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 외국어, 눈빛 맞추기, 손짓, 발짓... 모든 것이 '소통'이자 '대화'
아기가 처음 태어나서 배우는 말이 ‘엄마’, ‘아빠’ 이다. 천사 같은 아기는 엄마 아빠와 눈빛을 맞추고, 옹아리를 하고, 웃어주고, 그래서 크나큰 기쁨을 준다. 그리고 아기는 유치원 시절부터 한글을 배운다. 일기, 쓰기를 연습한다. 고사리 같은 손으로 글을 쓰고 글 읽기를 좋아한다. 동화책을 읽고 만화를 본다. 이렇게 보면 우리는 태어나면서부터 대화를 시작한다.
김정호 카이스트 교수 |
글을 읽고 쓰고 하는 것도 간접적이기는 하지만 ‘타인과의 소통’ 그리고 ‘대화의 방법’이다. 대화를 통해서 감정과 느낌, 의지를 표현한다. 그래서 함께 살수 있고 같이 사는 의미가 더욱 커진다. 손짓, 발짓, 표정, 눈빛 모두 사회 속에서 살고 있는 인간이 필요한 타인과의 대화 방법이다.
그리고 외국어도 결국 ‘외국인과의 소통’ 방법이다. 여행할 때, 학술 교류할 때, 개인적인 만남에서 필요하다. 그런데 외국인과의 대화 때 더 중요한 것은 외국어의 기술 보다는 대화의 내용에 있다고 본다. 대화의 내용 속에서 서로 이해하고 공감해야 웃고 떠들 수 있다. 언어 이전에 문화적 소통이 되어야 외국어도 더 잘 된다.
소통의 개념을 더욱 확장해 보면, 수학은 자연과의 대화 방법이다. 자연 현상을 수학으로 모델링하는 작업은 자연을 우리의 논리로 이해해 보려는 시도이다. 검증된 모델을 확립하면 자연 현상을 수학으로 표현할 수 있다. 그럼 미리 물리적인 현상을 예측하고 계산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자연과의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수학적 방법으로는 수식이 있고, 그래프가 있고, 다이어그램 등이 있다. 그래서 수학책에는 이러한 기호와 그림들이 가득 차 있다. 이 모든 수학 과정이 결국 자연을 이해하고 소통하기 위한 방법들이다. 그래서 수학이라는 과목도 다르게 보면 ‘자연과의 대화’ 방법이다.
코딩은 컴퓨터와의 대화 능력
4차 산업혁명 시대는 컴퓨터와 데이터의 전성시대이다. 인간이 컴퓨터에 의해 지배 받지 않고, 컴퓨터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려면 컴퓨터와의 대화 능력이 꼭 필요하다. 바로 코딩이 ‘컴퓨터와의 대화 방법’이다.
필자가 1980년대 처음 시작한 컴퓨터 프로그램 방법(코딩)은 베이직(BASIC), 포트란(FORTRAN)이라는 프로그램이었다. 과학 기술 계산용 코딩 방법인 포트란으로 다양한 수학 문제를 풀어본 경험이 있다. 아직까지도 아마 포트란으로 프로그램을 짜라면 금방 다시 할 수 있을 것 같다. 또 기계어라고 해서 순전히 2 진수로 표현된 컴퓨터 언어를 배우고 연습하기도 했다. 2 진수는 인간에게 익숙하지 않아 복잡하다. 이 기계어는 진짜 컴퓨터가 기계적으로 알아 들을 수 있는 언어이다. 그래서 인간에게는 불편한 언어이다.
이 기계어 프로그램을 통해서 컴퓨터와 CPU(중앙처리장치)구조를 이해하는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이제 컴퓨터와의 대화에 필요한 코딩 방법은 과학기술 언어나, 논리 언어, 혹은 2 진수 기계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인간에게 더 익숙하고 친숙한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
2진수로 표현한 기계어 코딩 예, [출처: tistory] |
이제는 논리 흐름도만 그려도 컴퓨터가 이해하고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삽화나 만화 그림으로만 그려도 된다. 종이에 낙서만 해도 컴퓨터에 이해하는 시대가 곧 올 것이다. 요즘 초등학생들이 많이 사용하는 코딩 언어는 그림으로 표현한 언어이다. 결국 컴퓨터가 이해만 하면 된다. 조금 더 인공지능 기술이 발전하면 말만해도 컴퓨터가 이해하고 원하는 동작을 수행 가능하다. 더 나아가 미래에는 인간의 표정과 몸짓을 컴퓨터가 이해한다. 그러면 표정과 몸짓이 코딩이 된다. 컴퓨터가 말 끼를 알게 된다.
KAIST 졸업생들이 만든 어린이용 코딩 언어인 Entry, [출처: KAIST] |
코딩 능력이 학벌 보다 중요해진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블록체인을 다루기 위해서는 원하는 명령을 컴퓨터에 입력하고 결과를 이해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코딩 능력이 없으면 앞으로 신산업도 없고, 벤처 창업도 없고, 취업도 없고, 혁신성장도 없다.
미래에는 코딩을 할 수 있는 사람과 그렇지 못하는 사람으로 나뉜다. 직업도 코딩을 할 수 있는 직업과 그렇지 못한 직업으로 나뉜다. 그래서 미래에는 수능 점수, 토플 점수 보다 코딩 능력이 대학 입학, 취업, 연봉, 결혼에 더 필요한 능력이 된다. 결국 아파트 평수, 학벌, 재산이 아니라 코딩 능력이 새로운 사회 계층을 만들 것으로 예상한다.
그래서 초등학생 1 학년부터 전국민이 코딩을 배울 필요가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인간이 컴퓨터에 의해 지배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컴퓨터를 지배하는 세상을 만들어야 한다.
코딩 능력 차이가 새로운 사회 계층의 벽을 만든다는 개념, [출처: KAIST]
joungho@kaist.ac.kr [김정호 카이스트 전기 및 전자공학과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