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박미리 기자 = # 과거의 활기를 잃어버린 '페광촌' 강원도 태백. 한 30대 청년이 고향을 떠난지 10여년 만에 '고향 살리기' 꿈을 안고 돌아왔다. 청년은 태백을 문화도시로 만들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놀며 일하는 공간이자 문화 체험을 할 수 있는 공간 '무브노드(MOVE.NODE)'를 만들었다. 무브노드를 알릴 겸 부족한 인테리어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임팩트투자 플랫폼의 문을 두드렸다. 유치한 자금은 1050만원. 금리는 연 4.5%. 그는 고마움을 담아 투자자들에게 부채, 컵, 여행권 등을 제공했다.
임팩트투자 플랫폼 <비플러스>를 통해 운영자금을 조달한 사례다. 임팩트투자는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업이나 기업에 투자하고 수익도 추구하는 것을 가리킨다. 비플러스는 삼일회계법인에서 회계사로 6년간 근무하던 박기범 대표가 2016년 6월 설립한 회사다. 그는 재단법인 한국사회투자에서 심사역으로 3년간 근무하기도 했다. 설립 후 지난 2년간 47개 사회적 기업에 총 16억원의 투자금을 유치했다.
박기범 비플러스 대표 [사진=비플러스] |
임팩트투자의 첫 단추는 가치있는 기업을 선정하는 것이다. 비플러스는 '대표의 진정성'을 주요 판단기준으로 삼고 있다.
박 대표는 "우리도 원리금을 회수해야 하는 펀딩인데, 진정성 있는 대표가 상환을 잘한다고 생각했다"며 "회사와 대표의 평판을 체크하고, 면담을 하면서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여기에다 박 대표의 회계사 근무 경험을 살려 건전성, 현금흐름 등 회사의 재무상황도 꼼꼼히 파악한다.
투자자에게는 무조건 높은 수익률보다 투자하는 의미를 상기시키고, 현물 보상을 제공하는 것에 초점을 맞췄다. 대신 투자자들이 안심할 수 있도록 장치를 마련했다. 투자받는 기업 대표와의 인터뷰나 해당기업 지인의 추천사를 홈페이지에 게재한다. 매달 투자자에 뉴스레터를 배송해 투자기업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제공하기도 한다. 박 대표는 "조만간 오프라인에서 투자자와 투자를 받은 기업 간 교류의 장도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내에서 임팩트투자는 여전히 생소하다. 때문에 박 대표도 지난 2년간 이루 말할 수 없는 마음 고생을 했다. 박 대표는 "설립 후 회사로 전화를 하시는 분들 중 '임팩트투자가 뭐냐', '너네도 사기꾼 아니냐' 등의 이야기를 하시는 분들이 많았다"며 "임팩트투자가 많이 알려져있지 않다보니 투자자와 대출을 받을 기업을 모집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이 컸다. 열심히 알리려고 했지만, 한계가 있었다"고 돌아봤다.
그나마 최근 정부가 앞장서 임팩트금융을 활성화시키면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올해 초 정부는 앞으로 5년간 3000억원 규모 한국형 사회가치기금을 만드는 것을 골자로 한 임팩트금융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지난달에는 신한은행, 우리은행 등 금융사 7곳이 한국임팩트금융의 유상증자(출자액 약 12억원)에 참여하기로 결정했다. 박 대표는 "정부가 드라이브를 걸고 유입되는 자금이 확대되는 것은 고무적인 일"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그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정부가 플레이어로 시장에 직접 참여하기 보다, 생태계 조성 역할을 하면서 민간에 힘을 실어주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며 "예컨대 임팩트투자로 얻은 수익에 징수하는 세금을 기타소득세(27.5%·P2P대출)에서 이자소득세(15.4%)로 바꾸는 식으로 세제 혜택을 준다면 민간 자금이 충분히 들어올 수 있다"고 강조했다.
현재 비플러스의 단기 목표는 내년이나 내후년부터 '연간 100억원 투자금'을 유치하는 것이다. 누적 투자금 16억원을 감안할 때, 쉬운 목표가 아니다. 하지만 최근 사회 분위기를 보면 충분히 실현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박 대표는 "한 우물을 파다보니 최근 이러한 흐름(정부 주도 활성화)이 왔다"며 "중장기적인 목표는 국내에 임팩트투자를 널리 알리고, 활성화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비플러스가 이에 꼭 일조하겠다"고 말했다.
milpar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