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광고

[김근철의 글로벌 워치] 돌격대장 트럼프와 전략가 시진핑의 승부

기사등록 : 2018-06-22 13:48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뉴욕=뉴스핌] 김근철 특파원=지난 해 1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에 입성할 때 궁금했던 관전 포인트 중 하나는 '중국 다루기'였다. 그는 미 대선 사상 최대 이변을 낳으며 미 45대 대통령에 당선됐다. 불가능할 것만 같았던 승리를 이끌어낸 핵심 선거 전략은 한마디로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ke America Great Again)'로 요약될 수 있다.

냉전 종식이후 미국은 한때 '울트라 슈퍼 파워'로 불렸다. 지구촌에 미국을 대적할 상대가 없었다. 그러나 최근들어 미국은 노쇠한 기미를 보이고 있다. 이를 놓치지 않고 트럼프는 '과거의 영광을 되찾겠다'며 지지층을 결집시켰고 그 힘으로 미국 대통령에 당선될 수 있었다.   

그러니 트럼프 대통령과 지지자들에겐 미국과 함께 주요 2개국(G2)으로 불리며 미국의 턱밑까지 추격해온 중국이 눈엣가시였을 법하다. 트럼프 대통령도 자신이 집권하면 당장 천문학적인 대중 무역 역조를 개선하며 미국의 우위를 되찾겠다고 장담해왔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초기부터 중국과 자신의 맞상대로 떠오른 시진핑(習近平) 국가 주석을 호전적으로 직격했다. 기선을 제압하겠다는 의도가 역력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이 실제로 첫번째 정면 승부를 펼친 것은 지난 4월 마라라고 미중 정상회담이었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에겐 시 주석을 공략할 두개의 지렛대가 있었다. 하나는 엄청난 규모의 미중 무역 역조였고 또 하나는 당시 일촉즉발의 위기로 치닫기 시작했던 북핵 문제에 대한 중국의 적극 협조였다. 트럼프 대통령이 워낙 기세등등했기 때문에 미국은 물론 전세계는 'G2의 마라라고 대결'을 흥미롭게 지켜봤다.

하지만 결과는 의외로 싱거웠다. 시 주석은 몸을 낮추며 트럼프 대통령의 예봉을 피했다. '당장 해결하라'며 독이 올랐던 트럼프 대통령을 다독이며 "시간을 갖고 함께 해결하자"는 쪽으로 물꼬를 틀었다. 그래서 나온 것이 '미-중 포괄적 경제대화'와 이른바 '북핵 해결 100일 유예론'이었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자신의 요구를 대부분 수용했다면서 '마라라고 회담은 대성공'이었다고 자부했다. 시 주석에 대한 평가도 칭찬 일색으로 변했다. 회담의 승자는 자신이고 시 주석은 자신의 주장을 따르기로 했다는 뉘앙스가 깔렸던 셈이다. 

하지만 시 주석과 베이징이 그리 쉽게 백기투항할 리는 없다. 시 주석은 트럼프와 주장에 수긍하되 일 처리는 결국 장기전으로 끌고 가고 있다. 미국의 진을 빼가며 서서히 자신이 유리한 전세로 바꿔가겠다는 '지구전' 태세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이 마라라고 회담의 전리품으로 자랑했던 '미-중 포괄적 경제대화'는 사실상 무용지물이 됐다. 참다못한 트럼프 대통령과 미국 정부는 최근 다시 전면적인 무역전쟁 카드를 꺼내들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2500억 달러 규모의 중국 수입품에 보복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지시하는 폭탄 발언도 내놓았다.

하지만 시 주석은 맞대결은 피하며 자신에 유리한 정세와 여론을 형성하는 데 주력하는 모습이다. 베이징 조어대(釣魚台)에서 22일 열린 글로벌 최고경영자(CEO) 협의회 라운드테이블에선 "함께 나눠먹을 더 큰 케이크를 만들어야 하지만 그렇게 안한다고 해서 무역전쟁까지 일으켜서는 안된다"라는 언급도 했다. 개방과 자유로운 무역도 적극 옹호했다. 다른 국가들의 지지를 유도하며 트럼프 대통령을 포위해가려는 의도로 읽힌다. 

북핵 이슈 역시 마찬가지다. 트럼프 대통령은 6·12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 결국 성사시켰다. 이 회담은 분명한 한반도는 물론 동북아 정세에 큰 획을 긋는 '역사적' 회담이라고 평가 받을 만하다. 트럼프 대통령도 기회가 될때마다 '엄청난 성공'이었다고 자평하면서 "핵 전쟁의 위협을 내가 없앴다"고 자랑을 늘어놓는다. 

그것도 모자라 트럼프 대통령은 채 무르익지도 않은 '미군 유해 200구 송환'이나 '북한의 미사일 실험장 폐쇄' 뉴스를 하루가 멀다하고 공개하고 있다. 자신이 6·12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의 주역이자 승자임을 부각시키기 위한 몸부림처럼 비친다.

하지만 무게 중심이 북한 김정은 위원장과 시진핑 중국 주석으로 옮겨 가는 기류도 강해지고 있다. 특히 지난 20일부터 열렸던 북중 3차 정상회담이 변곡점처럼 보여진다. 김 위원장은 중국과 변화한 정세에 맞춰 '하나의 참모부에서 협력하겠다'고 다짐했다. 시 주석은 북한에 대한 대대적인 경제지원과 투자를 약속하며 북한을 중국의 경제체제로 적극 끌어들이겠다는 의욕을 숨기지 않았다. 

이쯤되면 트럼프 대통령이 당장 북한의 비핵화 국면을 주도하겠지만 북한 개혁과 개방, 미군의 영향력이 약화된 한반도 주변 세력 재편이라는 장기적인 과실은 시 주석이 차지하게될 것이란 우려가 나오는 것도 무리가 아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분명 엄청난 뚝심과 돌파력을 갖춘 지도자다. 필요하다면 미국의 막강한 힘을 앞세운 협박과 말바꾸기도 서슴지않는다. 한마디로 단기 승부에는 능하다. 하지만 적어도 국가를 상대로한 글로벌 무대에선 판세를 읽고 끌고갈 전략적 사고도 함께 필요하다.

시 주석은 트럼프 대통령을 상대로 단기 승부를 양보하더라도 장기 전략의 포석에 치중하는 모습으로 일관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전투에는 이길지 몰라도 전쟁에선 패하는 처지가 될 수 있다는 얘기다.

'돌격대장' 트럼프 대통령과 '전략가' 시진핑 주석의 승부는 향후 한반도는 물론 글로벌 세력 재편에도 절대적인 영향을 끼치게된다. 한국은 그 틈바구니에 서 있다. 한시도 이 승부에 눈을 떼지 말고 대응과 활용 방안을 미리 준비해두어야하는 이유다.   

중국, 미국 국기 앞에서 손을 내밀고 있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좌)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 뉴스핌]

 kckim100@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