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노민호 기자 = 남북 군사 당국이 군사합의서 이행에 첫 발을 뗐다. 1일 시작한 비무장지대(DMZ) 지역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과 철원 화살머리고지 지뢰제거 작업을 통해서다.
지뢰제거 작업은 DMZ 내 GP(감시초소) 시범철수, 공동유해발굴, 문화재 공동연구 등의 합의 이행을 위한 ‘출발점’이다. 하지만 시작부터 작업이 녹록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파주=뉴스핌] 이윤청 기자 = 8일 오전 파주시 캠프그리브스에서 열린 '캠프그리브스 DMZ 평화정거장 프로젝트 예술창작전시' 기자간담회에서 강현아 작가의 '기이한 DMZ 생태누리공원'이 전시되고 있다. 2018.08.08 deepblue@newspim.com |
◆DMZ 매설지뢰 추정치만 200만발 "얼마나 매설했는지 기록도 없다"
군 당국은 DMZ 군사분계선 남측 지역과 민간인출입통제선(민통선) 북측 및 남측 전체 지뢰지대는 여의도 면적에 40여 배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또한 남측 DMZ와 민통선 일대에 약 127만 발, 북측 DMZ에 약 80만 발의 지뢰가 매설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는 매장된 지뢰 수의 정확한 집계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남북은 6.25 전쟁이 끝 난 뒤에도 적의 육상 침투 저지 및 상대 측으로 아군이 넘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1980년대까지 지뢰를 계속 매설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국방부 관계자는 “DMZ 지뢰매설은 계획된 지뢰매설 지대가 아니다”라며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는 “지뢰매설을 얼마나 어떻게 했다는 기록도 없고, 때문에 어디에 어떤 지뢰가 매설돼 있는지 알 수 없는 게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군 당국은 전방사단의 10여 개 공병대대를 모두 투입한다더라도 지뢰를 모두 제거하는 데 200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015년 8월 4일 파주 서부전선 DMZ 내 북한 목함지뢰 폭발 당시 CCTV 영상 일부.[사진=국방부 제공영상 캡쳐] |
◆‘플라스틱 지뢰’ 탐지·제거 어려워
DMZ 내 매설돼 있는 지뢰는 대인지뢰와 대전차지뢰 등으로 분류되며 그 종류는 다양하다. 특히 우리군은 M-14, M-16 대인지뢰와 M-15 대전차지뢰를 매설했다. 특히 이 중 ‘플라스틱 지뢰’라고 불리는 M-14 지뢰가 악명이 높다.
이는 플라스틱 재질 때문에 탐지가 쉽지 않으며 부식되지도 않는다. 무게도 가벼워 빗물에 잘 씻겨 내려가는 편이다. 때문에 장마철 때 민간인들과 최전방에서 근무하는 국군장병들의 피해가 발생하기도 한다.
북측은 목함지뢰(PMD-57), 수지재(PMD-57), 강구(BBM-82)지뢰와 ATM-72 대전차지뢰 등을 매설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중 목함지뢰는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다. 2015년 8월 북한군이 DMZ로 통하는 문에 설치해 국군장병 2명이 부상당하는 사건이 발생한 바 있다.
현대로템의 지뢰제거용 장애물개척전차. [사진=현대로템] |
◆산악지형에는 결국 지뢰탐지병 투입…생태계 보호 ‘딜레마’
지뢰제거는 풀숲이 우거지거나 험준한 산악지형의 경우에는 중장비를 투입하기가 어렵다. 때문에 지뢰탐지병이 직접 나서는 경우가 많다.
이들은 탐색기로 땅 속을 일일이 짚어본다. 80㎏에 육박하는 장비를 착용한 채 작업을 진행하는 일은 여간 더딘 게 아니다. 속도감이 붙질 않는다는 것이다.
현재 현대로템에서 개발 중인 지뢰제거용 장애물개척전차는 지난 7월 전투용적합판정을 받았다. 다만 이는 2020년이 돼야 전력화가 가능하다.
최근 군은 마수드 하사니가 개발한 ‘마인 카폰 드론’과 같은 원리로 드론을 이용한 지뢰제거 방안 도입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아직 구상단계 수준에 머무는 것으로 전해졌다.
무차별적으로 살포한 미확인 지뢰매설 구역 때문에 DMZ 생태계 파괴 우려도 제기된다. 지뢰제거 과정 중 ‘훼손’이 불가피 하다는 지적이다.
신인균 대표는 “기계가 투입될 경우 생태계를 파괴할 수밖에 없는 것”이라며 “이를 감안해 곱게 찾아서 곱게 제거를 해야 하지만 이는 또 많은 시간이 걸린다는 어려움이 있다”고 지적했다.
no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