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백진규 이미래 기자 = 바이두, 소후닷컴 등 중국 대형 인터넷 포탈과 웨이보, 위챗 등 주요 SNS에 등장한 인기 검색어 및 신조어를 통해 이번 한 주(7월 23일~7월 27일) 동안 14억 명 중국인들 사이에 화제를 불러일으킨 이슈들을 짚어본다.
◆ 태풍 홍수 폭염까지, 이재민 속출하는 한편 ‘여름 경제’도 펄펄
중국도 기록적인 폭염에 시달리는 가운데, 홍수와 태풍까지 발생하면서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한편에선 여름 이색 마케팅이 눈길을 끌고 있다.
26일 중국 중앙기상대는 전국 고온지역 예보 지도를 통해 중동부 지역과 서부 신장자치구 지역에 기록적인 폭염이 지속되고 있다고 발표했다. 신장(新疆) 시안(西安) 우한(武漢) 등 지역의 온도는 40도를 웃돌았다.
26일자 중국 기상국의 고온지역예보 [캡쳐=바이두] |
곳곳에 폭염주의보가 내린 가운데, 중국 주요 지역 신문들도 ‘2000년도 이래 최대 폭염’, ‘계란은 아무렇지도 않게 익혀버리는 더위’ 등 기사를 내보내고 있다.
무더위 속에서 홍수, 태풍 피해도 잇따랐다. 24일 10호 태풍 암필이 중국 허베이(河北)에 상륙해 북상하면서 베이징 칭다오 톈진 등 지역에 호우 경보가 발효됐다. 일부 지역의 수위가 급격히 올라가면서, 이재민이 늘어나고 실종자가 발생했다.
월 초 8호 태풍 마리아가 중국을 강타해 29억위안(4840억원)이 넘는 재산피해가 발생했고, 뒤이어 9호 태풍 손띤과 10호 태풍 암필이 연이어 중국에 상륙한 것이다. 태풍 피해가 지속되자 중국 당국은 군함과 선박을 대피시키고 항공편을 취소하면서 피해를 최소화 했으나, 무더위로 인해 육지에 상륙한 태풍 세력이 강해지면서 피해가 확산됐다.
또한 베이징 등 수도권에는 폭우가 지속돼 20년만의 대홍수가 발생해 2만채가 넘는 주택이 파손된 것으로 집계됐다. 지금까지 발생한 이재민만 2000만명이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폭염이 지속되면서 한편에서는 폭염을 이기기 위한 이색 마케팅이 눈길을 끌고 있다. 온라인 쇼핑몰 타오바오(淘寶)는 모기 퇴치 밴드, 물침대, 수박 자르는 칼 등 여름 아이템이 인기라고 소개하면서 “온도가 1도 올라갈 때마다 여름 아이템 판매량이 3만 개씩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폭염이 지속되자 헬스장 뷰티샵 백화점 서점 커피숍 등도 특수를 누리고 있다. 점심시간을 시원하게 보내려는 직장인들이 몰려 평일 점심이 주말보다 더 바쁘다고 한 뷰티샵 직원은 설명했다.
◆ 무더위에 108미터 인공폭포 등장
찌는 듯한 폭염이 지속되는 가운데, 중국에 세계 최대 인공 폭포 건물이 등장해 눈길을 끌고 있다.
구이저우(貴州)성 구이양(貴陽)시에 위치한 121미터의 루디(盧帝) 빌딩은 일반 사무실, 호텔과 함께 108미터 높이의 인공 폭포 설비와 저수지를 갖추고 있다. 건물 유리 외벽을 타고 폭포가 떨어지면 저수지를 이용해 물을 다시 저장하며, 평소엔 지하수와 빗물을 재활용해 물탱크에 저장한다.
폭포를 지켜본 구이양시 주민들은 “너무 이쁘고 시원하다, 건물 유리를 타고 무지개가 반사되는 모습이 장관이다”는 반응을 보였다.
중국 구이저우성에 등장한 108미터 인공폭포 건물 [사진=바이두] |
반면 인공폭포가 유명해지면서 전기 소비가 많은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왔다. 폭포의 높이가 워낙 높아 185키로와트짜리 펌프 4대를 동시에 가동해야 폭포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논란이 확산되자 루디빌딩의 건물 책임자는 인터뷰를 통해 “1시간당 800위안 정도의 전기비를 내는 것이어서 큰 낭비는 아니다”라며 “대형 행사가 있을 때만 10~20분정도 폭포를 가동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가장 최근 폭포를 운영한 것은 지난 22일 구이양 국제 마라톤 대회가 열렸을 때라고 책임자는 덧붙였다.
루디 빌딩은 “세계 최대 인공 폭포를 갖춘 호텔이란 면에서 홍보 효과가 충분하다고 생각한다”며 ”기술적으로 쉽지는 않았지만 안전 문제 등을 고려해 건물을 설계했다”고 밝혔다.
한편 중국에서는 올해 초 미세먼지를 해결하겠다며 시안에 100미터 높이 공기청정기 탑이 등장하기도 했다.
◆ 스라소니 뱀 살쾡이까지, 혐오 희귀 애완동물 인기
중국사회에 살괭이와 스라소니, 뱀, 공작 등 보호 및 혐오, 희귀 동물을 애완 동물로 키우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불법 애완 동물 거래는 인터넷과 각종 SNS 플랫폼을 통해 공공연히 이뤄지고 있으며 일부 동물의 경우 가격이 한화 수천만원에 달하고 있다. 불법 거래가 기승을 부리자 중국 정부가 ‘야생동물 불법 거래’와의 전쟁을 선포했을 정도다.
타오바오에서 살쾡이를 검색하면 판매 관련 내용만 58페이지 넘게 노출된다 <사진 = 타오바오> |
중국 현지 매체 21CN에 따르면 타오바오(淘寶) 58퉁청(同城) 셴위(閑魚)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통해 우산뱀 살모사와 같은 위험 동물과 국가2급 보호동물인 스라소니 등도 판매되고 있다. 21CN은 “구매 의향을 보이자 스라소니 새끼 동영상을 보내왔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판매자는 “스라소니 거래가 불법인 만큼 ‘특별한’ 루트를 통해서만 구할 수 있다”며 13만 위안(약 2136만9500원)을 요구했다.
중국 국가임업및초원국(國家林業和草原局)은 최근 “웨이상(微商, 위챗을 기반으로 물건을 사고 파는)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이용해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물을 불법으로 거래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며 “이에 대한 단속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콰이서우(快手) 더우인(抖音, 틱톡) 등 동영상 APP을 이용해 야생동물을 포획, 살해, 강제로 음식물을 먹이는 장면을 보여주는 행위도 법에 따라 처벌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국 현행법은 1급 혹은 2급 보호동물에 대한 거래를 금지하고 이를 어길 시 엄한 형사 처벌을 하고 있다.
최근엔 중국 산시(陜西)의 21세 여성이 인터넷으로 구매한 우산뱀에게 물려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사망한 사건이 발생해 이슈가 되기도 했다.
이에 업계 관계자는 “전문지식 및 자격증 없이 우산뱀 등 야생동물을 입양하는 등 불법 거래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며 “안전사고에 대한 경각심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bjgchin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