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중국

14억 명의 소비 취향, 지난 10년간 중국서 뜨고 진 브랜드

기사등록 : 2018-11-06 10:26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서울=뉴스핌] 고은나래 기자 = 최근 중국은 소득 증대, 생활 수준 향상으로 14억 소비인구에 중산층만 무려 3억 명에 달하는 거대 시장으로 성장했다. 지난 10년간 중국 시장에서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사람들의 소비 트렌드도 몰라보게 달라졌다. 해외 의류 브랜드, 패스트푸드, 호텔, 카헤일링 등 각각의 상품 및 서비스 분야별로 중국 소비자들이 선택하고 외면했던 브랜드를 살펴본다.

해외 의류 브랜드 중에는 ZARA, GAP, H&M 등 패스트 패션이 중국 소비시장의 이런 시대 흐름에 변신과 대응을 제대로 못 해 점차 설 자리를 잃고 있다. 반면 유니클로는 세계적 유명 디자이너와의 지속적인 협업을 통해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데 성공했다. 유니클로는 꾸준히 자체 브랜드 디자인 개발에도 힘쓴 결과 중국 의류 시장에서 올해 8월 말 기준 동기대비 14.4% 성장하면서 1314억 위안(약 21조 3800억 원) 매출을 기록했다.

중국 전문가들은 중국 소비자들이 맹목적으로 브랜드 이름만 쫓던 과거와 달리, 상픔과 서비스의 가치를 세밀히 따지기 시작했다며 기업들의 마케팅도 이런 추세에 맞춰 바뀌어야 한다고 충고한다. 앞으로 중국 시장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기술과 혁신적 디자인 개발을 통해 차별화된 제품을 출시하고, 판매 루트 확대와 공급체인 변화로 생산 코스트를 낮춰야한다는 지적이다. 

패스트푸드 분야는 초스피드 시대를 살아가는 소비자들을 타깃으로 쾌속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시장이다. 중국 국내외 패스트푸드 업체들은 바쁜 도시인들에게 맛있고 간편한 식사를 제공하는 전략으로 소비자의 선택을 받는데 성공했다. 중국 시장에서 부동의 1위를 차지하고 있는 맥도날드는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24시간 이용할 수 있는 맥딜리버리 서비스를 통해 중국 소비자들의 마음을 끌었다.

중국 내 외산 및 로컬 커피 체인점도 이 부분을 놓치지 않고 공략 속도를 높이고 있다. 올 2분기 성장률이 1%에 그친 스타벅스는 중국 시장을 돌파구로 삼았다. 9월 현지 O2O 배송 업체와 손잡고 시작한 커피 배달서비스는 스타벅스 중국 영업에 중요한 터닝포인트가 됐다. 토종 커피업체인 루이싱은 창업 초기부터 배달 서비스를 실시, 스타벅스 추격에 열을 올리고 있다. 

중국 시장에서는 업체들의 ‘파괴적 혁신’이 브랜드 및 마케팅의 성공으로 이어지고 있다. 한때 전세계 휴대폰 시장을 제패했던 노키아는 혁신의 아이콘 애플에게 밀려 중국시장에서 자취를 감추고 있다.

‘파괴적 혁신’은 최근 IT분야뿐만 아니라 호텔 업계에서도 심심치 않게 나타난다. 최근 공유 경제가 중국 소비시장을 강타하면서 공유숙소(에어비앤비)가 대세로 떠올랐고, 독특한 인테리어로 인기를 누렸던 W호텔은 에어비앤비에게 왕좌를 내줬다.

소득 수준이 높아지면서 중국인들에게 있어 소비의 관념도 변하고 있다. 가장 기본적인 생리적 욕구가 충분히 충족된 중국 소비자들은 점점 높은 단계의 소비를 추구하기 시작했다. 중국 가전제품 시장에서 브랜드 파워 1위를 차지하고 있는 다이슨은 성능뿐 아니라 유럽풍의 세련되고 깔끔한 디자인으로 중국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다. 쇼트클립 시장에서는 월별 활동 이용자 수 3억 명을 돌파한 더우인이 단연 독주체제를 형성하고 있다. 중국인의 약 1/4이 매월 더우인에 접속, 위챗을 비롯한 기존 SNS 강자를 크게 위협하고 있다.

최근 ‘신소매’ 열풍이 불어닥치면서 소비자들은 온오프라인의 모든 쇼핑 채널을 편리하게 이용할수 있게 됐다. 온오프라인의 경계를 무너뜨린 중국의 신선식품 매장 ‘허마셴성(盒馬鮮生)’은 타오바오를 누르고 브랜드 파워 1위의 자리에 올랐다.

경영 위기가 발생했을 때 효율적으로 대응하는 능력을 갖추는 것도 중국 영업에서 성공하는 요체로 꼽힌다. 한때 중국 공유 차량 업계를 장악했던 설립 6년 차의 신생기업 디디추싱(滴滴出行)은 잇단 여성 승객 피살사건으로 한순간에 브랜드 호감도가 최하위로 수직낙하하는 위기를 맞기도 했다.

중국 소비시장 중 성장세가 빠른 화장품 시장에서는 한국계 브랜드의 부진이 눈에 띈다. 2016년 브랜드 파워 1위였던 이니스프리는 그후 2년 연속 내리막길을 걸으며, 지금은 최하위를 기록하고 있다. 아모레퍼시픽 산하 브랜드 에뛰드하우스도 2016년 6위에서 올해는 순위가 크게 뒤로 밀렸다.

현지 유통 전문가들은 사드라는 정치적 요인 외에도 품질보다 마케팅만 중시하는 전략이 더 이상 중국에서 통하지 않는다고 지적한다. 반면 SK-2, 시세이도, CPB 등 제품 기능성을 강조한 일본 화장품이 최근 중국 화장품 시장의 대세로 떠올랐다.

한편 중국 화장품 시장에서는 최근 복고풍을 앞세운 로컬 화장품 브랜드가 소비자들 사이에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설립 87년의 중국 토종 화장품 브랜드 바이췌링(百雀羚)은 2017년 화장품 성분 배합, 포장, 마케팅 등 전 분야에 걸친 대대적 개편을 감행, 연간 매출이 동기대비 30% 증가하며 2년 연속 중국 국산 화장품 브랜드 파워 1위를 차지했다.

 

nalai12@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