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유림 기자 = 전 세계적으로 헬스케어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정보통신기술(ICT) 기업들도 앞다퉈 투자에 나서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포털 양대 산맥인 네이버와 카카오의 의료산업 진출 행보에 이목이 집중된다.
1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와 카카오가 헬스케어 사업을 신사업으로 추진해 본격적인 개발에 착수하고 있다.
◆ '똑딱'·'닥터앤서'… 의료와 병원에 꽂힌 카카오
카카오는 최근 실시간 병원 예약과 접수를 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똑닥’의 서비스를 본격화했다.
‘병원 모바일 대기현황판 서비스’ 똑닥은 제휴병원에 진료를 접수한 환자라면 어디서나 카카오톡을 통해 실시간 진료 대기 순서를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면 똑닥 제휴병원에 진료를 접수한 환자는 카카오톡을 통해 실시간 진료 대기 순서를 확인할 수 있다. 환자들은 병원 대기실을 벗어나 시간에 얽매이지 않아도 된다.
똑닥 개발사 비브로스 측은 보건복지부가 추진 중인 ‘15분 진료 시범사업’이 동네의원까지 확대되면, 병원 진료 대기 시간이 보다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 이 서비스가 더 필요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카카오톡 똑닥 서비스. [사진=똑닥] |
또 카카오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의료기관과 함께 AI 의료데이터 통합·연계 기술뿐만 아니라, 유방암, 대장암, 심장질환 등 8개 질환과 21개 국민 체감형 인공지능 의료 소프트웨어를 개발한다.
이를 위해 AI 기반 정밀의료 솔루션 사업 출범식을 갖고, 한국형 정밀의료 서비스 ‘닥터 앤서(Dr. Answer)’ 개발에 착수했다. 닥터 앤서는 의료 빅데이터를 통해 의사의 진단과 치료를 지원해주고, 무엇이든 대답해주는 AI 닥터다. 올해부터 2020년까지 총 357억원(정부 280억원, 민간 77억원)이 투입된다.
카카오는 국내 최초로 클라우드 기반으로 개발 중인 정밀의료 병원정보시스템(P-HIS)과 연계해 한국형 정밀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 사업을 통해 의료 소프트웨어 분야 신시장을 창출하고, 지역 간 의료서비스 격차를 해소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네이버, '한국형 의료관광' 구축 합류… 의료 빅데이터 분석 준비도
네이버 자회사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NBP)은 지난해 정부가 추진하는 ‘한국형 의료관광 클라우드 플랫폼 구축 사업’에 합류했다.
국내 의료시설을 찾는 외국인에게 병원 예약은 물론 숙박, 교통, 관광 등 다양한 서비스를 예약하고 결제할 수 있도록 앱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네이버는 여기에 클라우드 플랫폼을 비롯해 통번역 서비스인 파파고, 인공지능 플랫폼 클로버, 지도 등 다양한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지원한다. 이와 관련해 올해 초 경기도와 경기국제의료협회, 하나은행 등과 사업 협약을 체결했다.
또 NBP는 지난 3월 병의원 전문 소프트웨어 기업 전능아이티와 양해각서(MOU)를 맺고 클라우드 전자차트 프로그램 ‘스마트 닥터’를 출시했다.
스마트 닥터는 진료 데이터가 네이버의 클라우드 플랫폼에 업로드 돼 랜섬웨어나 악성코드, 바이러스 감염 등으로 인한 데이터 소실의 우려를 줄여줄 수 있다. 원내 데이터서버가 존재하는 병의원의 특성상 원내 서버PC가 켜져 있어야 스마트 폰에서 환자의 정보 조회가 가능했던 제약도 없는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네이버는 올 초 인공지능, ICT 첨단기술을 활용한 헬스케어 빅데이터 연구 생태계 구축을 위해 분당서울대병원 및 대웅제약과 손잡았다.
네이버의 인공지능(AI) 기술, 분당서울대병원이 보유한 의료 데이터, 대웅제약의 헬스케어 지식을 합쳐 AI를 토대로 한 의료 빅데이터 분석을 진행하는 것이 골자다.
이에 최근 네이버는 연내 의료 빅데이터 확보를 위한 특수 목적 법인(SPC) 설립을 결정했으며, 시기를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자체 이미지 파일을 통해 심혈관 질환을 밝혀내는 테스트를 마친 상태이며,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해 진단 치료 예방 모델을 구축, 정밀 의료 플랫폼을 실현한다는 구상이다.
◆ 전 국민 빅데이터 쥔 거대 포털… 정보유출 우려도
하지만 헬스케어 산업에서 개인정보의 수집 및 활용에 대한 법적 가이드라인이 미비한 상황에서 정보인권 침해에 대한 우려도 제기된다. 전 국민이 아이디 하나씩은 보유하고 있는 네이버와 카카오는 국내에서 막강한 영향력이 있기 때문이다.
일례로 세계 기준 월간 22억명이 활동하는 페이스북은 미국 주요 병원들에 익명화된 환자 데이터를 공유하자고 제안했던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됐다.
CNBC보도에 따르면 페이스북은 올 3월까지 스탠퍼드대 의대, 미국심장학회 등과 정보공유 합의를 맺는 문제를 논의했다. 그러나 페이스북 이용자 5000만명의 개인정보를 불법 활용했다는 스캔들이 터지면서 이 프로젝트는 중단됐다.
따라서 대형 인터넷 포털들이 의료시장에 활발하게 진출하고 있는 만큼 개인 정보 활용에 대한 법적·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ur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