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장유성 SKT 신임 사업단장 "AI 전문가 적극 영입"

기사등록 : 2018-10-24 13:23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24일 '누구 컨퍼런스'서 기자간담회 진행
장 단장 "음악, 커머스 등 플랫폼 다수 보유...AI 개발 강점"

[서울=뉴스핌] 성상우 기자 = 장유성 SK텔레콤 신임 서비스플랫폼 사업단장이 인공지능(AI) 기반 서비스 사업화에 대한 자신감을 나타냈다. 이동통신 서비스부터 커머스 플랫폼(11번가), 내비게이션(티맵), IPTV 등 다양한 영역에서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어 AI 기반의 융합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자원이 경쟁사 대비 많다는 입장이다.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AI 역량 확보를 위해 공격적으로 인재를 영입하겠다는 의지도 드러냈다.

장유성 SKT 서비스플랫폼 사업단장 [사진=성상우 기자]

장 단장은 24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누구 컨퍼런스'에 참석해 이같은 사업 구상을 밝혔다.

이날 기조연설 직후 가진 기자들과의 만남 자리에서 그는 "SK텔레콤은 굉장히 독특한 회사다. 유선 사업을 건너뛰고 무선 사업에 뛰어든 사업자라 젊은 기운이 강한 회사"라며 "SK텔레콤은 AI 서비스를 개발함에 있어 가진 게 많다. 뮤직 서비스, Btv(IPTV), 11번가(커머스) 등을 기반으로 모든 생태계를 합치면 국내 최고 제품이 나오리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장 단장은 AI 서비스 개발에서 가장 중요한 점이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AI 서비스에서 중요한 포인트는 '대화형 상호작용'"이라며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등 글로벌 사업자들도 이 방향성에 대해 깊이 고민하고 있다. 결국 자사가 가진 본연의 서비스 영역에서 이용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접점을 찾아 특화시켜야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SK텔레콤 AI 사업의 궁극적인 방향은 "사람에 대한 이해에 과실을 접목하는 것"이라고 제시했다. 장 단장은 "장기적으로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 로보틱스 등 다양한 영역에 대해 내부적으로 고민이 깊다"면서 "AI 사고(Thinking), 데이터 고도화 등을 연구 중이다. 사람과 사물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과학 기술을 접목시키는 변환(Shifting)의 과정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AI 인재 영입은 전사 차원에서 공격적으로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그는 "AI 센터를 설립한 이유 중 하나가 외부 인재 영입에 힘을 싣기 위한 것"이라며 "AI 센터장과 함께 다각적으로 국내외의 전문인력을 영입하려 나서고 있다. '티브레인'같은 핵심 연구 조직도 갖추고 있어 타사 대비 매력적인 회사로 받아들여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장 단장은 지난 9월 단행된 조직개편에서 AI센터 산하 서비스플랫폼 사업단의 수장으로 새로 취임했다. 11번가 대표이사로 옮겨간 이상호 전임 단장의 후임이다. 뉴욕대학교에서 수학석사, 뉴욕주립대에서 CS 박사학위를 취득한 장 단장은 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반 서비스의 개발, 국내외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 그리고 이런 기술들이 사회 전반에 미칠 영향에 대해 큰 관심을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2013년부터 삼성전자에서 선행 사용자경험(UX) 그룹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한 그는, 2015년 삼성 헬스 및 삼성 디지털 헬스 플랫폼의 사업개발을 선도한 바 있다. 그 후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임베디드 머신러닝 플랫폼인 Cornelia, 헬스케어 AI 제품인 'Huma AI' 등을 창업했다.

애플 시리(Siri) 및 삼성 빅스비 등에 인공지능 기반 지식서비스를 제공하는 미국 'Wolfram Alpha'의 창립 멤버이기도 한 그는 앞으로 SK텔레폼의 AI 스피커 '누구'와 '티맵' 등 AI 사업을 총괄하게 됐다.

 swseong@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