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북미정상회담] 독일 사례로 본 국내증시 관전법

기사등록 : 2018-06-12 10:15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통일전 오르다 공식화후 하락...화폐통합 등 부담탓"
-통일 이후 '소프트웨어' 상승률 높아.."시스템 통합 수혜"
-건설업종 수익률 오히려 낮아.."난개발 등 공급과잉 후유증"

[서울=뉴스핌] 김양섭 기자 = 북미회담을 계기로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기대감이 한껏 고조되는 가운데 통일을 앞서 경험한 독일 증시에 대한 시장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독일 증시는 통일을 앞두고 기대감에 급등했는데, 실제 통일을 공식화한 후엔 떨어졌던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인 수혜주로 거론됐던 건설업종의 경우 통일 이후 난개발 등 공급과잉의 후유증도 있었다.

1990년 전후 독일 닥스지수 추이

독일 닥스(DAX)지수는 베를린 장벽이 붕괴된 1989년 11월 이전인 1988년부터 1400선에서 1600선까지 지속적으로 올랐다. 1989년 11월 베를린 장벽 붕괴 이후에도 6개월간 증시는 통일 기대감에 약 30% 급등했다.

하지만 이후 1990년 7월 화폐, 경제 및 사회 통합 조약 발효가 체결된 이후 지수는 약 석달간 20% 하락했다. 당시 서독과 동독 간 화폐 교환비율을 동독에 유리하게 책정함으로써 독일 통일 전후 물가가 빠르게 치솟았다. 통일에 대한 기대감 자체가 단기간 증시의 상승 모멘텀으로 작용했지만, 동독과 서독의 현격한 경제력 차이에 따른 통일 비용에 대한 우려가 증시에 부정적으로 작용한 것이다. 통일 후 개인소득세, 법인세, 사회보혐료 등의 인상도 주식시장에 부담으로 작용했다.

이진우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독일 주식시장은 통일전부터 상승하기 시작했는데 1988년부터 진행된 소련의 입장 변화가 그 가능성을 높였기 때문"이라며 "베를린 장벽이 붕괴한 1989년 11월 이후 주가는 다시 한 번 강하게 올랐지만 정작 통일을 공식화한 1990년 10월 이후엔 통일비용 우려 등으로 내렸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원은 "다만 통일 이후 독일 주가는 장기적으로는 우상향 흐름을 보였다"고 덧붙였다.

메리츠종금증권에 따르면 1990년 194억마르크였던 독일시장의 외국인 포트폴리오 투자는 1997년에는 1559억마르크로 급증했다. 이진우 연구원은 "국내 역시 통일을 계기로 외국인 자금 유입을 기대해볼 만하다"면서 "다만 관련 정책이 단시일 안에 구체화하지 않으면 액티브보다는 패시브 형태 자금 유입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한국투자증권에 따르면 독일통일 이후 인프라개선과 주택건설에 통일비용의 11%인 1600억유로(약 231조원)가 투입됐다. 최우선과제는 동-서독간 교통망연결과 동독교통망 현대화. 초기에는 정치리스크가 컸기 때문에 외부투자 없이 서독의 지원으로만 재원을 마련했다.

다만 실제 통일 이후 건설업종 주가는 악화됐다. 무분별한 개발로 과잉공급 폐해가 나타난 것이다. 한화투자증권에 따르면 1991~1995년 독일 DAX30지수에서 통신업(-34%)과 건설업(-24%)의 주가가 하락했다. 소매업(-18%) 등도 약세를 면치 못했다.

건설업이 하락률 2위로 기록될 정도로 약세를 면치 못했던 이유는 통일 이후 구 동독 지역에 일반주택과 산업용 건물이 무문별하게 공급됐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공급과잉 후유증이 나타나면서 부동산 가격이 급락했고, 동독 지역에서 대규모 부동산 사업을 벌였던 독일 2위 건설그룹인 필립 홀츠만은 파산했다. 대표적인 인프라 관련업종인 통신업종 역시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정부 주도로 통신망이 깔리면서 요금 규제 등으로 인해 기업의 이익이 당초 시장이 예상했던 기대에 미치지 못했기 때문이다.

1991년~1995년 사이의 업종별 지수 상승률은 소프트웨어가 가장 높았다. 마주옥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소프트웨어 업종의 경우 꾸준히 시장수익률을 크게 상회했는데, 이는 시스템통합 등의 수혜를 받은 것으로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소비재, 은행 등의 업종도 다소 부진했는데 이에 대해 마 연구원은 "통일 비용조달을 위해 통일기금 조성, 조세, 연방정부의 재정정책 등이 활용됐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한다"면서 "이에 따라 소비와 관련된 업종의 주가 상승률이 미미했다"고 분석했다.

독일 경제가 통일비용 등의 후유증을 끝내고 본격적인 회복 구간을 보였던 1996년~2000년에는 산업재, 금융서비스, 화학 업종등을 중심으로 대부분의 업종이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독일 통일 이후 업종별 상승률 <자료=힌화투자증권>

 

 

 

ssup825@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