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광고

한국 반도체 인재 빼가기 혈안 중국, '과거 삼성도 그랬다' 합리화

기사등록 : 2018-04-23 15:22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삼성도 과거 대만 유수 인력 편법 영입 일삼아'
'다만 삼성의 기술 전략과 통찰력은 본받아야'

[타이베이=뉴스핌] 강소영 기자= 중국 반도체 산업에 대한 미국의 견제가 중국의 한국 반도체 전문가 영입을 자극하고, 그로 인해 한국 반도체 기술이 중국으로 유출 될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국산 반도체 산업 발전이 시급해진 중국이 고액의 연봉을 미끼로 종전보다 더욱 적극적으로 한국 반도체 전문가 '헌팅'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 것. 실제로 중국에서는 이미 한국과 대만 출신의 다수 전문가들이 현지 보다 5~6배 이상의 연봉을 받고 일하고 있다는 보도도 나왔다. 

중국 투자전문 뉴스 매체 터우쯔제(投資界)는 22일 한국의 이와 같은 분위기를 전하는 동시에, 삼성 반도체도 성장 과정에서 유사한 인재 영입 전략을 추진했다고 보도했다.

이 매체는 삼성 반도체 산업 발전의 발자취를 돌아보는 특집 기사에서 삼성이 과거 대만 반도체 핵심 인력을 편법으로 대거 영입했다는 내용에 상당 부분을 할애했다.

이 매체는 "한국은 중국의 사드 제재보다 중국의 한국인 반도체 인재 빼내기를 더욱 두려워한다"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최근 몇 년 중국 반도체 업계가 한국, 일본 및 대만을 상대로 적극적인 인재 영입에 나서고 있는 데 대해 한국이 두려움을 느끼고 있다고 보도했다.

한국의 이러한 두려움이 일면 타당하다고 인정하면서도, 삼성 역시 이러한 과정을 거치며 성장했다고 강조했다.터우쯔제는 삼성의 대만 인재 영입 사례를 구체적으로 소개했다.

2009년 대만 최대 반도체 기업인 TSMC의 기술 원로이자 핵심 임원인 량멍쑹(梁孟松)이 돌연 사직과 함께 한국으로 향했다.

한국으로 온 량멍쑹은 성균관대학교에 둥지를 틀고 교편을 잡게 됐다. 터우쯔제에 따르면, 교편을 잡은 량멍쑹의 학생은 불과 10명에 불과했다. 매주 수업 시간은 3시간을 넘지 않았다.

당시 관련 업계는 량멍쑹을 영입하기 위해 삼성 측이 편법을 사용한 것으로 보고 있다. 퇴직 후 일정 기간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것을 금지하는 계약으로 량멍쑹이 삼성 반도체에 입사하는 것이 힘들어지자, 삼성이 투자한 대학인 성균관대학교에 그를 교수로 채용하는 방법을 썼다는 것.

량멍쑹은 훗날 TSMC에서 친분이 있던 교수에게 개인적인 이메일을 보냈는데, 삼성의 이메일을 사용하는 '실수'를 범하게 됐고, 이로인해 량멍쑹이 삼성 반도체를 위해 일하고 있다는 사실이 대만에 알려지게 됐다. 량멍쑹이 성균관대학에서 가르친 10명의 학생도 대학생이 아닌 삼성반도체의 기술 연구원으로 밝혀졌다.

터우쯔제는 TSMC의 창업자인 장충머우(張忠謀)도 삼성 이건희 회장의 '러브콜'을 받았지만 성사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러나 터우쯔제는 오늘날 삼성 반도체의 발전이 결코 일부 해외 전문가에 기대서 이뤄진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창업주 고 이병철 전 회장과 이건희 회장의 미래를 내다보는 탁월한 식견, 인재 중심의 경영관 그리고 단기적인 이윤보다 장기적인 성장을 중시하는 투자 전략 등이 모여 삼성 반도체가 세계 최고의 자리에 오르게 됐다고 역설했다.

터우쯔제는 40년간 삼성 반도체의 성장 과정을 상세하게 소개하며 중국 반도체 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함과 동시에, 중국 반도체 업계의 한국 인재 영입의 정당성을 내비쳤다.

이 매체는 "삼성이 제패한 분야는 우리(중국)를 가장 힘들게 하는 아킬레스건이다. 삼성은 40년 전 일본의 하청에 불과했지만, 30년 전 값싸고 질좋은 국산품을 만들어냈고, 20년 전 미국과 일본을 추월하기 시작했다"며 "2017년 삼성은 인텔이 25년간 자리를 지켰던 패주(覇主)의 지위를 빼앗았고, 세계 최대 반도체 회사로 성장했다. 애플의 최대 적수가 됐으며, 세계에서 가장 돈을 잘 버는 회사가 됐다"고 설명했다.

미국의 중국 ZTE 제재로 충격에 빠진 중국이 눈앞의 이익에 연연하지 말고 삼성처럼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계획에 따라 자국 반도체 산업의 성장을 촉진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했다.

동시에 삼성이 적극적인 해외 인재 영입에 나섰던 사례를 강조하고, 삼성의 발전이 결코 일부 해외 인재에 기댄 것이 아니라는 점을 부각한 것은 인재 유출에 대한 한국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함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 사장과 중국 삼성 시안 반도체 공장 대표를 역임했던 김재욱 BNW인베스트먼트 대표는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반도체 산업은 오케스트라와 같다. 광범위한 분야에서 기술력이 골고루 갖춰져야 산업 전반의 수준을 끌어올릴 수 있다. 일부 분야의 유능한 인재 몇 명을 영입한다고 반도체 산업 전체가 성장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결국 중국은 자체적으로 기술력 향상에 더욱 매진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삼성과의 기술격차가 크지만, 당장 중국 내에서 필요한 상당한 반도체는 중국 혼자서도 생산할 수 있는 단계에 와있다. 중국이 내수는 현재 기술로 충당하면서 기술력 향상에 매진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김재욱 대표는 "이미 중국에는 상당수의 한국인 전문가가 진출해 있다. 한국인 인재 몇 명이 더 중국으로 간다고 해서 중국의 반도체 기술력이 하루아침에 성장하지는 않는다. 다만, 대규모 인재 유출이 핵심 기술 유출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는 만큼 한국 관련 업계는 인재 관리에 더욱 신경을 쓰면서 중국과의 기술 격차 벌리기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jsy@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