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트럼프, '北 핵무기 즉각 폐기' 고수 안해…과거 반복 우려" - NYT

기사등록 : 2018-06-04 10:44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트럼프, 北 핵능력 장기간 동결 가능성 열어둬"

[서울=뉴스핌] 이홍규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미 정상회담 개최를 공식화한 지난주 발표에서 약 25년 전 북핵 위기 해결 노력에 실패한 빌 클린턴 전 행정부의 모습을 상기시켰다고 뉴욕타임스(NYT)가 지난 2일 보도했다.

NYT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일 발표에서 북한의 즉각적인 핵무기 폐기 방침을 고수하기보다 핵무기 폐기가 뒤따를 것이라는 막연한 선언과 함께 북한의 기존 핵 능력을 장기간 동결하는 데 대한 가능성을 열어놨다고 평가했다. 이는 1994년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이 김일성 주석과 합의했던 내용과 기본적으로 일치한다는 설명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사진=로이터 뉴스핌]

이어 신문은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의 비핵화 원칙에 초점을 두기보다 종전선언을 포함한 평화협정 논의를 시사한 점을 언급했다. 이 역시 2005년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이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상대로 실패했던 시도와 유사하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빅터 차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한국석좌는 문제는 트럼프 대통령이 현재 하고 있는 것이 과거에 했던 것이며 역사적인 일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느냐다고 말했다.

대니얼 러셀 전 미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는 "트럼프는 점점 과거에 시도됐던 입장을 보이고 있다"며 작년 트럼프 행정부가 획득했던 지렛대 없이 일을 하려고 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북한의 실질적 2인자'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과 회담한 뒤 더 이상 '최대 압박'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길 원치 않는다고 발언한 점을 언급한 것이다.

이는 북한을 협상 테이블로 끌고 나오는데 중요 역할을 했던 대북 제재에 변화가 있을 수 있다는 신호로 읽혔다. 이에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등과 공조해 힘겹게 얻은 지렛대를 허비했다고 비판했다.

 

 

bernard0202@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