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르포] 참치 양식 10년만에 쾌거…냉동아닌 고급 '生참치' 맛본다

기사등록 : 2018-06-22 14:3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고급 어종인 참다랑어 양식 본격 출하
먼바다 욕지도에서 양식참치 십전팔기
외해양식 산업화 초석…수산물 경쟁력↑
협동조합 및 대량생산 기술·단지 절실

[통영=뉴스핌] 이규하 기자 = 육질이 부드럽고 맛이 뛰어난 참다랑어인 생(生) 참치를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으면 어떨까. 그 것도 수은 함량이 낮아 임산부와 어린아이가 안심하고 먹을 수 있으면 금상첨화일 것이다.

지난해 이낙연 국무총리도 국민 먹거리에 걱정 없도록 각 부처에 강한 드라이브를 주문한 바 있다. 수은 축척량이 낮은 가당랑어류에 비해 다랑어류는 수은 축척량이 상대적으로 높아 우려심을 표하는 이들도 적지 않다. 살충제 계란, 라돈침대, 가습기 살균제 등 먹는 것부터 자고, 쉼 쉬는 그 무엇도 안심할 수 없는 불안감 탓이 크다.

고도회유성 어종인 참치는 먹이사슬의 상단에 위치한 만큼, 중금속 축적 우려가 높은 어종에 속한다. 최근 국립수산과학원 식품위생가공과 연구팀이 분석한 자료를 보면, 참다랑어(참치)의 총 수은 농도는 0.222㎎으로 41종의 수산물 중 상대적으로 높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22일 홍진실업 직원들이 통영 욕지도 참치양식 가두리에서 건져올린 국내산 참다랑어를 손질하고 있다. [사진=해양수산부]

그럼에도 식도락가들 사이에서는 놓칠 수 있는 고급식재료다. 생참치의 참맛을 느낀 식도락가들로서는 냉동참치에 비해 영양소 파괴가 적고 탁월한 맛을 잊을 수 있다.

식도락가의 입맛과 건강 우려를 해결할 수 있는 두 마리 토끼가 바로 ‘양식참치’다. 초대형 가두리에서 성장하는 양식 참치는 검증된 먹이를 통해 3kg 미만의 치어를 22개월간 축양(자연산 치어를 가두리에 입식해 일정기간 키워 출하하는 방식) 방식으로 키워낸다.

출하가 가능하도록 30kg까지 키워낸 양식 참치에는 원양산 참치와 비교해 현저하게 낮은 수은 함량을 보인다는 게 수산과학원 측의 설명이다. 권장 기준치보다 현저하게 낮은 수준이다.

무엇보다 국가별 참치 확보는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는 선점 과제다. 고급 어종인 참다랑어는 2016년도 전체 다랑어류 어획량(579만톤) 중 1%(4.8만톤)가 되지 않는 귀한 수산물로 불린다.

냉장유통의 어려움과 가격이 비싸 시중에서 접하기 쉽지 않은 참다랑어 수입만 지난해 1억1000만 달러를 쏟아 붓고 있다. 다른 어종의 수입량과 비교해 최대 규모다.

문제는 수요가 높은 참치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어획 전쟁을 치러야한다는 점이다.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된 태평양 참다랑어는 자원고갈의 위기에 처한 상황이다.

이 때문에 참치를 얼마나 잡을지 여부가 국가별 논의 과제다. 바로 참치 어획 쿼터(어획할당량)가 대표적이다.

태평양 해역에서 내년 참치 조업쿼터를 얼마나 확보하느냐에 따라 그 나라의 수산물 시장의 희로애락이 결정된다. 즉, 원양업계와 어입인, 유통, 판매자 등의 가계경제에 민감한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국내 참다랑어 양식은 참다랑어의 자원 보존에 기여할 수 있는 외해양식 산업화의 초석이기도 하다. 국내 연근해에서 어획되는 참다랑어 쿼터 중 85%가 축양될 경우 양식생산으로만 최소 1000억원에서 최대 3000억원 규모의 경제적 효과가 가능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우리나라 참치 양식은 통영 2곳, 제주 서귀포 남원읍 1곳 등 총 3곳의 먼 바다(35미터 이상 수심)에서 진행 중이다. 특히 국내 최대 참치 양식장인 욕지도 가두리에서는 올해 약 30여 톤 가량의 출하가 예정돼 있다.

고급 참치로 불리는 참다랑어 양식의 성공신화 속에는 홍석남 흥진실업 대표이사의 칠전팔기가 눈물겹다. 지난 10년 동안 흥망성쇠의 길을 달려온 끝에 30kg까지 육성한 양식 참다랑어가 본격적인 출하를 맞았기 때문이다.

홍진영어조합법인이 2007년 첫 양식을 시작할 당시 애지중지 기르던 양식 참치가 5년 만에 태풍 볼라벤로 참사를 맞았다. 2013년에는 여름철 적조 피해로 키우던 참다랑어가 대부분 폐사했다.

고난의 연속 끝에 홍 대표는 2016년 참다랑어를 입식해 올해 첫 상업 출하를 이뤄냈다.

그럼에도 아직 가야할 길이 멀다고 말한다.

21일 홍석남 홍진실업주식회사 대표이사가 참치 양식장인 욕지도 가두리 현장에서 인터뷰에 응하고 있다. [사진=해양수산부]

홍석남 대표는 “해수부가 지원해 수과원에서 참다랑어 치어를(제주도에서 욕지도로) 이송하는 연구사업을 2년째 진행하고 있다. 기술적으론 이미 축척됐다”며 “아직은 어장 규모가 적어 가두리에 넣을 수 있는 치어가 몇 천톤에 불과하다. 사업을 키울 수 있는 여건 조성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홍 대표는 이어 “지금 가두리에는 2700마리가 있다. 마음속에 꿈꾸고 있는 것은 실패 사례를 만들지 말고 다함께 모여서 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드는 일”며 “기술 전수를 다해줄테니 다 모여 참치양식 단지를 건설했으면 한다. 협동조합처럼 지역 어업인들이 함께 모여 규모, 단지를 조성하는 등 협조체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대규모 참치 양식 단지와 유통 등 지역어업인 협동체제가 건설될 경우 참다랑어 양식은 2~3년에 세계적 수준이 될 수 있는 게 홍 대표의 설명이다.

더욱이 대기업 자본 등 민간 투자도 기대해볼 수 있다. 만약 인프라가 구축될 경우 양식 재해 보험은 해결돼야할 우선 과제다.

정부도 5년 전부터 공을 들이고 있는 수산물 유망품목이 참다랑어 양식이다.

해수부는 ▲인프라 구축 ▲종자 공급 기반 마련 ▲대량생산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창출이라는 4가지 기본 방향을 세운 상태다.

우선 참다랑어 양식에 필요한 인프라 구축을 위한 외해양식 기자재, 배합사료 등 사육 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기로 했다. 장기적으로는 참다랑어 전문연구 센터 구축과 연구인력 확보를 추진할 계획이다.

종자 공급의 기반을 위해서는 자연산 치어 어획 및 이송 기술, 인공 종자 대량생산 기술을 개발, 종자 생산단지 구축에 나선다.

대량 생산 여건과 관련해서는 참다랑어 양식관련 단체육성과 양식보험제도 개발 및 대량 생산단지 구축을 계획 중이다.

이 밖에 참다랑어의 가공·유통·수출을 위한 가공공장, 냉동창고 건립 및 양식어장과 관광을 연계한 어촌 6차 산업화도 육성할 방침이다.

양식 참다랑어 출하 현장인 욕지도를 방문한 김영춘 해수부 장관은 “참다랑어 양식산업화 발전방안을 바탕으로 국내 참다랑어 양식이 활성화돼 국민 여러분께 우리바다에서 양식된 신선한 참다랑어를 마음껏 즐길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며 “이번 참다랑어 상업적 출하는 수산분야 혁신성장의 선도모델이라 할 수 있다. 향후 뱀장어 등 고부가 품종에 대한 양식 기술 개발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judi@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