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한반도 평화의 봄을 부른 건 문화·예술인이었다

기사등록 : 2018-04-25 11:31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남북 예술단 상호방문 등 화해 기원 다양한 행사 줄이어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한반도에 봄바람이 불고 있다. 겨울에만 머물 것 같던 한반도에 봄이 왔다. 지난 2월 2018 평창동계올림픽 이후 남북 관계가 급진전되면서다. 한반도의 봄을 부르는 데 가장 앞장 선 이들은 다름 아닌 문화·예술인들이다.

4월1일 오후 평양 동평양대극장에서 '봄이 온다'라는 주제로 열린 '남북평화협력기원 남측예술단 평양공연'에서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행사장에 입장한 뒤 박수를 치고 있다. 오른쪽은 도종환 문체부 장관. [사진=평양공연 사진공동취재단]

평창올림픽에 북한의 참여가 결정되고, 북한 공연단이 서울과 강릉에서 공연을 두 차례 가지면서 화해모드가 조성됐다. 이후 화답 차원에서 지난 1일과 3일 남측 예술단이 평양에서 두 차례 공연을 치렀다. 남북 예술단은 지난 3일 합동공연에서 '우리의 소원은 통일'을 함께 부르며 화합의 장을 연출하기도 했다. 오는 27일 남북정상회담을 앞두고 예술단 교류 활동이 그간 막혔던 남북 관계를 뚫은 것이다.

문화·예술계의 남북 평화교류 선봉대 역할에는 평창문화올림픽 일환으로 서울대학교와 평창 한화리조트가 지난 1월19일부터 22일까지 진행한 2018국제인문포럼도 큰 힘이 됐다. 김연수, 장강명, 김숨, 손홍규 등 국내 작가(40명)들을 포함해 18개국 200여 명의 작가들이 포럼에 참여했다. 이들은 기조발표와 분쟁 혹은 분단, 여성 혹은 젠더, 빈곤, 언어와 문화 다양성, 자연과 생태를 주제로 세계 평화에 대한 담론을 나눴다.

4월3일 오후 평양 류경정주영체육관에서 열린 '북남 예술인들의 련환공연무대 우리는 하나'에서 남북 가수들이 '우리의 소원은 통일'을 같이 부르고 있다. [사진=평양공연 사진공동취재단]

국제인문포럼이 기획되던 지난해 8월까지만 해도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문제로 중국 이나 북한과의 관계가 예민했다. 아쉽게도 중국 작가의 참여는 무산됐고, 탈북 작가 역시 포함되지 않았다.

대신 개막식에 탈북 작가를 초청해 ‘평화’의 의미를 더했다. 직접적으로 남북한의 문제를 직면하기보다는 세계적인 문제의 흐름으로 짚어보며 문인들은 ‘분쟁 혹은 분단’ 문제를 들여다봤다. 당시 발제자였던 팔레스타인 출신 작가 칼레드 흐룹은 전쟁의 폐해와 참혹한 현실, 분단의 슬픔을 이야기했다. 아제르바이잔 출신의 바기프 술탄르도 남북의 혼란스러운 상황을 연상시키는 조국의 사정을 전했다.

평화를 상징하는 올림픽 프로그램의 일환이었던 2018국제인문포럼 외에도 문화 예술인들이자발적으로 한반도 평화를 위한 움직임은 여러 곳에서 포착된다.

대표적으로 비무장지대를 뜻하는 DMZ 프로젝트 ‘대지를 꿈꾸며’는 DMZ에 공중정원, 통로, 정자, 종자은행, 지식은행을 세우자는 계획이다. 2014년 리얼 DMZ프로젝트가 뼈대가 되었고, 최재은 설치미술가가 2016 베니스비엔날레 ‘夢의 庭園(Dreaming of Earth)’을 선보이면서 세계적인 관심을 받았다. 이에 2015년 본격적으로 ‘대지를 꿈꾸며’ 프로젝트가 가동됐다. 최재은 작가는 “언젠가는 찾아올 통일을 대비해 준비를 해놓는 꿈같은 프로젝트”라고 소개했다.

‘대지를 꿈꾸며’는 지상 3~5m에 대나무 뼈대로 만든 공중 정원을 세우고 탑과 정자를 미술 작가들이 기획한다. 최재은 설치미술가 주도 하에 2014년 프리츠커 상을 수상한 건축가 시게루 반, 조민석 건축가, 미술 작가 이우환, 이불 등 12명의 예술가 집단이 참여해 DMZ 구상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탑 12개 중 5개, 정자 3개 중 1개는 북한 작가를 위한 공간으로 비워둔다. 생태계 보존과 자료 저장을 위해 마련된 종자은행과 지식은행은 제2땅굴을 활용한다. 설계는 건축가 조민석이 맡고, 정보 저장과 공유 방향은 카이스트 바이오 및 뇌공학과 정재승 박사가 이끈다. 

'대지를 꿈꾸며' 구상 모델 [사진=국제갤러리]

최재은 작가는 지난해 10월 열린 DMZ 프로젝트 ‘대지를 꿈꾸며’는 기자간담회에서 “저도 혼자 영원히 이 프로젝트를 끌어갈 수는 없다. 어느 섹션인지 모르겠지만 이 프로젝트를 정부든 UN이든 제출할 것”이라고 알렸다.

25일 현재 DMZ 프로젝트에서 더 진전된 부분은 없으나, 예술가들의 움직임은 계속될 예정이다. 당시 최재은 작가는  “프로젝트는 현실화 될 때까지 영원히 진행된다. 영원히 불가능할 수도 있고, 몇 년 후가 될 수도 있다. 꿈을 꾸는 것 자체가 아름답지 않은가”라고 밝힌 바 있다.

국내에서 개최되는 비엔날레도 한반도에 감도는 '평화'의 기운을 품고 있다. 오는 9월7일부터 11월 11일까지 열리는 광주비엔날레는 ‘상상된 경계들(Imagined Borders)’을 주제로 세계 최초로 북한 미술전을 개최한다. 북한미술 전문가 문범강 큐레이터가 키를 잡았다.

광주비엔날레 관계자는 “한반도의 분단과 경계의 상황을 미술로 소통하고, 사회주의 사실주의 미술에 대한 토론의 장을 여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한다”라고 전했다. 광주비엔날레에서는 평양 만수대창작사(북한의 미술 최고 집단) 등이 제작한 집체화·조선화·선비화 등 40여 점을 준비한다. 통일부에 작품 반입 승인을 위한 절차를 추진 중이다.  

9월8일부터 11월11일까지 열리는 부산비엔날레 또한 ‘비록 떨어져 있어도(Divided We Stand)’를 주제로 진행돼 한반도의 평화와 안녕을 기록할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최태만 집행위원장은 “2018년 부산비엔날레는 우리 한반도가 겪은 분단의 질곡에 대해 질문하는 전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더 나아가 한반도의 분단뿐만 아니라 제2차 세계대전 후기를 중점적으로 다룰 것”이라고 소개했다. 

89hklee@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