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 뉴스핌] 이민주 기자 =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창업가 정신을 가르쳐 이들이 국가 경제에 기여하도록 적극 유도해야 한다."
몇년전 어느 경제부처의 장관이 이런 발언을 해서 큰 호응을 얻었다. 기업가 정신으로 무장한 청년들이 창업에 성공해 일자리를 늘리면 실업난, 취업난의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창업가 정신'이란 단어를 다음의 단어로 바꿔보자. 이런 주장을 공개적으로 말할 수 있는 정책 입안자가 있을까?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주식을 가르쳐 이들이 국가 경제에 기여하도록 적극 유도해야 한다."
1948년 정부 수립 이래 위의 발언을 한 정책 입안자는 없었다. '주식 투자=패가 망신'이라는 인식이 국민들사이에 뿌리깊게 자리잡은 현실에서 후폭풍을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부동산, 채권, 원자재(금, 은)와 더불어 4대 투자 상품으로 꼽히는 주식은 한국 사회에서 독특한 지위를 갖고 있다.
한국예탁결제원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한국의 개인 투자자는 500만명으로 경제활동인구의 5분의 1 가량을 차지한다. 부동산과 더불어 우리 사회 구성원들이 폭넓게 이용하는 투자 상품이 주식이라는 의미다. 그렇지만 주식을 알고 하는 사람은 극소수다.
다시 말해 이익을 내면서 싸게 거래되는 기업의 주식을 매입하는 것이 성공 투자의 핵심이고, 기업이 이익을 잘 내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재무제표를 봐야하고 싸게 거래되는지를 알려면 주가가 아닌 시가총액을 봐야 한다는 원리를 아는 투자자는 정말이지 많지 않다.
현대적 의미의 주식은 1602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The East India Company)가 항해에 필요한 선박 건조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처음 발행했다. 네델란드 해안을 출발해 아프리카 남단 희망봉을 거쳐 인도에 도달하는 길고도 먼 항로를 견뎌낼 거대 함선을 만들자니 소수 자금으로는 턱없이 부족했다. 그래서 대안으로 일반 대중에게 주식을 발행하고 이들을 주주로 끌어 들였다.
동인도 회사의 주식을 매입한 사람(주주)은 이 회사가 인도와의 무역을 잘 수행해 이익을 내면 배당을 받아 수익을 냈다. 결국 주식은 기업 지분의 일부이고, 주식을 매입한다는 것은 그 기업의 주주가 된다는 의미인 것이다. 주주가 많아져 기업이 성장하면 국가 경제에 도움이 된다.
그렇지만 한국 주식 시장에서 대부분의 투자자에게 주가는 세력이나 양봉, 음봉 같은 차트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주식 뒤에 기업이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라"는 워렌 버핏의 조언은 먹히지 않는다. 이 결과 주식 투자는 우리 사회에서 '위험한 것' '안하는 것이 상책인 것'으로 남아있다.
올해초부터 금융위원회가 코스닥 활성화 방안을 연이어 내놓고 있다. '마이너 리그'로 인식되고 있는 코스닥을 살리기 위해 코스닥 시장에 세제 및 금융 지원을 확대하고, 코스닥 상장 요건을 전면 개편하고, 코스닥 시장의 자율성을 확대하겠다는 것이 골자다.
그렇지만 이 방안에는 코스닥 시장 거래의 90%를 차지하는 개인 투자자에게 투자의 원리와 개념을 가르치는 교육은 보이지 않는다. 투자자가 주식이 뭔지를 알고 기업을 꼼꼼히 들여다본다면 기업은 스스로 내부 통제를 강화하고 정확한 회계 정보를 생산할 것이다. 그리고 투자 교육을 받는 시기는 빠를 수록 좋다. 주식 투자 기간이 길면 복리 효과를 누려 재산 증식의 기회가 더 커지고 때문이다.
'대학에서부터 주식을 가르쳐야 한다'고 소신있게 말할 수 있는 정책 입안자가 언제쯤 나올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