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지자체

해수부,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공모…"희망 지차체 참여하세요"

기사등록 : 2018-11-27 11: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韓스마트 육상양식 모델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참여 지자체 공모…자동·지능화 스마트양식장
가공·유통·수출단지 등 연관산업 대규모단지

[세종=뉴스핌] 이규하 기자 = 수산당국이 오는 2021년까지 추진하는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조성사업’에 참여할 지방자치단체 공모를 시행한다. 특히 4차 산업혁명기술을 활용한 자동·지능화 스마트양식장인 대규모단지는 한국형 스마트 육상양식의 모델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12월 31일까지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조성사업’에 참여할 지자체를 공모한다고 밝혔다. 스마트양식 클러스터는 가공·유통·수출단지, 연구개발, 인력 양성 등 연관 산업이 모여 있는 대규모 단지를 말한다.

경남 하동군 스마트 양식장 사례 [출처=해양수산부]

최근 노르웨이 등 양식 선진국들은 수온·수질 등 최적의 생육조건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스마트양식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수(水)처리 기술, 자동화 시스템 등 스마트양식 기술 관련 특허 출원이 2012년과 비교해 2배 이상(2017년 66건) 급증했으나 가두리 등 접근성이 낮은 해상양식 비중이 더 크다.

지난해 양식어업 면허·허가 현황을 보면, 해상양식 면허는 9991건에 달하고 있다. 반면 육상허가는 상대적으로 적은 3055건에 머물러있다.

이에 따라 해수부는 시범양식장 조성과 취·배수시설, 상하수도, 전기시설 등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배후부지 기반에 주력하고 있는 상황이다.

시범양식장 조성 총 사업비는 300억원(국비 50%, 지자체 30%, 자부담 20%)이 들어간다. 배후부지 기반 구축에 소요되는 총 사업비는 100억원(국비 70%, 지자체 30%) 규모다.

최완현 해수부 수산정책실장은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조성사업을 통해 안전하고 첨단화된 한국형 스마트 육상양식 모델을 정립하고, 연관 산업도 활성화될 것”이라며 “양식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미래 산업으로의 도약을 위해 스마트양식 활성화를 위한 정책들을 차질 없이 추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영상=해양수산부]

judi@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