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광고

중국 벤처자본 세계 기술기업 삼킨다, 기술 확보전 중미 무역전보다 치열

기사등록 : 2018-04-19 16:57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자국 스타트업 투자 주력, 다수 유니콘 기업 배출
해외 첨단 기업 투자 확대, 긴밀 관계 구축 미국 견제

[편집자] 이 기사는 4월 19일 오후 3시57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서울=뉴스핌] 황세원 기자=중국 벤처캐피털(VC)이 막강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미국과의 신기술 확보 경쟁에 불을 붙였다. 중국 VC는 자국 첨단 스타트업의 든든한 배경이 되어주는 한편 글로벌 첨단 기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 긴밀한 관계를 구축하며 글로벌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 중국 VC 규모 4년간 15배 급증, 자국 스타트업 투자 집중

최근 중국 유력 매체 터우쯔제(投資界)에 따르면 2017년 중국의 VC 투자액은 2013년 대비 15배가 증가한 380억 달러(약 40조6000억 원)를 기록했다. 미국은 VC 투자액 670억 달러(약 71조5700억 원)를 기록, 1위를 지켰지만 같은 기간 VC 투자액이 2배 증가에 그치며 투자 둔화세를 나타냈다.

특히 중국 VC는 대규모 투자 프로젝트 비중을 늘리며 글로벌 투자 업계 ‘큰 손’으로 부상했다. 현지 매체 터우쯔제에 따르면 전세계 1억 달러 이상 투자 프로젝트 비중이 2007년 8%에서 지난해 50%로 급증한 가운데, 중국 VC 주도 대규모 투자 프로젝트 비중은 ‘세계 1위’ 미국을 추월했다.

중국 VC는 현지 첨단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를 집중적으로 확대하며 자국 신기술 제고에 기여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의 유니콘(기업가치 10억달러 이상 스타트업)은 2013년까지만 해도 2개에 불과했지만 최근엔 120여개로 증가했다. 이들 유니콘 대부분은 텐센트, 알리바바 등 중국 대표 IT 기업 및 중국계 VC로부터 대규모 자금을 조달했다.

업종 측면에서 보면 인공지능(AI) 투자 집중 현상이 뚜렷하다. 불과 몇 년전까지만 해도 중국의 AI 스타트업 투자액은 1억 달러에도 미치지 못했지만 지난해에는 25억 달러(약 2조6700억 원)까지 늘었다. 1위 미국과의 격차는 15억 달러(약 1조6000억 원)다.

◆ 인도 등 신흥국 스타트업 투자 확대, 글로벌 신기술 영향력 강화

최근 중국 VC는 해외 첨단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도 적극적으로 늘리며 글로벌 신기술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중국 유력 매체 터우쯔제에 따르면 2017년 중국 VC 주도 해외 스타트업 투자액은 전년도 대비 2배 이상이 증가했다.

특히 세계 2위 인구 대국이자 글로벌 유망 인터넷 시장 인도를 두고 미국과 중국의 투자 경쟁이 치열하다.

2017년 인도 스타트업에 대한 중국의 투자액은 28억 달러(약 2조9900억 원)로 미국(18억 달러)을 웃돌았다. 중국 유력 매체 왕이차이징(網易財經)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VC 투자액 상위 5개 프로젝트 중 3건이 인도 및 인도네시아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였다. 업종별로 보면 전자상거래, 공유 자동차 등이 주를 이뤘다.

인도 등 신흥국 스타트업도 중국 VC 투자를 환영하는 분위기다. 지난 2015년 알리바바 금융 자회사 앤트파이낸셜로부터 대규모 투자를 유치한 인도 지불결제 업체 페이티엠(Paytm)의 Madhur Deora CFO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기술은 이미 글로벌 수준까지 올라왔다”며 “투자를 유치하는데 굳이 미국계 자본을 고집할 이유가 없었다”고 답했다. 현지 매체에 따르면 알리바바와 앤트파이낸셜은 일본 소프트은행과 함께 페이티엠의 모회사인 One97 Communications의 3대 주주로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중국이 인도 등 타국가 현지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며 기존 업계 강자인 미국을 밀어내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과거 구글 중국 사업부를 맡은 바 있는 리카이푸(李開復) 촹신궁창(創新工場) 창업주는 “미국이 좋은 제품과 서비스로 글로벌 시장을 장악했다면, 중국은 막강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현지 파트너에 필요한 자금을 제공, 협력 관계를 맺는 방식으로 미국을 견제하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 인도 내 우버의 대항마로 불리는 올라(Ola)는 지난해 텐센트 주도 컨소시엄으로부터 11억달러(약 1조1750억 원)를 조달했다. 지난주에는 알리바바로부터 4500만 달러(약 480억6900만 원) 투자를 약속 받았다.

 

mshwangsw@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