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newspim

[김정호의 4차혁명 오딧세이] SK텔레콤, KT 통신사의 미래

기사등록 : 2018-04-30 14:52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신기술이 등장하면 과거의 기업 영광은 순식간에 사라져
한국의 통신 기업은 시대 변화에 맞는 전략 수립해야

전화기가 재산이던 시대의 추억


1970년대 필자가 초등학교 시절 동네에 전화국이 있었다. 그리고 그 전화국 앞에 전화 가게가 있었는데, 그 곳에서 전화기를 사고 팔 수가 있었다. 일종의 전화기 거래소인 셈이다. 그 가게 진열장에는 백색 청색 두 가지 전화기가 전시되어 있었던 기억이 난다.

일명 백색전화, 청색전화라고 부르는 전화였다. 그때 백색전화를 가입하면 전화선 자체를 가입자가 개인이 소유하였고, 양도도 가능하였다. 전화선은 한정되어 있는데, 수요자가 늘어나니 소유자가 비싼 값에 전화선의 권리를 사고 팔게 되어 투기 대상으로 변질되는 부작용을 낳기도 했다고 한다.

그 결과 백색전화 한대의 값이 260만원까지 했다고 한다. 그 때 서울 집값의 평균값이 230만원 정도였다고 한다. 반면 청색전화는 그 전화의 전화선을 전화국이 소유한 전화로서 일종의 임대 전화였다. 그런데 그 청색 전화기는 신청하면 대기 시간이 설치에 2년 이상씩 걸리기도 하였다. 이처럼 40~50년의 전화는 재산이었다. 그때 전화기를 보급하는 것은 전기를 가정마다 보급하는 다음으로 국가 발전을 위한 인프라의 목표였다. 그 당시 해당 부처의 이름은 체신부였다.

1970년대 한국 사회에서 부자의 상징이던 백색 전화기(왼쪽)와 청색 전화기. 사진=구글 이미지 캡쳐.



무선 통신이 권력인 시대도 있었다


1980년대 현대자동차에서 그랜저 모델이 출시됐다. 일본의 미쓰비시 자동차 회사의 디자인을 도입한 그 시절 최고급 승용차였다. 바로 그 그랜저 자동차를 더 고급 승용차로 보이게 하는 장치가 카폰이었다. 전화기의 크기는 크지만, 시내에서 전화를 하고자 할 때 공중전화를 사용하지 않고, 자동차 안에서 한다는 것은 상당히 편리하다고 볼 수 있다. 

1965년 당시 카폰을 사용하던 사람은 장관, 재벌이었다. 1980년 11월 기준으로 전국에 306대의 카폰(정부 40여대, 나머지는 민간기업 및 개인)이 설치되어 있었는데 무선 통신 회선이 포화 상태라 신규 가입이 불가능했다.

카폰을 쓰려면 당시 1000만원 정도의 프리미엄이 필요했다. 1985년에는 카폰 가입자가 2659명으로 증가했다. 당시 대중 승용차인 포니 가격이 400만원대였는데 카폰의 설치 비용도 그 정도였다고 한다. 이 때 자동차 안에 카폰이 있다고 보이게 하는 장치가 바람에 휘날리는 높이 솟은 자동차 안테나였다. 자동차 후방에 설치된 길이가 2~3 미터 길게 늘어 올라간 안테나이다. 바람에도 수직 방향이 유지되게 유연성 있게 휘어졌다. 무선 통신이 권력의 상징인 시절이었다. 그 시절 해당 정부 부서의 이름은 정보통신부였다

1980년대 말 미국 유학 시절에 근거리 무선 통신 기기인 워키토키를 즐기면서 사용했다. 쭉 뻗은 고속도로에서 약 5킬로 미터 거리까지 통화가 가능했다. 4대를 구입해 이웃 동료들과 고속도로 여행할 때, 여러 대의 승용차에서 서로 연락하면서 여행했다. 서로 차를 놓치지 않기 위해서 재미있는 이야기를 서로 무선으로 하곤 했다. 그리고 노래도 했던 기억이 난다. 아마 카폰 시대를 동경하면서 생활형 무선기기인 워키토키로 해소 하고 있었는지 모른다.

 

승용차에 설치된 카폰. 출처: 구글 이미지 캡쳐.

 

카폰의 시대, 권력의 시대, 사진 : 금호라디오 박물관.

 

SK텔레콤, KT의 미래 생존 전략은?

SK텔레콤, KT 등 통신 회사가 아직도 유선통신과 무선통신이 권력이자 재산인 통신 결핍시대를 살아온 경험으로 회사를 운영하고 있는지 모른다. 전화 수수료나 요금제로 생명을 연장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이제 통신의 추억을 버리고 데이터와 인공지능의 시대로 전환의 혁신이 필요하다. 그러려면 해당 정부 부처의 이름도 '데이터 지능부'로 바꿀 필요가 있다.

앞으로 SK텔레콤, KT는 데이터와 지능 플랫폼 회사로 거듭나야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확보하고,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확보해야 한다. 경쟁력 있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소프트웨어 인재를 확보하고, 관련 소프트웨어를 직접 개발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1000명 이상의 소프트웨어 인재를 확보하고 연구소도 확대해야 한다.

빅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구글이나 아마존처럼 데이터를 긁어 모을 수 있는 플랫폼을 확보하고, 데이터 센터도 확장해야 한다. 이러한 빅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 끊임없이 인간의 욕망을 이해하고 이 욕망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꼼짝없이 SKT KT 플랫폼을 이용하도록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인간의 욕망에는 생리적 욕구, 안전의 욕구, 애정 및 소속의 욕구, 자존의 욕구, 인지적 욕구, 심미적 욕구, 자아 실현의 욕구가 있다. 필자는 여기에 더해서 '결핍 해소의 욕구'를 제안한다. 결핍에는 의식주 결핍에 더해서 자유의 결핍, 사랑의 결핍, 소유의 결핍, 관계의 결핍, 그리고 생존의 결핍이 있다. 이처럼 인간의 결핍을 이해하고 그 핵심 사업을 파고 드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SK텔레콤, KT 가 아직도 통신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5G가 4차 산업혁명의 핵심으로 잘못 이해하고 있다. 이제 다시 출발해야 한다. 통신이 아니라 데이터와 지능의 시대이다. 데이터를 모을 방법을 확보해야 생존한다.

인간의 욕망 구조, 출처 : <욕망이란 무엇인가>(조홍길 지음).

 

 [김정호 카이스트 전기 및 전자공학과 교수]

김정호 카이스트 교수.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