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노민호 기자 = 북한이 최근 총잠모장과 인민무력상 등 군 수뇌부 교체를 단행했다는 ‘설(說)’을 두고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일본 아사히신문은 3일 북한 관계 소식통을 인용, 북한이 박영식 인민무력상을 해임하고 그 자리에 노광철 노동당 인민무력성 제1부상을 앉혔다고 보도했다. 또한 총참모장은 리명수에서 리영길 제1부총참모장으로 교체됐다고 전했다.
앞서 북한은 지난달 26일 관영 매체를 통해 군 서열 1위인 총정치국장이 김정각에서 김수길로 교체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이번 아사히신문의 보도가 사실일 경우, 북한 군 서열 1~3위가 모두 바뀐 것이다.
(왼쪽부터) 김수길 신임 총정치국장, 노광철 인민무력성 제1부상, 리영길 제1부총참모장.[사진=조선중앙통신, 통일부] |
◆ 김정은, 북미정상회담 앞두고 '온건파' 대거 중용한 의도 뭘까
북한 군 수뇌부의 이 같은 인사를 두고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세대교체 차원, 한반도 정세 변화에 따른 군부 불만 제어 차원 등의 해석이 나온다.
한 소식통은 아사히신문에 “북미정상회담을 위해 군 내부의 온건파를 기용하고 혼란을 피하려는 목적이 있는 것 같다”고 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북한 전문가는 “군부 내에서 강경파를 중심으로 비핵화 수순에 돌입한 것에 대한 반발이 있을 수 있다”며 “때문에 사전단속 개념으로 이번 인사를 실시한 것 같다”고 말했다.
최근 해임된 것으로 알려진 박영식 인민무력상(왼쪽), 리명수 총참모장.[사진=통일부] |
◆ 홍민 북한연구실장 “고령인 박영식·리명수 이미 교체대상자...지나친 확대해석 말아야”
일각에선 고령의 군 인사들을 '젊은 피'로 대처한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온건파라는 해석은 현재 국면에 맞게 억지로 끼워 맞추는 격”이라며 “박영식과 리명수는 연령상 이미 오래전부터 교체 대상자로 거론돼왔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리명수와 박영식은 1차 남북 정상회담 당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공식수행원으로 남한을 방문했지만 고령이라서 하루 일정을 소화하지 못했던 것으로 전해진다”며 “이들은 상징성을 띄고 최고 수장 자리에 앉혀놓은 셈이고 실무적인 일은 밑에서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고 말했다.
실제 박영식은 1940년대 출생해 이미 70대, 리명수는 이 보다 앞선 1934년생으로 올해 84세로 추정된다. 특히 리명수는 지난달 20일 김 위원장이 주재한 제7기 3차 전원회의에서 조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
◆ 북한 군 서열 1~3위 교체설 맞다면 “매우 이례적”
정부는 북한 매체의 보도가 없는 만큼 공식 확인이 어렵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사실일 경우 이는 매우 이례적인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총정치국장이 김수길로 교체된 확인됐으나 리명수 박영식 두 사람은 아직”이라면서 “관련 기관에서 정보사안으로 파악은 하고 있겠지만 말 그대로 정보사안일 뿐”이라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북한이 관영 매체를 통해 인사 발표를 하거나 공식 행사에 관련 인사가 참석할 경우, 직함 등을 통해 알 수 있을 것”이라며 “다만 북한 군 서열 1~3위가 이렇게 한꺼번에 바뀌는 것은 이례적인 것은 맞다. 계속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 軍 인사권(총정치국장)·군대 관할(인민무력상)·군사작전(총참모장)...한꺼번에 교체 파장
지난해 4월 25일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참관한 가운데 진행한 군종합동타격시위 모습 [사진=노동신문] |
통일부에 따르면 북한 군 서열 1위 총정치국장은 주요 군 간부에 대한 실질적 인사권을 쥐고 있다.
총정치국장은 인사 뿐 아니라 전군의 주체사상 무장, 군대 내 당의 유일사상 확립, 군대 간부·당원들의 당생활 조직·지도, 등 각종 사상운동 및 군의 사기 진작 대책을 수립하고 이를 추진한다.
총정치국장은 김일성 시대 때부터 그 힘이 막강했다. 군 간부들에 대한 정치사상적 통제 및 종파주의 제거를 위한 핵심역량으로 역할을 해왔다.
북한 군 서열 2위인 인민무력상은 우리의 국방부 장관에 해당한다. 인민무력상은 인민무력성의 장으로서 군 관련 외교업무와 군수, 재정 등 군정권 행사와 관련된 업무를 총괄한다.
총참모장은 우리의 합동참모본부 의장과 역할이 비슷하다. 군사작전을 지휘하는 군령권을 행사하는 총참모부를 대표한다.
총참모부 산하 10여개 지상군 군단, 4개 기계화군단, 1개 전차군단, 2개 포병군단, 평양방어사령부, 해군사령부, 공군사령부 및 참모조직들을 직접 지휘한다.
no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