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시간을 관통하는 그림을 하고 싶었다. 그게 바로 영상이었다."
지난달 30일부터 오는 11월11일까지 아라리오갤러리에서 '0 Time(제로타임)' 개인전을 개최하는 김순기(73) 작가는 지난 3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렇게 말했다. '백남준을 잇는 제2의 아티스트가 나와야한다'는 미술계 분위기 속에서 혹자들은 '2세대 비디오아티스트'로 김순기를 꼽는다.
김 작가는 "백남준의 영향으로 비디오 작업을 시작한 건 아니다"며 "백남준을 만나기 전 모나코 해변에서 관람객과 '리얼타임 비디오' 작업을 통해 함께 만들고 관람하는 시간을 가졌다"고 답했다.
[서울=뉴스핌] 김순기 작가 2018.09.03 89hkele@newspim.com |
김 작가가 카메라를 접한 게 된 건 영화감독인 삼촌의 영향이었다. 그는 비디오가 빛을 담아 '시간을 관통하는 그림'이라고 해석했다.
김순기는 "이게 바로 내가 원하는 그림이었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사진 또한 '빛'의 순간을 담는 예술이지만, 지나온 시간을 현재의 시간으로 옮기는 작업은 비디오가 가능하다고 봤다.
그는 "1982년 비디오 미술을 접했고 이것이 비물질적인 아트, '비디오 아트'로 불리는 것을 알게 됐다"고 3일 아라리오갤러리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밝혔다.
그가 본격적으로 비디오 아트를 연구하고 가르칠 수 있었던 것은 프랑스 문공부에 직접 자신을 후원해달라는 요청이 수용되면서다. 김 작가는 "1982년에 프랑스 문공부에 프랑스 학생들에게 비디오 아트를 가르치고 연구하겠다고 편지를 썼다. 프랑스 문공부는 미술 전문가들로 구성됐기 때문에 나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김순기 영상스틸 [사진=아라리오갤러리] |
여성 작가 중 1세대 미디어 아티스트인 김 작가는 백남준과 작업도 했다. 참고로, 백남준과의 인연은 존 케이지로 시작한다. 프랑스에서 존 케이지이와 함께하는 페스티벌이 있었고 그곳에 김 작가도 참석했다.
그는 글자를 세로로 쓴 존 케이지의 작품에 대해 "당신 작업은 언어 작업인데 동양 음악과도 연결된다"며 단소 악보와 비교해 설명했다. 어린시절 단소를 접하고 동양 철학을 꾸준히 공부한 김순기였기에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이었다. 동양과 서양의 교집합을 찾은 거다.
김 작가의 해석에 존 케이지는 흥미를 느꼈고, 뉴욕으로 돌아가 백남준에게 김순기에 대해 이야기하며 '꼭 만나보라'고 권유했다. 1982년 김순기 작가와 백남준의 만남이 이뤄졌다. 김순기는 백남준을 인터뷰한 영상 작품 '봉주르 백남준'을 세상에 공개했다.
[서울=뉴스핌] 김순기 작가가 붓글씨를 쓰는 모습을 취하고 있다. 2018.09.03 89hkele@newspim.com |
국제무대에서 활동해온 김순기 작가는 이번 개인전 '제로 타임'에서 그동안 소개되지 않았던 작가의 1970년대 콜라주, 영상과 회화 등 멀티미디어 작업으로 그의 예술세계의 주 맥락인 시간의 연속성과 방향성에 초점을 맞췄다. 이는 '시간을 관통하는 그림'인 영상의 속성과 연결되는 부분이다.
전시의 주제인 제로 타임의 '0'이 '없다'는 의미이나, 역설적으로 모든 것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는 '잠재력'을 뜻한다고 전시 기획측은 설명했다. 이 잠재력은 순환을 의미하며 관계를 의미하는 '사이'의 내용도 포함한다고 덧붙였다.
Passage, 1987, collage sur toile, 351.5 x 434.5 cm [사진=아라리오갤러리] |
그래서 이번 전시는 '시간'과 '가로지름' 그리고 '일필(一筆)'의 개념이 순환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됐다. 전시장 1층과 지하 1층에는 작가가 직접 반구성하며 구성한 세계지도, 시작과 끝을 기록하는 타임스탬프가 뒤죽박죽으로 엉킨 영상, 길을 가로지르는 꿩 4마리를 만나볼 수 있다. 시간적 흐름이나 방향성이 뒤섞여 역설적으로 공존하는 제로타임으로 인도하는 작품들이다. 김 작가는 이를 두고 "여기도 저기도 이고, 여기도 저기도 아닌"이라고 표현한다.
2층에 마련된 '일필' 시리즈에서는 경계와 한계, 편견을 넘어 무한한 열림을 모색하는 작가의 사고의 방식을 엿볼 수 있다. 어렸을적부터 붓글씨를 써온 김 작가는 "붓글씨를 쓰는 행위는 가슴을 피고 마음을 가다듬고 해야 한다. 신체와 마음을 하나로 모으는 작업인데, 이는 그림을 그릴 때와 똑같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김순기는 1946년 충남 부여에서 출생했고,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을 수료한 후 1971년 프랑스에서 거주하며 작업하고 있다.
그는 여성을 존중해주지 않은 사회 분위기에서 벗어나고 싶었고, 프랑스에서 자신의 꿈을 펼쳤다. 액상프로방스와 니스대학에서 기호학과 미학을 수학한 후 니스, 마르세유, 디종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아라리오뮤지엄 인 스페이스(2016), 아트서재센터(2014), 니스현대미술관(1991) 등의 기관에서 개인전을 열었다. 2019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개인전이 개최될 예정이다.
89hk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