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노민호 기자 = 6.25 전쟁 당시 전사한 한국·미국 군 장병 유해가 68여 년 만에 서로의 고국으로 귀환한다.
국방부는 13일 오전 11시 국립 서울현충원에서 '한·미 6․25 전사자 유해 상호봉환 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이번에 봉환하는 고(故) 윤경혁 일병의 유가족과 송영무 국방부 장관, 빈센트 브룩스 UN군사령관, 멕케이그 미 국방부 전쟁포로 및 실종자 확인국장, 국가보훈 예비역단체, 한·미 현역장병들이 참가했다.
이번 행사를 통해 북한 지역에 남겨졌던 미국 제1기병사단 소속(카투사) 윤경혁 일병의 유해가 미국 하와이를 경유해 한국으로 돌아온다. 또한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를 지키기 위해 함께 싸웠던 미군 유해(신원 미확인) 1구가 미국으로 돌아간다.
국군 전사자 윤 일병의 유해는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국선제(유해보관소)에 봉송된 후 유가족들의 뜻에 따라 고향인 대구 달성군의 한 선산에 안치된다. 미군 유해는 미8군 영현소를 거쳐 미국으로 봉송될 예정이다.
2016년 열린 한·미 전사자 유해 상호봉환 행사 모습.[사진=국방부] |
윤 일병의 유해는 지난 2001년 북한 평안남도 개천 지역 북·미 공동발굴 시 미군 유해와 함께 발굴됐다. 당시 아군은 1950년 9월 인천상륙작전의 성공으로 반격작전을 개시한 후, 11월 25일부터 중공군의 압박으로 다시 철수하는 상황이었다. 그는 이 과정에서 전사(1950년 11월 28일)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한·미는 '상호유해발굴 업무협약'에 따라 미국 측이 한국군 추정 유해의 유전자(DNA) 시료를 올해 초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에 전달했다. 국방부 유해발굴단이 보유한 유가족의 유전자와 일치함으로써 윤 일병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군 전사자 유해는 2016년 6월 강원도 철원 잠곡리 무명 1025고지에서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에 의해 발굴됐다. 이 지역은 과거 6․25전쟁 당시 '사창리 전투', '김화-포천 축선 지연 전투', '대성산-취봉 진격전투' 등의 격전지였다.
미군 전사자 유해 발굴 당시에는 아군과 적군의 유품이 혼재돼 있어 유품에 의한 피아(彼我) 구분은 제한됐다. 그러나 이후 정밀감식을 통해서 유해가 유럽계임이 확인됐으며, 2017년 두 차례 한·미 공동감식을 통해 최종 미군으로 밝혀졌다.
6.25 전쟁 한미 전사자 유해 상호봉환 행사 자료사진.[사진=국방부] |
한편 양국의 6․25 전사자 유해가 68여 년 만에 서로의 고국으로 귀환하기까지 한·미 간의 긴밀한 공조가 있었다.
미국은 1996년부터 2005년까지 6․25전사자에 대한 북한과의 공동발굴을 통해서 다수의 유해를 발굴했다. 발굴된 유해는 미국 하와이에 있는 미국 국방부 전쟁포로 및 실종자 확인국으로 송환돼, 정밀 감식과정을 거친다. 이 과정에서 국군 유해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현재 미측은 이러한 동양계 유해 180여구를 우리 측과 긴밀히 협조해 감식 중에 있으며, 국군으로 확인되는 유해는 추가로 송환할 예정이다.
송영무 국방부장관은 "6.25 전쟁 시 하나밖에 없는 자신의 생명을 희생하신 모든 참전용사들을 자신의 조국과 유가족의 품으로 보내드릴 수 있도록 미국과 유해발굴 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no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