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근희 기자 = 박능후 장관은 18일 "메르스 확진 환자가 완치됐다"며 "추가 환자가 없다면 이번 사태는 메르스 최대 잠복기 14일이 지나는 오는 22일에 종료된다"고 말했다.
박 장관은 이날 세종시 정부 세종청사에서 메르스 대응 상황 관련 브리핑을 열고 메르스 확진 환자 A씨(61세)에 대해 두 차례에 걸쳐 메르스 검사 결과 모두 음성으로 확인되었다고 발표했다.
지난 7일 쿠웨이트에서 아랍에미리트 두바이를 거쳐 입국한 A씨는 8일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았다. A씨는 지난 16일과 17일 두 차례에 걸쳐 메르스 확인 검사를 했고, 두 번 모두 음성으로 확인됐다.
A씨는 이날 오후 격리가 해제돼 음압격리병실에서 일반병실로 옮겨 필요한 치료를 받고 있다.
접촉자들에 대한 격리는 메르스 잠복기 14일이 경과한 오는 22일 0시를 기준으로 해제될 예정이다. 전날 오후 6시 기준으로 밀접접촉자는 21명, 일상접촉자는 399명이다.
질병관리본부는 오는 20일 밀접접촉자 21명에 대한 2차 메르스 검사를 진행하고, 음성이 나올 경우 22일 0시를 기점으로 격리를 해제한다. 일상접촉자에 대한 능동형 감시도 종료한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오른쪽)과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 [사진=뉴스핌DB] |
다음은 박 장관과의 일문일답이다.
-메르스 확진자를 일반병실로 옮겨 치료를 지속한다고 했는데 어떤 치료를 지속하는 것인가?
▲메르스 치료는 아니고 그분의 기저질환을 치료하는 것이다.
-기침이나 설사 증세는 없어졌는가?
▲ 기침, 설사 증상 등 모두 없어졌다.
-쿠웨이트 현지 검사 결과는 언제쯤 발표할 예정인가?
▲쿠웨이트 현지 조사는 우리나라에서 세 분이 가셔서 조사 중이다. 우리 현지에 있는 쿠웨이트 대사관이 적극 협조하고 있고, 쿠웨이트 보건당국에서도 적극적으로 협조하고 있다. 수일 이내에 세계보건기구(WHO)에서도 전문가 세 분을 파견해서 쿠웨이트 전반에 대해 조사할 예정이다. 조사 기간 은 상당기간 걸릴 것 같다. WHO에서 파견하는 전문가는 세분이지만, 전체 규모는 아직 확인이 안됐다.
-이번 사태에서 역학조사 검역 담당자 문제가 부각됐다. 보완책은?
▲지금 우리 국민들이 해외 이동이 많아서 현장의 검역인들을 작년에 대폭 증원했음에도 불구하고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좀 더 적정한 인원이 확보될 수 있도록 관계부처랑 협의 중이다.
-음압구급차가 없어서 일반구급차로 환자를 이송했다는 내용도 대두된 적이 있는데, 어떤 설비를 보충할 계획인가?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 현재 의심환자 이송은 격벽이 있는 일반 구급차와 또 이송 요원이 개인 보호구 하는 것으로 지침은 돼 있다. 메르스는 공기로 전파되는 주된 담염병이 아니고 비말, 즉 침을 통해서 감염된다. 그 정도의 가이드라인이 적절하다고 보고 있다. 의심환자, 확진환자 이송에 대해서는 어떻게 할건지에 대해 이번에 한번 평가를 해보고, 보완책은 전문가 검토를 받도록할 계획이다.
-이번 브리핑의 취지와 의미가 뭔가?
▲이번 브리핑의 주된 내용은 메르스 확진 환자가 완치됐다는 것이다. 그것이 함의하는 바는 사실 이번 사태가 거의 종료되고 있는 과정이라는 것이다. 다만 22일 0시까지는 최대 잠복기가 14일이기 때문에 기다려보고, 모니터링을 계속해 나갈 예정이다.
-그렇다면 추가 확진자가 나오지 않으면 22일이 이번 사태의 종료 시점이라고 보면 되느냐
▲그렇다. 이번 사태는 그렇다.
-구급차 격벽 설치 기준이 따로 있나?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 격벽은 환자가 타는 공간과 운전자 타는 공간 물리적으로 구분하는 정도다. 공기전파를 차단하는 것은 아니다. 만약에 중증이고 공기전파가 가능한 정도의 환자라고 하면, 특히 병원까지 이송이라고 하면, 이미 보급된 음압 구급차 사용하는 것을 복지부와 협의하겠다. 음압구급차는 메르스뿐만 아니라, 주로 결핵 등 호흡기 전차 감염병에 대한 이송에 사용된다.
-생계지원 금액은 격리기관과 상관없이 일괄지급인가?
▲긴급복지생계지원금액은 월 단위로 책정한다. 이번에 밀접접촉자들이 약 2주정도 격리됐지만 한달 기준으로 전액 지급된다.
-입국검역 단계에서 걸러지지 않았는데 보완할 부분이 있는가? 이번 메르스 대응 평가한다면 어떻게 평가하는가?
▲입체적으로 답변드리겠다. 방역체계를 입국심사장으로 들어오는 입국심사대만 생각하면 구멍이 난걸로 표현하겠지만, 전 그렇게 보지 않는다. 입국심사장에서 각 개별 검역관들이 깊이 있게 보기는 하지만, 아주 짧은 순간에 판단해야 한다. 그 과정에서 증세 잠복한 분들은 검역장에서 아무 증세가 나타나지 않는다. 설사 증상이 있어도 해당되는 분이 거짓말로 보고하면 찾아내기 힘들다. 이번 확진 환자의 경우 우리는 지침 규정에 따라 했다. 체온을 쟀는데 정상보다 오히려 낮았다.또 그분은 설사에 대한 이야기만 했지 다른 이야기는 없었다.
저희는 평상시에도 검역 과정이 검역대 하나만으로는 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다. 이 때문에 중동지역 입국자에 대해서는 2주에 걸쳐 4번 동안 재차 확인하고 있다. 잠복상태에서 들어온 분이 발현할 가능성에 대비해 초기에 열이 있거나 이럴 때 문자 발송을 통해 확인하고 있다. 저희들은 입국에서부터 14일까지를 이 검역과정의 전체적인 체계로 보고 있고, 그 과정에서 어느 정도 검역이 작동하리라 기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금 더 매뉴얼 자체라든지 검역체계를 보완할 부분이 없는지, 이것을 전문가들과 상의해서 보완할 내용이 있는 것을 찾아내면 보완하도록 하겠다.
검역관들은 지침에 나와잇는 원칙대로 검역을 담당했다. 다만 지침 자체가 보완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전문가들과 살펴보고 있다. 확진 환자도 조치 잘 취했다. 삼성의료원도 확진환자가 국제전화를 통해 소화계 계통 증상을 호소했지만, 단지 중동에서 왔다는 사실만으로 분리 진료실에서 진료하고, 보호장구를 착용했다. 적절한 조치 감사드린다. 이 전 과정을 통해 국민들 높은 수준의 방역 의식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앞으로 보강할 측면 보강해서 보다 더 철저하게 대비할 수 있는 체계 만들어나가도록 하겠다.
-일부 유전자주를 분석한 결과 2017 리야드주와 유사한 곳이라고 나와 있는데, 이게 2017년도에 검출됐던 메르스 균 유전자와 비슷하다는 얘기인가?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 환자 검체로 부터 바이러스 분리하고, 유전자 분석했다. 유전자가 3만개인데 그 중 S 유전자라고, 일부분 중요하다. 그 부분에 4000개 정도의 염기가 있다. 분석했는데 전세계 메르스 바이러스 등록된 것을 비교했더니 2017년 사우디 리야드에서 보고한 균주와 가장 유사성이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아쉽게도 쿠웨이트에서 분리된 균주는 진뱅크에 등록된 바가 없다. 균주만으로 환자분이 어디서 감염된 건지 알 수 없다. 또 변이에 대해서도 전장 분석이 되고, 심층적인 분석과 바이러스 특성 분석이 되면 설명드리겠다.
-리야드 주와 2015년 우리나라에서 발생했던 메르스 균과의 동일성은?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 차이가 있다. 바이러스는 조금씩 변이를 하기 때문에 차이가 있다. 이번 바이러스는 2017년 것에 더 가깝다. 전장 분석과 해석을 해서 별도로 정리해서 설명하겠다.
-2020년까지 복지부가 공공백신센터를 건립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정부 차원에서 메르스 또는 감염병 백신에 대해 개발 계획 중인 것이 있는가?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 지금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에 백신연구과가 있다. 2020년까지 공공백신센터 건립이 진행된다. 올해는 설계단계에 들어가 있다. 센터를 통해 공공백신 개발을 지원한다. 메르스, 지카, 신종 조류 인플루엔자 등은 시장성은 없지만 국가 안보를 위해 필요한 백신이다. 민관 협동으로 개발하려고 한다. 또 민관이 필수 백신을 개발할 수 있도록 병원체 제공하고, 비임상 단계에서의 유효성도 검증하는 그런 지원체계를 갖추는 것을 기획 중이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 조금 더 추가해서 말씀드리면 백신은 여러 종류의 질병에 필요하다. 사실 성능이 좋고 값싼 백신을 개발하는 것에는 시간이 걸린다. 기껏 만들어도 경제성이 없어 보상 못 받는 경우도 있다. 정부에서는 백신의 공공성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에 백신센터를 통해서 백신을 개발한다. 그러나 민간에서도 백신을 좀 더 적극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여러가지 지원책을 지금 강구하고 있고, 백신 개발계획을 대폭 보강하고 있다. 예산도 늘렸다. 백신을 개발하는 데는 10년 정도 이상 걸리기 떄문에 민간의 제약회사들이 백신 개발을 할 수 있도록, 여러가지 정책적인 배려와 지원을 해가고 있다.
ke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