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정치

해외 기업들, 北 시장 선점 나섰다...대북제재 완화 대비하나

기사등록 : 2018-10-19 09:16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中 북한전문여행사, 대북 투자자문회사 설립
美 곡물·광물업체, 극비리 방북 소식도 들려와
대북 투자 두고 유럽 대륙도 관심 높아지는 추세
대북제재 완화 앞두고 미래시장 선점 차원 포석

[서울=뉴스핌] 노민호 기자 = 최근 일각에서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완화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는 가운데 이미 일부 해외기업들은 대북투자를 염두에 둔 행보를 보여 눈길을 끌고 있다.

중국에 기반을 둔 북한 전문 여행사 ‘영 파이오니어 투어스’(Young Pioneer Tours)는 최근 ‘파이오니어스 코리아’(Pioneers Korea)라는 대북 투자자문회사를 설립했다.

이들은 홈페이지를 통해 “북한에서 사업을 할 수 있도록 잠재적 투자자와 기업가에게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소개하면서 “개척자가 돼라”며 홍보하고 있다.

영 파이오니어 투어스는 지난 2008년 문을 열었다. 북한 내 ‘단체여행’, ‘자유여행’ 등의 상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코마 송환’으로 알려진 미국인 대학생 오토 웜비어도 이 여행사를 이용했다.

‘영 파이오니어 투어스’(Young Pioneer Tours) 홈페이지 일부.[사진=영 파이오니어 투어스 홈페이지 캡쳐]

미국의 한 곡물업체도 최근 극비리에 북한을 방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언론 보도에 따르면 미국의 글로벌 곡물·광물업체들이 낙후된 북한의 농업·광물 생산분야에 대한 환경조사 및 투자 가능성을 타진했다. 또한 발전설비, 농기계 분야 업체들도 방북을 추진 중이다.

미국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강화 기류에 있어 선봉대 역할을 하고 있다. 외형적으로 대북제재 강화를 외치면서, 내부적으로는 신규 시장을 선점하려 한다는 비판이 가능해 보인다.

정부는 해외 기업들의 대북 투자 움직임과 관련,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파악된 게 없다”며 언급을 자제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19일 “특별히 언급할 것이 없다”며 즉답을 회피했다.

또 다른 정부 관계자도 “정부는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틀을 준수하면서, 북한과 관련된 소식을 예의주시해서 보고 있다”고 전했다.

북한 주민들이 북중 접경지역 노상에서 곡식을 팔고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대북 투자에 대한 유럽인들의 관심도 높다는 소식도 들려왔다.

네덜란드 투자 자문회사 GPI 컨설턴시의 폴 치아 대표는 18일(현지시간)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과의 인터뷰에서 “최근 대북 투자에 대한 유럽인의 관심이 늘면서 올해 기자단 방북 프로그램을 한 차례 더 진행해달라는 요청을 받았다”고 밝혔다.

치아 대표에 따르면 기자단의 방북은 다음달 10일부터 17일까지 진행된다. 북한의 정치와 경제, 대북 투자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한 '시장 둘러보기' 형식의 방북이다.

최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 완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해외 기업 등의 대북 접촉이 늘고 있다는 사실은 매우 의미심장하다.

한 대북 전문가는 "아직 대북제재 완화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아니지만, 북미 간 비핵화 협상과 북한의 이행과정 등을 통해 수순을 밟고 있는 것으로 봐야 한다"며 "글로벌 기업들이 미래시장 선점 기회를 그냥 놓칠리 없다"고 말했다.

앞서 문 대통령은 지난 15일(현지시간)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만난 자리에서 “북한 비핵화가 되돌릴 수 없는 단계에 왔다는 판단이 선다면 유엔 제재의 완화를 통해 북한의 비핵화를 더욱 촉진해야 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문 대통령의 발언만 놓고 볼 때, 한국 정부가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완화를 이끌어내는 마중물 역할을 하고 있다는 관측도 나올 수 있다.

북한의 무역·투자전용 사이트 '조선의 무역'.[사진=조선의 무역 홈페이지 캡쳐]

북한은 최근 무역·투자전용 사이트인 ‘조선의 무역’을 개설, 대북제재 완화 국면에 대응하기 위한 움직임을 본격화하고 있다.

이 사이트는 북한의 무역정책·법률·법규 등을 소개하고 있다. 영어·러시아어·중국어 버전도 제공한다. 때문에 북한이 해외 기업들의 투자를 적극 유치하려는 목적으로 개설했다는 분석에 힘이 실린다.

물론 확대 해석을 경계하는 목소리도 있다.

한 외교 소식통은 “북한의 무역·투자전용 사이트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강조한 경제발전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것일 뿐”이라며 “아직은 시기상조로, 대북제재 완화 이후 국면에 대한 대비는 아닐 것”이라고 말했다.

noh@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