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정가 인사이드] 트럼프·김정은 '샹그릴라'서 만난다...시진핑·마잉주 첫 회담 열렸던 역사적 장소

기사등록 : 2018-05-31 11: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싱가포르 언론, 31일 보도.."비핵화 의제와 잘 맞아"
美 대표단, 30일 샹그릴라호텔 사전 점검 포착돼
북미 정상 묵을 숙소, 풀러튼 호텔-카펠라 호텔 유력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6.12북미정상회담의 개최 장소가 싱가포르 샹그릴라 호텔로 사실상 확정됐다.

싱가포르 현지 언론들은 31일(현지시간) 샹그릴라 호텔을 가장 유력한 북미정상회담장 후보지로 꼽는 특집기사를 일제히 내보냈다. 언론들은 또 북미 실무대표단이 현재 머물고 있는 풀러튼 호텔과 센토사 섬 카펠라 호텔을 두 정상들이 묵을 숙소 유력 후보지로 꼽았다.

현지 언론인 더스트레이츠타임스는 이날 북미 정상의 의전·경호 등에 대한 실무협상을 하고 있는 김창선 북한 국무위원회 부장 등 북측 대표단이 전날 오후 미국 대표단의 숙소인 카펠라 호텔에 몇시간 동안 머물렀다고 보도했다.

김 부장 일행은 오후 2시 40분경부터 7시 15분경까지 약 4시간 30여분 가량을 카펠라 호텔에서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카펠라 호텔 측은 '사적인 행사'를 이유로 기자들의 출입을 막았다. 조 헤이긴 미 백악관 부 비서실장이 이끄는 미국 대표단도 이날 오후 1시40분경 샹그릴라 호텔을 방문했다.

내달 12일 북미정상회담이 열릴 개최장소로 유력하게 거론되는 싱가포르 샹그릴라 호텔의 모습. 각국의 군사최고책임자들의 연례 모임인 '샹그릴라 대회'에 앞서 한 군인이 경호를 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샹그릴라 호텔은 어디? 첫 양안 정상회담 개최한 역사적 장소...
    6월 1~3일 '아시아안보회의' 개최, 정상급 경호·보안계획 사용 용이

샹그릴라 호텔은 국제회의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경호 및 보안의 용이성 때문에 일찌감치 북미정상회담이 열릴 수 있는 장소로 꼽혀왔다.

북미정상회담 장소가 싱가포르로 결정된 이후 전 세계의 눈길을 사로잡을 회담 개최지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현지에서는 샹그릴라 호텔과 마리나 베이샌즈 리조트, 센토사 섬을 후보 장소로 꼽았다. 하지만 가장 유력한 장소는 샹그릴라 호텔이었다.

샹그릴라 호텔은 중국의 양안 분단 이후 66년 만에 열린 2015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마잉주 당시 대만 총통의 정상회담이 열렸던 장소다. 중국과 대만, 예컨대 양안 갈등의 중재 장소로 상징성이 크다. 북미정상회담의 주요 이슈인 '비핵화' 의제와도 잘 맞는다는 평이다.

'샹그릴라 대화'라고 불리는 아시아안보회의를 매년 유치해 무리 없이 진행해왔다는 점에서 경호와 보안 유지 경험도 많다. 동아시아 지역에서 처음 열린 다자간 안보회의인 '샹그릴라 대화'는 중국의 부상과 미국의 관여로 안보회의 중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당장 올해 샹그릴라 대화가 6월 1~3일 열리고,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등 국가 정상급 인사의 참석이 확정됐다. 정상급 경호와 보안 계획을 북미정상회담까지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싱가포르 샹그릴라 호텔의 전경 [사진=홈페이지 캡쳐]

전세계 안보군사 국제회의 '샹그릴라 대회' 상징성 커...비핵화 의제와도 잘 맞아

싱가포르의 한 언론은 "매년 전세계 각국의 국방장관들이 참석하는 안보군사 국제회의인 '샹그릴라 대화'가 열리는 장소"라면서 "각국의 군사 최고책임자들이 모이는 만큼 당연히 경호와 보안에 있어 이미 검증된 곳"이라고 소개했다. 비핵화 의제와도 잘 맞는 컨셉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또 세계 각국의 언론사 기자들이 대규모로 취재할 수 있는 미디어환경도 잘 갖춰져있다는 평가다. 번화가인 오차드 로드에서 약간 벗어나 있어 경호에도 적합하다.

당초 싱가포르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경호와 경비 태세가 보장되는 싱가포르 대통령궁 '이스타나'가 유력한 장소로 제기됐지만, 싱가포르 내에서 미국과 북한 정상 경호 담당자들이 싱가포르 대통령궁 곳곳을 검색하는 등의 상황에 대해 부정적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한편 싱가포르는 1975년 한국과 북한이 동시에 수교한 국가다. 싱가포르가 지난해 11월 국제사회의 제재에 동참하기 위해 북한과의 교역을 전면 중단하기 전까지 북한과의 교역 규모는 전 세계에서 일곱 번째였다. 북한 사람들의 무비자 입국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북한의 해외인력들이 진출해 외화벌이에 나섰고, 북한의 무역선박회사들 진출해있다.

dedanhi@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