축 수혜가 기대되는 금융주가 대안이란 것.

오현석 삼성증권 투자전략센터장은 "어떤 기준으로 선택과 집중할 것인지가 중요하다"며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상승, 타이트한 중앙은행 통화정책을 감안했을 때 매크로 조합 하에서 수혜볼 수 있는 업종과 상대적으로 변동성이 낮은, 밸류에이션 부담이 없는 업종이나 종목을 택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현석 센터장은 글로벌 주도주로 삼성전자를 꼽았다. 그는 "이번 성장동력은 4차산업에 대한 기술 진보 패러다임일 것"이라며 "삼성전자와 같은 주도주를 담는 것이 안전한 전략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지난해 6월부터 코스피 지수와 대표 금융주들 주가 추이<자료=대신증권 HTS>

금리상승기 수혜주로 금융주 중에서도 은행주가 꼽힌다. 은행은 금리인상의 수혜가 가장 직접적으로 기대되는 업종. 은행의 주 수입원은 예대마진인데 보통 금리 상승기에는 장기 시장금리(대출)이 단기 시장금리(예금)보다 가파르게 상승해 순이자마진(NIM)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오진원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연초 이후 장기금리가 반등하고 있다는 점에서 금융주를 살 수 있는 타이밍"이라고 분석했다. 윤창용 신한금융투자 연구원도 "미국서 금융규제 완화 조치까지 도입되면 투자 확충을 위한 기업자금 수요에 따라 은행대출도 증가할 것"이라며 올해 추가적인 금융사의 실적 개선 가능성을 내비쳤다.

은행주 중에선 대형 지주사의 성장성이 높다는 분석도 있다. 김재우 삼성증권 연구원은 "은행주, 특히 대형 3대 금융지주가 이자이익 증가에 상대적으로 유리하다"며 "대출금리 약관변경 주기가 중소기업대출보다 짧은 가계대출 비중이 높아 금리 상승에 따른 NIM 개선이 빠르며, 저원가성 수신 비중이 높아 조달금리 상승은 상대적으로 더딘 편"이라고 이유를 설명했다.

 

[뉴스핌 Newspim] 김민경 기자 (cherishming17@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