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한국형우주발사체 누리호 시험발사체 비행모델 공개..10월25일 발사예정

기사등록 : 2018-09-06 15: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나로우주센터 국제심포지엄 열어 ‘발사체 현재와 미래’ 토론
외국전문가 "한국 발사체 개발 인상적…현재 개발발향 올바른 결정"
              시험발사체 발사 시퀀스 2018.09.06 [사진=한국항공우주연구원]

[나로우주센터<고흥>=뉴스핌] 김영섭 기자 = 오는 2021년 본발사를 최종 목표로 우리 연구진이 최초로 독자 개발 중인 한국형우주발사체(KSLV-II) ‘누리’가 개발 일정대로 착착 진행되고 있다. 

누리호 발사 성공을 위한 핵심 기술이자 기본 엔진인 75톤급 액체엔진의 비행 성능을 확인할 시험발사체의 내달 말 발사를 앞두고 비행모델(FM)이 6일 일반인에게 공개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날 전남 고흥 외나로도 소재 나로우주센터에서 한국항공우주학회와 함께 우주발사체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하면서 시험발사체 비행모델을 학회 참가자들과 언론에 공개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임철호)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 옥호남 발사체기술개발단장은 이날 나로우주센터에서 시험발사체 개발 현황을 설명했다. 옥 단장은 ”2017년 4월 시험발사체 체계모델(EM) 총조립을 완료한 이후 인증모델(QM) 종합연소시험을 끝내고 비행모델의 제작을 완료하고 현재 보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험발사체 발사일과 관련해 옥 단장은 “시험발사준비위원회의 최종 발사 승인을 거쳐 결정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진행상황을 볼 때 이달 중순이면 최종 발사일이 확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로서는 내달 25일 전후 발사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시험발사체 비행모델(FM) 2018.09.06 [사진=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시험발사체는 무게 52.1톤, 총길이 25.8m, 최대지름 2.6m인 1단형 발사체로서 총 3단으로 구성된 누리호의 2단부에 해당한다.

시험발사는 본발사체인 누리호에 사용되는 엔진과 동일한 75톤 액체엔진의 비행시험을 통해 비행성능 및 구조, 전자, 제어 등 서브시스템을 점검하기 위해 실시할 예정이다.

시험발사 성공시 발사체 전반에 관련된 기술의 확보 여부를 확인하게 되며, 해당엔진 4개를 묶음(클러스터링)을 통해 본발사체인 누리호의 제작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또 이날 심포지엄에는 러시아, 프랑스 등 해외 발사체 전문가와 함께 국내 발사체 분야 대학교수, 산업체 관계자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시험발사체 발사를 계기로 한 우리나라 발사체 개발의 현주소와 앞으로의 발사체 개발방향을 주제로 국내외 전문가들의 토론이 진행됐다. 

러시아 측 유리 아르주마냔 ‘S7 Space’ 고문, 유리 바흐발로프 프로엑트테크니카 최고기술책임자(CTO)는 러시아 발사체 개발과정을 소개했다.

아르주마냔 고문은 “러시아도 발사체 개발 초기에 엔진 연소 안정화, 가벼우면서 강도를 보장하는 구조 및 소재확보, 분리제어 등과 같은 기술적 난제들로 인해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며 “수많은 실패의 과정을 통해 신뢰성 높은 발사체를 완성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프랑스 아리안스페이스사의 피에르이브 티시에 CTO가 현재 운용 중인 유럽의 상용발사체인 ‘아리안’의 개발과정과 앞으로의 개발방향을 발표했다. 티시에 CTO는 개발 과정에서 항법 소프트웨어 문제로 인해 많은 어려움이 있었지만, 지속적인 검증 및 개량을 통해 ‘아리안5’를 성공적으로 개발했다고 말했다.

6일 나로우주센터에서 열린 국제심포지엄에 참석한 해외 전문가들, 사진 왼쪽부터 프랑스 아리안스페이스사의 피에르이브 티시에 최고기술책임자(CTO), 유리 아르주마냔 ‘S7 Space’ 고문, 유리 바흐발로프 프로엑트테크니카 CTO. 2018.09.06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날 대부분 외국 전문가들은 한국이 최신 우주개발센터 시설을 갖추고 짧은 시간에 우주발사체 독자 개발에 나선 데 대해 "인상적이었다"고 높이 평가했다.

특히 아르주마냔 고문은 한국형발사체가 75톤급 액체엔진을 기본엔진으로 누리호 1단부가 75톤급 엔진 4기가 결합(클러스터링)되는 방식으로 개발되는 것과 관련해 "같은 엔진을 노즐만 바꿔 1단부와 2단부에 모두 활용할 수 있고 비행시 자세제어도 엔진만으로 해결할 수 있어 장점이 많다'며 "전형적인 방식으로 한국이 잘한 선택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또 전문가들은 발사체 개발에서 중요한 점은 직접 제작을 담당하는 산업체의 기술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라며, 최소 매년 1회 이상의 발사를 통해 산업체가 안정적으로 개발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장기적으로 민간기업 주관의 개발을 통해 시장 경쟁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의견을 모았다.

과기정통부 정병선 연구개발정책실장은 "그 동안 밤낮없이 발사체 개발을 위해 노력해온 항우연, 산업체 관계자들께 감사드린다”며 “이번 심포지엄에서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2021년 본발사까지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나로호, 시험발사체, 한국형발사체(누리호)의 제원 비겨 2018.09.06 [사진=한국항공우주연구원]

kimys@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