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박진범 기자 = 환경파괴와 건강위협을 야기하는 플라스틱 문제가 전 세계 과제로 대두된 가운데, 서울시가 전국 최초 ‘1회용 플라스틱 프리(free) 도시’에 도전한다.
서울시는 2022년까지 시내 1회용 플라스틱 사용량을 50% 감축, 재활용률 70% 달성을 목표로 한 ‘1회용 플라스틱 없는 서울’ 종합계획을 추진한다고 19일 발표했다.
[사진=서울시 제공] |
기본 방향은 ‘안 만들고(생산)’ ‘안 주고(유통)’ ‘안 쓰는(소비)’ 문화를 정착시키고, 불가피하게 사용하는 1회용 플라스틱은 재활용을 극대화한다.
우선 공공부문 1회용품 사용 ‘제로(zero)’를 선도한다. 현재 서울시와 자치구, 산하기관은 우산 비닐 커버(덮개) 대신 빗물제거기를 사용하고 업무공간에선 1회용컵, 공공매점에선 비닐봉지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이를 내년부터 민간위탁기관으로 확대하고 2020년에는 민간사업장까지 확대한다.
또한 △공원 △한강시민공원 △야외 결혼식장 △밤도깨비 야시장 △농부의 시장 등 다양한 공공장소와 장터, 행사·축제장에서 1회용품 사용을 억제한다.
한강시민공원, 시립체육시설 내 매점, 음식점, 푸드트럭 등과 신규 계약시 사용수익허가 조건에 1회용품 사용억제 조항을 포함시킨다. 특히 한강시민공원은 주변 배달음식점이 플라스틱 용기를 종이용기로 대체할 수 있도록 지속 협의를 병행해 ‘플라스틱 아웃 공원’을 지향한다.
고척스카이돔, 잠실야구장에선 1회용 비닐응원막대를 금지한다. 각 구단과 협의해 내년부터 대체품을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젓가락부터 식기까지 1회용품을 많이 사용하는 장례식장 문화도 개선한다. 이를 위해 내년 시립병원 보라매·서울의료원 2곳을 ‘1회용품 안 쓰는 장례식장’으로 시범 운영한다.
서울시 병물 아리수는 재난구호용을 중심으로 생산량을 현재의 1/5수준으로 대폭 줄인다.
여성환경연대, 서울새마을부녀회 등 시민단체와는 ‘5대 1회용품(컵·빨대·비닐봉투·배달용품·세탁비닐) 안 쓰기’ 운동을 전개한다.
서울시는 '1회용 플라스틱 없는 서울' 종합계획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2018.09.19 [사진=박진범 기자] |
이외에도 1회용 플라스틱을 안 주고 안 쓰는 유통구조를 확립한다. △프랜차이즈(1회용컵·비닐봉투) △유통업체(비닐봉투·속비닐) △전통시장(검정비닐봉투) △영화관(1회용컵·팝콘용기) △관광호텔(1회용샴푸·린스·세면용품) 업종에 대해 사업장이 자발적으로 1회용품 줄이기를 실천하는 ‘서울형 자율협약’을 릴레이로 체결한다.
법으로 매장 내 1회용컵 사용이 금지된 음식점, 프랜차이즈 등과 비닐봉투를 무상 제공하는 대규모점포에 대한 단속도 강화한다.
이미 사용된 1회용품에 대해서는 최대한 재활용 될 수 있도록 수거 선별 시스템 및 시설을 확충한다. 단독주택 지역은 아파트처럼 특정요일에 폐비닐만 별도 분리 배출하는 ‘폐비닐 분리배출 요일제’를 도입한다. 동네 곳곳에 설치돼있는 분리 수거대 ‘주택가 재활용정거장’도 2022년까지 6000개로 늘린다.
자치구 재활용선별장 신·증설을 통해 현재 852t인 처리용량을 2021년 1165t으로 올린다. 자치구 재활용수거 차량 74대는 2021년까지 비압축차량으로 교체된다.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접목해 캔과 페트병을 자동 선별·압착하는 '인공지능 재활용품 자동회수기'도 2020년 이후 자치구에 확대보급한다.
성동구 용답동 소재 '서울새활용플라자'에 이어 새활용 제품 전시·판매를 맡는 '광역 Re&Up사이클 공간'이 2022년까지 시내 5대 권역별로 1개씩 조성된다.
황보연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공공·민간·업체 등 모든 주체들의 공동노력과 협력이 절실히 필요하다”며 “시민 여러분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재활용 쓰레기 전경 [뉴스핌 DB] |
beo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