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영섭 기자 = 가축전염병 연구개발과 관련해 기초연구와 예측연구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연구전담조직 육성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또 신속히 방역할 수 있도록 동물용의약품 인허가 절차 개선 등 '동물백신 패스트트랙(Fast Track)'도 시급히 마련해야 할 것으로 분석됐다.
19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기술동향보고서는 “그간 동물질병 대응은 발병 후 대응하는 수비전략으로 수행돼 왔지만 경제적 피해 경감, 지속적 축산업 등을 위해 예방적 차원의 대응 전략 수립과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가축전염병’이란 제목의 보고서는 “우리나라의 가축질병 연구개발은 국가(농림축산검역본부)에 집중돼 있지만, 행정관리 체계 속에 있어 독립적인 연구개발의 총괄이 어려운 실정”이라고 밝혔다.
또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경우 기관별 역할과 업무가 분장돼 있지만 중앙과 지방 간의 유기적 관련성이 부족하고, 특히 현장방역을 담당하는 방역실시기관인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체계에 지자체 별로 현저히 차이가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아울러 국내 가축전염병 정부연구개발 투자는 백신, 진단, 감시·예측기술 순으로 투자돼 왔으며, 대학과 국공립연구소를 중심으로 대부분 수행했다.
따라서 보고서는 “검역본부의 기능을 현안대응연구에 집중해 더욱 신속히 현장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고, 기초연구 및 예측연구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연구전담조직 육성이 필요하다”며 거버넌스의 전문성 강화를 강조했다.
이어 보고서는 “긴급 상황 시 연구개발 중인 기술들을 자가백신과 시험백신의 형태로 제조해 신속히 방역에 사용하도록 동물용의약품 인허가 절차 개선 등 동물백신 패스트트랙(Fast Track) 마련이 필요하다”며 비상제도도 마련해줄 것을 주문했다.
아울러 보고서는 “지구온난화 등 전세계적으로 급변하는 환경에 따라 발생이 증가하는 신・변종 동물질병에 대비해 선제적으로 대응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국내・외 정보수집 및 분석, 평가를 통한 질병발생・확산 사전 예측모형 개발과 다가올 위기를 예측하고 대응할 수 있는 가축질병 제어 기술 개발이 중요하다”고 보고서는 제안했다.
또 보고서는 “미래 질병을 대응하기 위해 인접국 및 글로벌 병 발생 데이터를 확보・가공할 수 있는 기술을 기반으로 인접국(북한 및 동(남)아시아)과 예방・유입차단・확산방지 등 공동대응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kimy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