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최온정 수습기자 = 남북이 백두산에 화산관측소를 세우고 백두산의 화산활동을 감시하기로 했다.
26일 설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기상청에서 입수한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에 따른 기상·기후·지진 분야 단기 및 중장기 협력과제(안)’ 자료에 따르면 기상청은 조만간 백두산 화산활동 가능성을 진단하기 위해 남북 공동조사를 추진할 계획이다.
기상청은 항구적인 관측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1단계로 지각 움직임을 관측할 수 있는 화산관측장비와 통신망을 구비해 공동 관측소를 운영하기로 했다. 2단계로는 공동관측소 안에 땅속 마그마 움직임에 따라 미세하게 변동이 일어나는 지구의 자기장을 측정할 장비와 화산가스 및 암석시료 분석 시설도 설치할 예정이다.
현재 기상청은 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해 백두산 지표 온도와 천지 면적·수위를 분기별로 분석해 변화상을 파악하고 있다. 그러나 현지 관측자료 수집에 어려움이 있어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가 힘들다.
반면 중국은 이미 1999년부터 백두산에 천지화산관측소를 운영하고 있다. 또 백두산 반경 50㎞ 이내에 지반 움직임을 측정하는 GPS 관측점 16곳, 지진관측소 11곳, 화산가스 측정지점 3곳을 설치해 분화 여부를 살펴보고 있다. 북한도 2011년부터 미국과 유럽 학자들을 초청해 공동연구팀을 만들고 화산활동을 분석 중이다.
남북은 화산 분출 시 주변에 끼칠 막대한 인명·재산 피해에 대비하기 위해 2007년과 2011년 개성 등지에서 전문가회의를 소집하고 머리를 맞댔다. 그러나 남북관계가 악화되면서 백두산 현지 답사조차 실행에 옮기지 못했다.
[삼지연=뉴스핌] 평양사진공동취재단 = 평양정상회담 사흘째인 20일 오전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백두산 정상인 장군봉에 올라 손을 맞잡아 들어올리고 있다. 2018.09.20 |
백두산은 화산이 언제든지 분출할 수 있는 '활화산'이다. 국내외 학자들은 백두산의 분화주기를 100년~200년 정도로 본다. 역사적으로는 고려시대인 946년 대분화 이후 조선시대 들어서도 1413년, 1597년, 1668년, 1702년에 이어 1898년에도 분화한 것으로 확인된다. 백두산은 기록상 1903년을 마지막으로 지금까지 115년간 분화하지 않았다.
백두산이 다시 분화가 된다면 용암류와 자갈·돌멩이 등이 섞인 화산쇄설류에 의한 1차 피해와 화산재 확산에 따른 2차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다.
설훈 의원은 “비정치적인 기상 분야에서의 인도적 협력을 통해 남북의 신뢰관계가 회복될 수 있다”면서 “기상 분야 업무 격차가 해소되면 자연재해 공동대응 등 상호 이익도 추구할 수 있다”고 말했다.
onjunge0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