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캔버스에 푸른 숨결 불어모은 작가 최선 "남북 작업 꿈꾼다"

기사등록 : 2018-06-01 17:26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도시 사회를 추상으로 이야기하는 작가들 '플랫랜드'전 개최
김용익·김진희·조재영·차승언·김규호·박미나 작품 전시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사람들의 숨결을 캔버스로 옮긴 최선 작가가 최근 다시 피어오른 한반도 평화 분위기 속에서 남과 북의 사람들의 숨을 담은 작품을 펼치고 싶다고 밝혔다.

최선 작가는 1일 서울 금호미술관에서 진행된 '플랫랜드(Flatland)'전 기자간담회에서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제작한 작품 '나비'를 공개했다.

최 작가는 "이 작품은 캔버스에 잉크를 떨어뜨려 숨결을 불어 만드는 작업이다. 많은 사람들과 함께했다. 뒤섞이면 누구의 숨인지 구분할 수 없을 거"라며 "이제는 남북의 관계가 좋아지고 있으니, 이 작업을 해볼 수 있을 것 같다"는 기대감을 과감히 드러냈다.

[서율=뉴스핌] 이현경 기자= 최선 작가 2018.06.01 89hklee@newspim.com

'플랫랜드'전 제목은 공간과 차원을 새롭게 인식하는 이야기 애드윈 애벗의 소설 '플랫랜드'에서 착안했다. 이번 전시는 미술 현장에서 지속적으로 논의되는 추상의 문제를 통해 세계 혹은 대상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살펴보고자 기획됐다. 작가들은 도시 이면의 이야기를 자신만의 추상 표현으로 전한다.

최 작가는 공허한 예술의 평면이 아닌 현재의 삶에서 누구나 공유하는 아름다움을 포착해 가시화한다. '나비'는 숨결을 시각화시키는 작업이며 참여형 아카이빙 작품이다. 시작은 2011년 일본에서 쓰나미로 가족을 잃은 사람들을 위로하는 작품에 참여하면서부터다. 당시에는 잉크가 아닌 먹으로 진행했다.

일본에서 작품활동 경험을 살려 2014년 세월호 참사가 일어났을 때 최 작가는 푸른색을 이용해 사람들의 숨결을 모아 작품을 이어갔다. 사람들의 숨결을 모으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소식'이라는 단어의 뜻에 집중하면서다.

최 작가는 "소식은 내 숨을 떼서 전달한다는 의미라는 걸 알게됐다"며 "숨을 눈에 보이게 하는게 목적이기 때문에 명도가 높은 흰색 캔버스, 원색 중 어둡고 눈에 잘 보이는 청색을 썼다"고 설명했다.

[서율=뉴스핌] 이현경 기자= 김용익 작가 2018.06.01 89hklee@newspim.com

'플랫랜드'전에는 최선 작가처럼 추상 언어로 도시와 사회를 이해하는 작가들의 작품이 금호미술관의 지하부터 3층까지 이어진다.

김용익 작가는 '회화란 무엇인가'라는 물음 아래 모더니즘의 확장을 충실하게 담은 '유토피아'를 선보인다. 캔버스에서 미술관 벽으로 확장된 원을 볼 수 있다. '무한한 권력'을 갖고 있는 캔버스를 뛰쳐 나온 원, 바닥이 예술이 될 수 없다는 고정관념을 깨는 작품 등을 마주할 수 있다.

회화의 형식을 이용해 사회 구조를 바라보는 인식의 틀을 제공한 박미나 작가의 작품도 흥미롭다. 박 작가는 '12colors'로 우리나라의 틀에 잡힌 소비와 유통 구조를 꼬집었다. 외국에서는 물감을 팔 때 10색, 12색을 고정해 팔지 않지만, 국내 11개 물감회사는 자신들이 나눈 기준으로 물감의 색을 10가지나 12가지로 정해 팔고 있다.

미술관 벽면에는 국내 10개 물감회사(1개 작품은 전시 안함)가 지정한 물감 12세트를 사서 정사각형 캔버스에 각각의 색을 정직하게 칠한 작품이 펼쳐진다. 작가는 이를 맹목적으로 수용하고 습득해온 우리의 인식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

김진희, 인간의 그릇 A human vessel, 2018, 전자 부품, 튜너, 앰프, MP3 플레이어, 600x350x200cm. 박미나, 금호미술관 플랫랜드 전시전경, 2018. 김용익, 유토피아 Utopia, 2018, 캔버스 및 벽면에 연필, 비닐 시트, 가변크기. 김규호, 잔광 Afterglow, 2018, 웹사이트, 2채널 영상, 25분(위로부터) [사진=금호미술관]

그래픽 디자이너이자 웹 디자이너인 김규호 작가는 '잔광'을 선보였다. 완결된 형태의 영상 혹은 비디오 작품과 달리 실시간으로 이뤄지는 변화와 반응, 다양한 디바이스에서의 호환성 문제로 웹사이트의 특징을 그대로 보여준다. 수많은 코드와 가상에 이야기가 쌓여 만들어진 결과물이지만 관람자에게는 해독 불가능한 납작한 시각 이미지로 읽힌다.

조재영 작가는 일상의 사물을 둘러싼 외피를 벗겨내 가시화하는 조각 및 설치 작업을 해오고 있다. 조 작가는 '앨리스 방'으로 작품을 구성하는 모듈들 각각은 개별 단위로 하나의 구조를 완성하는 동시에 전체 구조와 공간을 구성함을 이야기한다. 가변적 작업이 내포하는 추상성에 주목하면서 차이가 공존하는 이분법의 경계 지점과 상대적인 존재성에 대한 실험을 이어간다.

전시는 1일부터 오는 9월2일까지 금호미술관에서 열린다. 아티스트들과의 대화도 관객을 기다린다. 전시 기간 중 4회 진행되며 오후 3시 금호미술관 3층 세미나실에서 진행한다. 23일 김용익, 30일 김진희와 최선, 7월7일 조재영과 차승언, 7월14일 김규호, 박미나 작가가 참여한다.

 

89hklee@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